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칼럼 주제 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496676
수능이 끝났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앞으로 몇달 동안 역사와 관련된 글들을 써볼 생각입니다.
어떤 내용을 주제로 쓸지 추천 좀 해주세요.
역사 영화 추천도 받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채택시 덕코
-
남자도 여목 가능하면 되요 우우 여붕아
-
경일 추합으로 문닫고 4개월 독재해서 전남 최초합 햇는데 아쉬움이 남아서요 한 번...
-
애들을 갱생 시키기 위해 인스타,유튜브 다압수하고 매일9시 2명 모닝콜 하는중 ㅋㅋ...
-
인하대 반수 1
인하대에서 반수할 예정인데 나이는 26수능 기준 4수입니다 대충 어느정도까지...
-
솔직히 수능 또 보는거는 중독 같기도 한데..
-
롤하는 사람들 1
나뺴고 하고 잇으셈 ㅇㅁㅇ..
-
옷 핏이 정상화되는게 좋네 거의 항상 정상체중이였다가 고3때 미친듯이쳐먹어서...
-
스블 수2 문제 너무 어려운데 계속 들어도될까요... 1
10문제 있으면 푸는건 6문제 남짓인데 드랍하고 딴 거 하는게 좋을까요?
-
과연 여기서 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올수 있을지
-
언. 미. 영. 생. 지 89. 93. 2. 81. 81
-
내가0교시와 2교시에 실수를하지않았다면
-
후후
-
붙으면좋은거고 떨어지면아쉬운거고 어차피 원래할려던건 대학 합불하고는 1도...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수준을 일본, 유럽연합(EU)...
-
옵붕이 먹었어
-
맞으니까 시발아
-
a학부모가 자식 결석한다고 원장한테 문자 보냄 원장이 나한테 말 안 해줌 난 a가...
-
크로녹스 지1 1
크로녹스 베이직으로 하는게 낫나 어느정도 개념은 되어있긴한데.. 상중하 다 보기는...
-
9개월뒤 공개
-
생윤 질문! 0
2단원 삶과 죽음의 원리 중 죽음을 통해 도덕성을 실현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 학자가...
-
맨날 반박이랍시고 너네가 ~햇으면 안 그랬을 거잖아 라는 지 혼자 망상으로 내는...
-
알빠노 내가왜 그정돈가
-
짜증나 짜증나 44>55 수탐퍼거 대학 이 기회 잡아야 한다고
-
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어서 이걸 완벽하게 해도 저걸 왜 안했냐며 꼽 ㅈㄴ 먹고...
-
카레를 먹는다 1
맛잇구나
-
남친?이랑 싸웠는데 남자 입장에서 남친 심리 분석 좀 8
내가 2년전부터 좋아한 남자가 있는데 저번에 첫데이트함 계속 좋아했다고 사귀고...
-
님들 이성적 어디감 17
-
이거 좋음뇨?? 너무 비싼데 좋다길레 약간 솔깃함 팔랑팔랑
-
몇등급 나올것같음? 고1 3모는 중학수학이잖아
-
언제쯤떠요? 입학처에
-
이게 인기글 1위임
-
내일부터 학원알바야 12
으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하기싫어 그치만 돈 벌어야지…
-
기브 앤 테이크 8
이미지 써주세요
-
현재 본인 상황 10
집 - 세상 누구와도 연락할 수 없음 밖 - 와이파이존에서만 메신저 가능 전화랑...
-
남에게 물어본다고 알수잇지 당연히 남들이 보는 이미지니까
-
영어 진찌 개노잼 과목
-
여러분은 자진해서 인생 익스트림하드 모드를 부팅하지 마시길..
-
추합 0
서성한 라인 나군 월요일부터 이전만큼 추합 잘 돌까요??
-
귀찮다... 보통 3월부터 시작하려나요 편입학원 아니다 생각난 김에 찾아봐야지 파이팅
-
툭하면 유심빠졌다고 계속 껐다켰다하던때가 생각나네 cms다니다 엘레베이터 틈새로...
-
화미생지 백분위 88 88 88 88 받으면 공대기준 어디까지 가능하다고...
-
이미지 ㄱㄱ 26
오랜만에 또 써줄게요! 곧 여기말고 옯스타 위주로 활동 예정이라..
-
정규 가면 나아지는건 맞냐..? 중간중간 하이라이트만 골라보는데 기인 빼고 다...
-
중앙대 전과 2
중대 전과 진짜 쉽나요? 어디서는 진짜 쉽다고 실패하기 쉽지 않다고 하는데 또...
-
과연...?
-
이미지 써주고 싶은데 27
잊어버린 사람이 많아서 입대 전처럼 써줄수 없을까봐 좀 쫄림 그땐 진짜 옵창시절이어서 가능했는데
-
윤서연개좋다 0
-
중간에 한두번 잠깐씩 됐다가 몇시간씩 저러길 반복중... 집에 와이파이 안되서...
역사 영화 '배리 린든' 추천이요
스탠리 큐브릭의 유명 작품이죠. 근데 정작 유튜브 클립으로만 보고 영화는 못봤네요; 한 번 봐야겠습니다.
전 역대 왕들의 기행들이요 고려 충혜왕의 망나니짓이라던가 뭐 그런거
조선이 쓸게 많죠. 그것도 재밌겠습니다.
심오한 주제군요. 영화의 역사적 독해는 감이오는데, 역사의 영화적 독해는 생각해본 적 없는거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요?
아 저는 평소에 현재 할리우드를 비롯한 독립 영화 시장과 연예계 엔터테이먼트 시장이, 역사가들이 어떻게 이를 기록으로 남기고 평전할지에 때에 평소 생각을 많이했었는데, 역사를 '영화적으로' 어떻게 영화기법을 사용하여 해석할지를 말하시는거였군요. 이는 본질적으로 역사란 무엇이냐라는 원론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게 하는거 같습니다. 한 번 고민해보겠습니다.
미국은 왜 축구를 즐겨하지 않는지 알려주세요
잘 모르겠네요 ㅋㅋㅋㅋㅋ 영국과의 라이벌 의식인가
북위 붕괴와 호한체제의 완성
북위는 중국 대륙 내의 여타 침투 정권들과 다른 독특한 양상을 가졌다는 점이 상당히 매료적이죠. 근데 제가 잘 알고 좋아하는 주제는 아니라서 ㅠㅠ
동아시아 유교 정치의 발전
알겠습니다 :)
이 시국에 좀 그렇지만 일본의 전국시대 어떠신가요
그쪽을 제일 좋아합니다! 차근차근 써볼게요
2차대전 후 일본의 경제성장에 대해 썰로 풀어도 재밌을 것 같네요
고것도 좋겠네요
역사 영화는 역시 킹덤 오브 헤븐 아니겠습니까.. 물론 원역사와 다른 점이 있지만
고증이 상당하죠 감독이 덕후인지라. 그 동네 역사는 원래 고증이 힘듭니다. 왔다리 갔다라 하는 것도 많고 영화적 요소도 생각해야니까요. 명작이죠 정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