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에서 대화체와 화자가 이야기를 건네주는 방식의 차이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014510
대화체하고 화자를 이야기를 전해주는 방식이 서로 다른 뜻이라고 들은거 같은데 둘의 정확한 정의가 뭔지 모르겠고 차이도 뭔지 모르겠어요 ㅠㅠㅠㅠㅠㅠㅠ 국어 고수님 도와주세여어어어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014510
대화체하고 화자를 이야기를 전해주는 방식이 서로 다른 뜻이라고 들은거 같은데 둘의 정확한 정의가 뭔지 모르겠고 차이도 뭔지 모르겠어요 ㅠㅠㅠㅠㅠㅠㅠ 국어 고수님 도와주세여어어어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후자는 청자가 드러나야 됨
대화는 말하는 이가 2 (청자가 응답해야함 청자의 유뮤로 파악하려고 ㄴㄴ)
청자가 있는데 대답안하면 독백으로 보기때문에
말건네는 방식은 청자설정 있어야함
Ex)너,당신, //~주렴 ~게
그니까 대화체는 말하는 이가 말하고 나서 청자가 응답해야되고 (응답안하면 독백적 진술 되는거고)
근데 말 건네는 방식은 청자설정이 있어야 한다는 게 무슨소리 에요? 그 안에 대화가 있다는게 좀 처럼 감이 안와용 ㅠㅠㅠㅠㅠㅠ
독백적 진술 일 수도 있는거 (오타남)
말 거네는 방식의 예 하나만 들어주실수 있나여?ㅠㅠㅠㅠㅠㅠ 감이 안와용
너 , 당신 이렇게 말하는거
근데 대화는 청자가 응답을 해야하는 거죠
저도 좀 이해가 안가용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청자 설정=청자가 표면에 드러나야 해요 아니면 명령문 청유문 상대 높임법으로 찾고
근데 이거 맞나...ㅋㅋㅋ
지들끼리 떠드는거와 독자인 나한테 이야기하는거 차이 아님?
https://orbi.kr/00025014709
참고하시면 정리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