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논술 문항1번 막걸리나 문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23133
집에와서 후기글 답안 올려주신것들 봤는데 제가 쓴거랑 비슷한걸 찾기힘드네예
저는 곰팡이균이 밥을 먹어서 포도당이 나오고 효모가 포도당 먹고 에탄올이 나오면 에탄올을 유산균이 먹어서 초산이 나온다 고 보고 문제를 풀었는데요
그게 아닌가요? 그래프보고 이름보고 대강 그렇게 끼워맞췄는데 인터넷 검색해도 잘 안나오네요
그래서 1번에 시행2에서 에탄올 안올라간걸 누룩에 효모가 부족했다, 효모가사용하는효소최적온도못맞췄다 그렇게 효모의 문제가 있었다 에 초점을 맞추고 썼고
뭐 과정에 따라서 공기에노출 그런거 몇개 끄적였구요.
2번이 에탄올 농도높이고 향취 결정하는 저분자물질을 미량 넣는 조건 만족하면서 미생물재사용 가능한 공정이었나 그런 문제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래서 이 논제도 저위에 생각으로 유산균이 에탄올을 써서 에탄올농도는 낮게하고 초산(초산을 향취결정 저분자물질로 봤어요)을 만드는 애니까 누룩에 유산균 비율을
줄이거나 유산균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전 날짜에 제조과정을 마치고 진공용기에 보관하면 에탄올농도가 높고 초산의향취도적게 들어가겠다 이런식으로 썼어요.
미생물 재사용 공정은 뭐 판때기에다가 균들은 계속 키우면서 그 위에 물이랑 밥이랑 공급해주며 써먹자 그런 상상을 그림 하나 그려주고 제시했구요.
그리고 3번에는 "이합체" 라는 단어는 안썼는데 초산이 비누분자랑 좀 비슷하게 알킬기에 카르복실기 있어서 비슷한 성질을 가지지 않겠는가 그래서 R기가 벤젠쪽에 달라붙고 바깥쪽의 카르복실기는 다른 초산의 카르복실기랑 수소결합 해서 전체적으로 벤젠이 초산에 둘러싸여서 용해될 것이다 라고 썼어요
실험 설계는 실험관 두개에다가 초산수용액 벤젠 순서대로 넣고 둘 중 한개는 놔두고 한개만 흔든 후 양쪽 벤젠에 녹았는지 확인해보면... 안흔든애는 표면에서만 접하니까 초산분자의 알킬기가 벤젠과 당기는 힘이 반대쪽 카르복실기가 수용액에서 수소결합한것이랑 또이또이해서 안섞일거고 흔들면 벤젠과 초산이 분자 전체로 만날 수 있어 많이 검출될 거다 라고 썼어요
별로 읽기 싫게 생겼네요...그래도 이과분들 한번만 읽고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아흐별님 수교 수험번호 몇이셨어요?
11번 이었어요 맞을거에요
아니..............잘 모르겠네요 12번인가? 오전조였는데 ㅎㅎ 면접 잘 보셨는지 파이팅~
그래프보면 일단 포도당이 줄어들었잖아요.
효모가 부족해버리면 포도당자체가 분해되질않으니 그건아닐거같네요..ㅠㅠ
아 맞다 ㅋㅋ그거 생각들었는데 그거는 곰팡이균하고미생물들이 포도당 만든거 다써버렸다~ 이런식으로 넘어갔었네요 그럼 전혀 아닌가..
3-2번은 정석이 Ph실험인거같은데 왜 아무도 그런의견이없지?...
벤젠에서도 PH잴수있어요?????
PH잴수있는건 물의 자동이온화 때문 아닌가요
맞아요 ph가 아니라 몰농도를 봐야죠 몰농도 맞나?
pH는 정확히 H3O+이온농도를 재야하는건데 물이 아닌 벤젠에선 H+를 끌고와줄수 없으니 안될거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