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 산업공학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32387
연세대 산업공학과 수강요람.pdf
1. 서론
제가 준비한 두번째 학과는 바로 공학의 마에스트로, 산업공학과입니다.
산업공학은 복잡한 프로세스나 시스템의 최적화를 다루는 공학의 한 분야로 산업과 인간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최적화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종합 시스템을 설계, 개선, 설치하는 학문입니다. 산업공학 기술자들은 시간낭비, 돈, 재료, 인력시간, 기계시간, 에너지, 그리고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다른 자원들을 제거하기 위한 목표를 향해 연구합니다.
산업공학과를 한 줄로 요약하자면,
"공학 · 과학적 지식에 경영 기법을 접목해 다양한 산업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입니다. 다른 공학계열 학과와 같이 무언가를 만드거나, 발명하거나, 창출하지는 않지만 개별 기술들이 어떻게 조화롭고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지, 이러한 기술들의 체계적인 이용, 시너지 효과의 창출, 시스템적인 접근 방식, 자원들의 이용 효율성의 극대화를 연구합니다.
2. 산업공학과에서 배우는 내용
(그림 1.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전공 산업공학개론 강의목차)
(그림 2.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과과정)
산업공학과에서는 운영관리, 관리과학, 운영연구, 시스템공학, 관리공학, 제조공학, 인체공학, 안전공학 등 전공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산업공학은 공학계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물리보다 수학, 경영, 프로그래밍에 중점을 둔 학과입니다. 이 때문에 수학의 미적분보다는 통계를, 시스템적 최적화와 통계 분석을 위해 프로그래밍 실력을 요구합니다.
산업공학에서 세부적으로 어떠한 내용을 배우는지 배우려면 결론에 소개하는 두 책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한산업공학회에서 저술한 책으로 초심자가 비교적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산업공학에 입문하기 쉽게 작성되었습니다.
위 산업공학 전공 중 몇가지를 설명드린다면,
1학년 전공과목 산업공학개론: 산업공학의 제반분야, 경영과학, 생산관리, MIS, 인간공학, 확률통계, 시뮬레이션 등에 대한 소개와 Overview를 다룹니다.
2학년 전공과목 산업정보관리론: e-비즈니스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의 필수 요소인 데이터 베이스의 기본 개념, 개체-관계 모델, 관계형 베이스와 구조적 질의 언어 사용 방법을 배우며, 개별 프로젝트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와 비즈니스 정보시스템과의 연동 방법을 학습합니다.
3학년 전공과목 금융공학: 금융 및 경제 상황을 과학적으로 예측하고 관리하는 학문 분야로서 금융 및 경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을 우선적으로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무분석 및 주가변동 분석에 필요한 고급 수리적 모델을 소개하는 전공입니다.
4학년 전공과목 테크노비즈니스디자인: IT 신기술 도입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고 시장수요, 기업전략 그리고 기숙의 특성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론을 학습합니다.
3. 학부졸업 후 진로
산업공학의 주요 목적은 산업 전반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프로세스를 학습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시스템과 툴을 습득하여 산업 전반의 프로세스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공학 전공자는 어느 한 분야에 대해 심층적인 지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 산업 분야와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한다는 차별성이 있습니다. 다른 공학을 전공한 사람이 해당 전공에 맞는 분야에 심층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면, 산업공학은 모든 분야를 효과적으로 구성해 활용할 수 있다는 차별화된 강점이 있습니다.
