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에 [365575] · MS 2011 · 쪽지

2012-01-17 12:54:24
조회수 890

이거 창의적인 걸까요? 논지 일탈일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16956



문과 논술 문항 2 에 논제 2 번 A, B 국가의 그래프가 다른이유

1. A 국가는 언어이질성에 높을수록 소득이질성도 높고 이에 따라 자원봉사율이 낮은데

이런 국가는 원래 단일 언어를 쓰는 국가에 외국인들이 이주해서 소득 하층을 이루는 국가라고 서술했어요

그러니까 특정 언어의 사용자들이 부를 독점하고 언어가 더 이질적일수록 이런 경향이 심해지겠죠

2. B 국가는 원래부터 여러 언어를 쓰는 국가의 경우라고 했어요

원래 다른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가들 있잖아요

그러니까 이 경우에 특정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소득을 독점할리 없겠쬬

하지만 이 경우에도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들끼리는 공동체의식이 낮다는 것은 분명하므로

X-Y Y-Z 는 국가별 상황에 따라 성립할수도 안할수도있지만
X-Z는 거의 성립한다

따라서 언어이질성을 줄이는 것이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렇게 3번이랑 연결햇는데,,,,

제발 평가좀 ㅠㅠㅠㅠㅠㅠ어제 계속 묻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03 · MS 2009

    저랑 완전 똑같이 썻네요

    3번에서 소득이질성을 높이는 것의 한계를 지적하고 언어이질성, 즉 문화이질성을 극복하는 것이

    핵심이다라는 논지로 다각적으로 방안을 구체화하고 반론 재반론 과정을 거침 ㅋ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04 · MS 2011

    오오 반갑습니다 ㅠㅠ 이주노동자 이거도 똑같나요? 저랑 똑같은분 첨보네요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06 · MS 2009

    아 이주노동자라고는 안했어요

    그냥 언어집단에 따라 소득분배가 왜곡이 일어난다고 표현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08 · MS 2011

    근데 님께서 쓰신게 일반화된 문장이고

    제가 든 것이 구체적 예같은데

    비논리적인 예시는 아니겠죠? ㅠ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08 · MS 2009

    ㅋㅋ 그냥 비슷한 내용으로 받아들일수도 이런거 가지고 머라할것 같지는 않은데요 ㅋ

  • 제발s · 388878 · 12/01/18 00:16 · MS 2011

    저도요~~ 전 출신지역에 따라 사회계급에 영향을 미친다는 식으로.. 소득격차가나는거라고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06 · MS 2011

    아 ㅠㅠ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08 · MS 2009

    이주노동자라고 표현될 수도 있는데 전 그냥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해서

    ㅠㅠ 거기까지는 못썻네요

    작년 면접 때 비슷한 문제가 있어서 그때 다른 인종을 가진 사람이 이주했다고 했다가 털렸거든요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21 · MS 2011

    근데 전 궁금한게 그 그래프들이 나오는 국가의 유형을 추론하지 않으면

    그냥 성립한다 성립안한다 이런거만 하면 너무 쉬운거 아닌가요??;;

  • 설경 ㅎㅎ · 322193 · 12/01/17 13:26 · MS 2009

    근데요.. 이거 의미를 추론하는거긴 한데

    어디서 그런 단일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라는 얘기를 막 가져와서 써도되는건가요 ㅡㅡ??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29 · MS 2009

    그냥 a국은 언어집단에 따라 소득분배에 왜곡이 일어나는 상태라고 보는게 맞는건가 저도 잘 모르겠음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29 · MS 2011

    그런 유형의 국가여야만 언어이질성에 따라 소득이질성이 높아지겠죠

    원래부터 다 언어가 분포해있는 국가에서는 그럴 가능성이 적은거 아닌가요?

    근거 없이 가져다 쓰는건 무리지만 이건 근거 있으니까 되는거아닌가여??

    아 너무 구체적으로 쓴 거같네요 ㅠㅠ

  • 설경 ㅎㅎ · 322193 · 12/01/17 13:30 · MS 2009

    흠.. 근데 의미를 쓰는건데 의미를 쓰신건 맞는거 같긴한데

    어디서 그런... 단일언어 / 단일언어 아닌 국가..

    이런 개념을 가져와서 써도되는건지 혼란스럽네용...
    ㅠㅠㅠ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32 · MS 2011

    사실 그게좀맘에걸려서

    제목이 창의OR 논지일탈 이거에요 ㅠ

  • 프로세스 · 299648 · 12/01/17 13:34 · MS 2009

    근데 우리가 이렇게 애기해봐야 별 소용없을듯 다 답이 아닐수도 ㅠ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46 · MS 2011

    하긴 그렇겠네요 ㅋㅋ 창의적 답안으로 보여지길 기도해야겟네요 ㅋㅋ

  • 실명보호 · 323633 · 12/01/17 13:52 · MS 2018

    이주 노동자라는 거 저도 풀어서 썼고, (저는 사회 경제적 힘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런식으로 썼네요.
    )근데 원래부터 다인종국가라고 말하는 건 좀 그런데요. 왜그러냐면 원래부터 다인종 국가라고 하더라고 처음부터 대립이 없는건 아니잖아요. 중국 같은 경우만 보더라도 이주민족이 아닌 한족 +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립 심각하잖아요. 그래도 전체적 논지는 일관되고 좋으신듯 합니다! 평타이상은 되실거 같은데요??

  • 알로에 · 365575 · 12/01/17 13:54 · MS 2011

    아 감사합니다 ㅋㅋ 다 언어 국가 저거는 유럽의 국가들을 얘기한건데, ㅠㅠ 제발 그렇게 알아주셨으면 ㅠㅠㅠ

  • ㅎㅎ.ㅎ · 393652 · 12/01/17 14:03 · MS 2011

    저는 이주노동자 아니고 중심언어와 주변언어로 구분해서 중심언어를 배우는 것이 고소득이라고 해슨데....

  • 알로에 · 365575 · 12/01/17 14:09 · MS 2011

    그럼 B 국가는요?

  • Kori · 397570 · 12/01/17 14:11 · MS 2016

    전 A국가가 소득을 중요시하는 국가라고 씀 ㅋㅋ 다른덴 소득격차가 별로 중요하지 않은데 거기는 소득이질성이 큰 영향을 가져다준다고...망함..

  • 알로에 · 365575 · 12/01/17 14:29 · MS 2011

    그렇다면 언어랑 소득 관계는 어떻게 설명하셧나요?

  • jdkslvs · 398560 · 12/01/17 14:26 · MS 2011

    음.... 난 2번을 망했군.... 명시적인 것 위주로 썼는데... 님들이 말한 의미를 추론할 수 있을까 고민은 했지만 평타를 목표로 ㅠㅠㅠ

  • 알로에 · 365575 · 12/01/17 14:28 · MS 2011

    지금 분위기는 명시적인 게 잘한거같음 ...

  • marthess · 362120 · 12/01/17 14:35 · MS 2010

    ㅠㅠ 전 그냥 그래프의미만 해석하고 너무 쉽게갔네요;; 그냥 국가A가 가설모델이고 B가 현실모델이라 그래서 가설상으로는 ~지만 현실적으로는 ~다라고만 하고 국가형태를 추론하지는 않았어요...헐ㅜ

  • 알로에 · 365575 · 12/01/17 14:36 · MS 2011

    님이 울게아니에요 ㅋㅋㅋㅋ 제가울어야되요 ㅠㅠㅠ 제가 이상한 분위기에요 오르비는 ㅠㅠ

  • 꿀잦 · 379557 · 12/01/25 12:3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