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 돋보잡 강사 ] 영어 영독 수완 연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428189
대치동에서 영어 강의를 하게 될 태섭T 입니다.
1. 올려드린 200지문중 4개 연계되었습니다.
→ 29, 30, 31, 35
2. 한 3 ~ 4천여분 다운받아가신 것 같은데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을 것 같습니다.
모두 좋은 결과있었기를 ^^
★★★★★
4-29
The role of science can sometimes be overstated, its exponents slipping into scientism. Scientism is the view that the scientific description of reality is the only truth there is.[과학의 역할이 과장된 것을 가지고 과학만능주의라고 하는데, 과학 만능주의는 과학으로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유일한 진실이라고 보고 있음] With the advance of scienc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lip into scientism, and assume that any factual claim can be authenticated if and only if the term ‘scientific’ can correctly be ascribed to it. The consequence is that non-scientific approaches to reality—and that can include all the arts, religion, and personal, emotional and value-laden ways of encountering the world—may become labelled as merely subjective, and therefore of little account in terms of describing the
way the world is[과학 만능주의는 비과학적인 접근방식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주관적인 것이라 생각]. The philosophy of science seeks to avoid crude scientism and get a balanced view on what the scientific method can and cannot achieve.
핵심 내용 요약 : 과학 만능주의는 –하다.
수능특강 영독 ★★★
3-17
Although commonsense knowledge may have merit, it also has drawbacks, not the least of which is that it often contradicts itself. For example, we hear that people who are similar will like one another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but also that persons who are dissimilar will like each other (“Opposites attract”). We are told that groups are wiser and smarter than individuals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but also that group work inevitably produces poor results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Each of these contradictory statements may hold tru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but without a clear statement of when they apply and when they do not, aphorisms provide little insight into relations among people.[언제 적용되는지와 언제 적용되지 않는지에 대한 명확한 진술이 없으면, 통찰력 제공 X] They provide even less guidance in situations where we must make decisions. For example, when facing a choice that entails risk, which guideline should we use—“Nothing ventured, nothing gained” or “Better safe than sorry”? [어느 것을 선택해야할지 모름]
핵심 내용 요약 : 속담이 언제 적용되는지, 언제 적용되지 않는지에 대한 명확한 진술이 없으면 통찰력 제공 X
★★★★★
5-36
Suppose we know that Paula suffers from an acute phobia. If we reason that Paula is afraid either of snakes or spiders, and then establish that she is not afraid of snakes, we will conclude that Paula is afraid of spiders.
(B) However, our conclusion is reasonable only if Paula’s fear really does concern either snakes or spiders. If we know only that Paula has a phobia, then the fact that she’s not afraid of snakes is entirely consistent with her being afraid of heights, water, dogs or the number thirteen.
(A) More generally, when we are presented with a li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some phenomenon, and are then persuaded that all but one of those explanations are unsatisfactory, we should pause to reflect. [ 답 1개가 확실하다고 설득된다면, 멈춰서 심사 숙고해야한다.
(C) Before conceding that the remaining explanation is the correct one, consider whether other plausible options are being ignored or overlooked.[그럴듯한 선택안들이 간과되고있지 않은지 생각해봐라] The fallacy of false / choice / misleads when we’re insufficiently attentive to an important hidden assumption, that the choices which have been made explicit[명백한 것으로 밝혀진 선택] / exhaust[고갈시키다=빈칸추론] / the sensible alternatives[합리적인 대안 = 빈칸 추론 ].
핵심 내용 요약 : 섣불리 결론 내리지말고, 다른 대안들도 생각해보자.
★★★
5-33
Speculations about the meaning and purpose of prehistoric art rely heavily on analogies drawn with modern-day hunter-gatherer societies. Such primitive societies, as Steven Mithen emphasizes in The Prehistory of the Modern Mind, tend to view man and beast, animal and plant, organic and inorganic realms, as participants in an integrated, animated totality.[인간, 동물, 식물, 유생물, 무생물 모두 하나] The dual manifestations of this tendency are anthropomorph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animals as humans) and totem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humans as animals), both of which pervade the visual art and the mythology of primitive cultures. Thus the natural world is conceptualized in terms of human social relations. When considered in this light, the visual preoccupation of early humans with the nonhuman creatures inhabiting their world becomes profoundly meaningful.[모두 하나] Among hunter-gatherers, animals are not only good to eat, they are also good to think about, as anthropologist Claude Lévi- Strauss has observed. In the practice of totemism, he has suggested, an unlettered humanity “broods upon itself and its place in nature.” Through their observation of other species , primitive peoples find ways of conceptualizing human relationships.[모두 하나]
핵심내용요약 : 인간 / 동물 / 식물 / 무생물 / 생물 모두 하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확통 과탐 받아주나요
-
점심 뭐묵지 0
-
원과목 건너뛰고 투과목만 듣는게 시스템상 가능한가요? 예를 들면, 2학년때 물1...