산업공학의 강점은 진출 가능한 산업군이 넓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산업공학은 한 가지 특정 분야가 아닌, 산업 전체를 바라보는 시야와 프로세스, 툴을 학습하므로 자동차, 반도체, 기계, 전자, 컴퓨터, 시스템, 식품,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산업공학의 약점은 복잡하거나 전문적인 산업군에 대해 지식 습득이 힘들고, 개발이나 설계 등의 분야에 관여하기 어렵습니다. 특정 분야를 심층적으로 공부한 것이 아니므로 전문 산업군일수록 취업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공학 전공자를 주로 채용하는 분야에선 전공자가 아니라면 회로도나 전자 관련 지식을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동차 전장파트(전자제품)같은 분야에는 산업공학자가 아닌 전자공학 전공자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산업공학에 들어가신다면 정해진 길을 따르기 보다는 자기 강점을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 한 분야에 깊게 파고들어 연구하는 전문성이 있는 학과는 아니지만, 전체 산업 분야를 마에스트로처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때문에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대응이 매우 빠른 학과입니다. 따라서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지금 이 시기, 산업공학과가 스마트 팩토리, 블록체인, 3D 프린팅 등 최신 기술을 빠르게 습득해 시스템 개선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역활을 발휘한다면 산업 전체에 큰 도움이 될 뿐더러 개인도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4. 결론
(그림3. 산업공학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 )
SK텔레콤 장동현 사장
"대학에서 끊임없이 반복해 배우고 연구했던 것은 '최적의 해법찾기'였다“면서 "CEO의역할이 바로 정답을 찾는 게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서 최적의 해법,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 "
카카오 김범수 의장
"산업공학은 공대이면서 경영학을 동시에 아우른다는 점이 매력적이라 전공으로 택했고,그 선택이 지금의 나를 있게 했다“
딜로이트 컨설팅 김경준 대표
"어디로 가야 하는지 방향이 분명하지 않고, 연관 없어 보이는 요소들을 결합해 시너지를 내야 하는 요즘 시대에는 산업공학과의 강점이다
A. 스마트 세상을 여는 산업공학 - 대한산업공학회 지음
산업공학은 최근 전성시대로 불리워질 정도로 국내 산업 발전에 여타 공학과 비교하여 전혀 뒤지지 않게 당당히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가 비교적 짧고, 학문의 이름(‘산업’)이 포괄하는 의미가 광범위하고 구체적이지 못한 이유로 일반 대중들로부터 제대로 인식되거나 이해받지 못하고 있다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공학의 핵심 학문이 산업공학이다. 공학과 경영을 합쳐서 비즈니스를 창조하고, 사람의 생활을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산업의 창조와 설계 그리고 산업리더십을 배우고 연구하고 실행하는 학문이다
(그림4. 스마트 세상을 여는 산업공학)
B.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설계한다 - 대한산업공학회 지음
본 서에서 소개하는 분야 및 사례에 관련된 기술들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들이라 일컫는 것들로서 빅데이터 애널리틱(Big Data Analytic), 인공지능, 3D 프린팅, 사물인터넷,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팩토리, 증강현실, 사이버-물리 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블록체인 기술, 시스템 최적화 기술 등입니다. 비록 산업공학의 측면에서 본 서를 구성하였지만, 본 서는 4차 산업혁명의 미래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미래의 나의 전공을 선택하는 기로에 서 있는 청소년, 미래 산업에서의 본인 전공의 역할과 향후 취업 및 진로를 고민하는 대학생, 기업 현장에서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부서의 구성원 등이 모두 대상이 됩니다. 이 분들에게 본 서가 조금이나마 자신들의 미래를 설계하고 현재의 업무에 도움이 된다면, 본 서의 저자들에게 더 할 나위 없이 보람과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림5.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설계한다)
산업공학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 싶다면...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홈페이지 https://ime.postech.ac.kr/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수강요람 + 홈페이지 https://ie.yonsei.ac.kr/ie/index.do
(수강요람은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http://ie.snu.ac.kr/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https://ie.kaist.ac.kr/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더 많은 분이 볼수 도록 좋아요를 누른 다음에
목록으로 돌아가기를 통해 다른 가이드를 찾아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슨떡밥이지 0
모르겠고 저녁에 채권사야되니까 오늘도 원화채굴 개시
-
붱모 3회 후기 1
시간은 40분걸렸고요 왠지 모르게 다 익숙한 문제들이더라고요 29번이 조금 어려웠어요
-
이런거 빈출 유형인가
-
경제적으로 독립해야겠어요 어차피 학부는 아빠 직장에서 장학금 나오니 생활비만 알바로...
-
국어 비문학.. 0
학교 내신은 2-3, 모고는 4나오는 학생입니다(광역자사고) 국어모고가 저따구로...
-
통통이들 안심하고 있을 때 통수 갈기기 확통 사탐 점수만 잘받으려고 런친걸 보고만 있으려나
-
뭔 논란이 생긴거야... 커뮤에서 다 같이 잘 지낼 생각을 해야지...
-
일단은 시간은 90분이 걸렸고 100점 받았습니다. 굉장히 어려운 시험지였던거...
