2. 위에서의 상위어 W가 추상화된 의미로 사용되어 길로 쓰였다는 것은 다른 단어가 아닌 실제 걸어가는 길을 의미하는 길이 해결방앙를 의미하는 동음이의어 길로 추상화 된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번은 옳지 않습니다
3. 꽃의 하위어가 해바라기일 순 있겠지만, 씨앗이 꽃의 의미가 추상화된 것은 아니므로 틀렸습니다
4.정답
5.바람의 하위어는 맞지만, 내 소망이라는 단어는 실제로 부는 바람의 의미가 추상화된 것이 아닌, 바라다 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이므로 답이 아닙니다
아... 그러니깐 손가락이 신체 부위의 하위어는 맞는데요... 그렇다고 신체부위라는 단어가 추상화된 것이 문장에서 의미하는 손이 아닙니다.
위의 예시인 길은 어땠죠? 활주로의 상위어로 지목된 길이 직접 추상화된 의미로 사용되어 쓰였죠? 여기서는
W=첫번째 단어의 상위어가 직접 추상화됨
이 성립하여야 알맞은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4번인가
2. 신체부위의 하위어
진짜 손이 아님
3. 꽃의 하위어
진짜 씨앗아님
4.꿈의하위어
정래희망
5. 바람의 하위어
내 소망
2. 위에서의 상위어 W가 추상화된 의미로 사용되어 길로 쓰였다는 것은 다른 단어가 아닌 실제 걸어가는 길을 의미하는 길이 해결방앙를 의미하는 동음이의어 길로 추상화 된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번은 옳지 않습니다
3. 꽃의 하위어가 해바라기일 순 있겠지만, 씨앗이 꽃의 의미가 추상화된 것은 아니므로 틀렸습니다
4.정답
5.바람의 하위어는 맞지만, 내 소망이라는 단어는 실제로 부는 바람의 의미가 추상화된 것이 아닌, 바라다 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이므로 답이 아닙니다
이해 안되는거 있으면 또 말씀해 주세염

추상화된 단어도 원래단어와 어느정도 연관성이 있어야 되는거구나...네 맞습니다 이제 해결되셨나요?? 또 모르는거 있으면 쪽지 주세여! 부족한 실력이지만 돕겠습니다
네넹
근데 손가락은 신체부위의 하위어가 아닌가요
아... 그러니깐 손가락이 신체 부위의 하위어는 맞는데요... 그렇다고 신체부위라는 단어가 추상화된 것이 문장에서 의미하는 손이 아닙니다.
위의 예시인 길은 어땠죠? 활주로의 상위어로 지목된 길이 직접 추상화된 의미로 사용되어 쓰였죠? 여기서는
W=첫번째 단어의 상위어가 직접 추상화됨
이 성립하여야 알맞은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당
시간있으시면 쪽지 봬주세요 ㅠ
넵
4
4번 아님?
악몽 --> 꿈의 하위어 꿈--> 잘때 꾸는 꿈이 추상화되어 자신의 진로를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됨
5
1번말고 다되는거같은데... 설명좀 해주세요
1. 바다는 추상화된 대상이아님
2. 상위어 하위어 관계가 아님
3. 상위어 하위어 관계가 아님
4. 정답
5. 바람은 부는 바람의 의미가 추상화 된것이 아님
제가 위에 쓴거좀 봐주세요... 시험전날인데 상의어하위어 우습게봤다가 이러고있네요..
답 봤는데 4번이네요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