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대 활우 면접 준비하는 중인데 다른 대학 기출 추천해줄곳 있나요?
-
저 서울대 구술면접 준비 어떻게 해야되죠'??? ㅠㅠ 0
제가 서울대학교 사과대 경제학부 1차가 됬는데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 될까요? 혹시...
연대 활우 면접 준비하는 중인데 다른 대학 기출 추천해줄곳 있나요?
저 서울대 구술면접 준비 어떻게 해야되죠'??? ㅠㅠ 0
제가 서울대학교 사과대 경제학부 1차가 됬는데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 될까요? 혹시...
예상외네요.. 연세대치대의 이름빨이 상당할텐데.. 치대중의 탑티어이기도 하고..
이건 ㄷㅎ
개인적으로 경희의=한양의>중앙의>연치
치대가 의대의 중위과이상정도에 연세라는 타이틀이 어느정도 먹혀줄텐데 의외여서 ..
치과의사가 적성에 맞으면 전자가 훨씬 좋아보이네요.
의사가 하고싶으면 지방대라도 의대가는게 맞고
치과의사가 하고싶으면 지방대라도 치대가는게 맞습니다.
치과관련은 잘모르긴하는데 이정도로 선호도가 갈리는건 의외네요..
둘다 적성에 맞으면 치대가 낫지않나싶습니다
예전에는 연치랑 인설의랑 비슷했었는데
요즘은 삼룡~경부전충 사이더라구요
대학 이후까지 봤을때는 연치도 나쁜선택이 아니어보이는데.. 의외네요
저희 동네보면은
6층 건물하나에 5개씩 있어요
2층에 2개,4층에 2개,6층1개
서울 사시면 유심히 한번보셔요
지방은 잘 모르겠지만...
서울사는데 그정도였나요..? ㄷㄷ 한건물에 하나정도인줄..
보건복지부에서 예측한 자료라네요
자료까지 찾아주시고.. 감사합니다!
1년에 의대 정원 3000 명
치대 750명,한의대 750명 뽑지요
내과 외과 이비인후 산부인과
성형 피부 정형...등등
수많은과에서 3000 명뽑고
치대,치과에서만 의대전체인원의
1/4을 뽑으니
엄청 뽑는거지요
허허 그렇게 보니 정말 엄청나네요.. 그래도 750명중 연대치대라면 특혜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
하지만 의과는 어떤과든 3개 (감기,미용,통증)으로 수렴한다는점도 염두에 두어야죠
보드따고 로컬나오면 다 3개의 비슷한 잡으로 갑니다.
가정의학과, 내과,소아과,이비인후과, 일반의 등 1000명넘게 감기 잡과에 종사하는 형편이고 재활, 마취통증, 신경,정형, 일반의,가정 등도 거의 800명 가까이 통증 잡과에 일하고있으니 치과가 많다고 보긴어렵습니다. 로컬나오면 이 많은 과들이 비슷한 위치에서 비슷한 잡으로 일합니다
오히려 내과가 너무많아보입니다
고려 한양 경희 중앙도
의대에서는 상위권이죠
연의만큼은 아니지만...
암튼 학교보다는 자기가 하고싶은일
적성에 맞는일 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의견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압도적으로 인설의에 쏠릴줄알았는데 생각보다 연치가많아서당황
연치랑 삼룡의랑 비슷하고 경희치랑 지사의랑 입결 비슷한걸로 알고있었는데요
입결과는 별개로 조금 더 멀리봤을때는 연치가 괜찮아보여서요.. 의대가서 중간이상하는것도 여간 쉬운일이 아니라..
그렇긴한데 의사자격증이 치과의사자격증보다 쓸모가많다더라구요 굳이 개원의가되지않아도 의사자격증있으면 어디든 우대해준다고 일단 의대가 나중 진로고민할때 선택권이...아무래도 치대는 개원뿐이 길이 없으니까유
의견 감사합니다 ! 일장일단이 있군요
현실적으로 치과개원이 일반병원개원보다 비용도많이드니 참 둘중하나 선택하기 꽤 어려운듯싶습니닷ㅎ
그런 문제점도 있군요.. 하나만 알고 둘은 몰랐네요 .. "연세"라면 그래도 최상위티어라생각했는데 ㅎㅎ
222
인설의들은 전부 이름값도 있는편이라
고려 경희 한양 중앙
음 너무 닥후여서....서울대도 아니고..
입결을 논외로하고 본다면 어떤 방면에서 그렇게 보시는지 여쭤봐도될까요?
입결이 크고
치과보단 선택의여지가 높은 의사가 훨씬낫죠
치과가 더더욱 개원이 힘들어지면서
의대가서 중위권 이상하는게 쉽지 않더라고요.. 저만 그런걸수도있지만 다들 잘하다보니.. ㅜㅜ
ㅠㅠ 저도 만약 간다면 센터라도 하고싶네요ㅠ
그러다보니 연대 치대 (안가본길에 대한 환상..?)이 생긴것 같기도 하고요.. 치과는 의대에서 중위과이상은 하니까요..
이제 연치는 삼룡급이죠 인서울의 승!
치대랑 수의대랑 비교하면 어떤가요..? 입결말고 미래로봤을때
애견시장이 활성화되서 수의대도 견찮을거같긴한데..
제 짧은식견으로는 치대가 좋아보입니다. (단순히 수입 측면만 따지고봤을때) 아직 우리나라 애견에 대한 사람들의 보편적인 인식이 그리 성숙한 편이 아니라고 판단되어서요.. 저는 정말 단편적으로만 알고 있는 것이고 다른 여러 의견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