-
여러분 안녕하세요, 샌디라고 합니다. 예전에 가입은 했는데 글 쓰는건 처음이네요...
-
ㅜㅜ안보이시네
-
롤스는 원초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의 합의는 호혜적인 사회를 지향한다고 하잖아요...
-
다른건 모르겠고 3
비갤에 헛소리 도배하는게 웃겼음
-
최근 24,25수능 비문학 지문보다 내용연결이 깔끔한 편인가요?
-
ㄷㅇㄱㅇ 이 사람 뭐 ... 무슨 사연있음? 뭐가 문제지? 미필이라서? 와 악마가 따로없네
-
6모 수학 적백 다른 과목들 백분위 언89 미99 영1 생윤96 윤사96 찍히면 어디감??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는 조건을 실수 전체의집합에서 연속이다로...
-
피램에서 모르는 단어 무조건 찾아보면서 공부하라는데 정말 피램 독서 공부해서 독서...
-
[단독]정부, 北개별관광 검토… 관계 복원 카드로 준비 8
이재명 정부가 남북 관계 복원 카드로 북한 개별 관광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
부엉모 3회 5
90분 컷 100점
-
어느 정도 수준인걸까요 나름 평균 이상인 거 같은데 문제 풀이 속도가 느린지 항상...
-
토욜에 한 4시간은 죽치고 앉아잇어야 되는데
-
쓸모는 없는데 성공하면 간지난단말이죠 오른쪽으로 90도 돌려보면 부엉이처럼 생겼네요
-
수능에 7덮 난이도로 나오면 경제 1컷 몇 정도로 잡힐까요? 0
41 ㄱㄴ?
-
ㄷㄷ
-
친구랑 싸우다가 친구가 우발적으로 내 목을 자름 근데 내가 죽지 않고 경찰에...
-
난사는 아니지만 아무튼..
-
운 띄워주실분
-
7월에 공부시작해서 어삼쉬사 풀고 8월 중후반에 실개+기출 하려는데 아ㅇㅣ디어기생집...
-
아직도 개강한가요?
-
오늘 올라오는거 맞나요?
-
이름 번호 집주소까지 털리면 끝난거잖아 하..
-
떡밥이 난잡한게 아주 훌륭함
-
부 5
엉
-
자자 1
오후 공부도 화이팅 해볼까요?
-
@chempower6.02 뎸 해라 SRT 통하는 곳이면 전국 어디든 간다
-
너무 어렵다
-
풀모의고사 형식으러 풀면 안졸려요 기출문제집 산게 아깝긴 힌데 해설만 쓰고 뽑아서 문제 풀까요?
-
오우...
-
오르비엔 은근 5
아픈 사람이 많음.... 많이 아파보임...
-
같은노력을해도 과목별로 나는 성적 격차의 원인이 뭘까 12
같은노력->모두 고르게 열심히 예를들어 나는 영어,사탐에 강하고 수학에 약함
-
1. 무죄추정 원칙 ㅈ까고 그냥 올리는거랑 2. 경찰관까지 얼굴 올리는거 영정 맥여야함
-
사설을 풀기 위해서 배워가는 것이 되게 많은 것 같음 사설 보면서 열심히 정리하고...
-
찾아도 아무 글도 없어
-
13 15 22 28 30 틀렸고 문제들을 보면 11번은 기함수의 성질을 사용해...
-
똥글 2
일단 난 2번
-
지금 높3-낮3 왔다갔다하는데 최저러라 수능에서 3등급 목표고 뉴런 수특 N기출이나...
-
지금 일부 카드사들 앱이 터져서 접속 불가인데 카카오페이로 신청하면 5초안에 편하게...
연대 산공이면 취업 걱정은 없나요?
거의 없지만 진리의 케바케에요
내일 연대산공 면접갑니다.. ㅎ 서울대는 떨어진듯하고 ㅠㅠ

화이팅..! 합격소식 꼭 알려주세요1줄요약)이과 경영학과
일본에서는 그래서 산업공학과가 산업경영학과에요!
수학적 사고력이 크게 영향을 미치나요??
좀 늦었지만 컴공 산공 복전 어떻게 생각하세용
산공에서 빅데이터 혹은 스마트팩토리 접목시킨다면 컴공 아주 좋을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