-
내 방에 진짜 영원히 안 쓰는 물건들이 쌓여 있는데 0
왜 버리지 못할까 오늘 저녁에 2년 이내로 안 쓴 것들은 가격이나 용도 뒤도 안...
-
읔ㅠ 나도 리밋알파
-
자매품으로 기균메타도 있음
-
거 화력 되게 오래가네
-
모든 입시 전형은 ‘공정‘해야합니다 제가 말하는 공정은 “내가 붙고 너가 떨어졌을...
-
수도권쪽은 아직 시작도 안했나요
-
님들근데 딴건몰라도 국어실력이 어느정도이상가도 실력이 는다생각함? 2
선지논리도 결국은 상황마다 다르고 그냥 즉흥적으로 주어진 상황에 맞게 판단한다=본질...
-
그냥 농어촌에 대한 건설적인 토론 하면 좋을거 같은데 3
그냥 n수생이라 배배 꼬여서 이해당사자 아니라고 감정배설하며 저주 퍼붙는거 같은...
-
기초개념,기출학습 완료했는데,실전개념 강의를 지금부터 모두 듣긴 부담스러워서 한완수...
-
https://youtube.com/shorts/KnK18jxz0G0?si=IVDVs...
-
섹스 6
잘 잤니
-
어제 어쩌다 보니 피규어를 2개 뽑아버려서 가방공간이 부족해졌네요
-
지금 김동욱 일클 끝내고 취클 들어가야하는데 일클에서 연필통 풀면서 문제 난도가 좀...
-
이 병신은 뭐노 2
촌놈들 봉기운동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생각하는 꼬라지 부모 머리끄댕이끌고 와서 연소득...
-
쎈 문제도 못푸는 애들이 수두룩한데 대치동 현강에서는 22번 30번급을 한 강의에...
-
6월 4일 맞는거 같음 속보까지 나온거면
-
뭐임? 저거밖에 없음?
-
3일 대선 4일 모고
-
소득분위별 대학 가산점(Max 설대식 5점) 하면 좋겠다
-
왤캐졸려 5
봄이라 그런가 ㅅㅂ
-
항상 하나씩 틀리는데 들어야할까요? 하루 수업에 13만원(라이브)태우는건 좀 아까운...
-
진짜로 감동적이긴 할듯요누가 가르쳤는데 ㅠㅠ눈물이 스르륵 스르륵 ㅠㅠ
-
러셀은 실제 시험장과 너무 다르다
-
선거 때문에 6평 날짜 바뀌면은 6월 3일 이전임? 후임? 2
어떻게 바뀌지
-
생각난 김에 0
공생발생설 지문 다시 기출분석하고 해설 찾다가 재밌는 칼럼 찾음...
-
220628 3
-
ㅋㅋㅋㅋㅋㅋ
-
논술 문외한이어서 진짜 ㅈㅅ 수리논술 생각중인데 최저 높은거로 하면 애들 많이...
-
대선방송 보지 말라는거임?
-
진짜냐구우우웃;;
-
https://m.ytn.co.kr/news_view.php?key=202504081...
-
ㅈㄱㄴ
-
강기본 이런책이 있었나요?
-
3모4떳고 지금 새기분 듣는데 등교하는 날은 강의 듣기 버거워서 강기분 독서에서...
-
저 아이린 닮고 싶어서 맨날 내가 아이린이라고 상상하니까 아이린보다 이뻐진듯ㅋ
-
백날천날 오르비 거주중인 N수 반수생들 떡밥을 학교에 있는 현역이 어떻게 따라감?...
-
여름 아닌가
-
다른 분들 의견도 궁금해서 써봅니다 교육부는 본과 3·4학년생을 중심으로 수업...
-
딱 한 번 깸
-
국어에서 무슨지문 풀었고 뭐배웠고 수학에서 뭘 몰랐고 이런거
-
꼬우면 돈많게 태어나라 ㅋㅋ
-
피드백 해주시나요 고민이 많음 실전
-
어떻게 모든지방 자세한사정까지 다알고 하겠음 객관적인 기준이란게 있을수가있나...
-
물론 사람이 항상 생산적인 일만 해야하는 건 아니긴 해
-
또 전통놀이구나 1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