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플러효과좀도와주세여ㅜㅜㅜㅜ젭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906586

1. 공전궤도장반경이 작을수록 잘 관측된다는데 여기서말하는 공전궤도장반경은 행성의 공전궤도인가요? 그러면 1+2인가요?
2. 별질량이 작아질수록 관측잘된다고했는데, 별질량작아지면 저 사진에서 거리가달라지는것이 있나요??
3. 행성질량크면 저 거리중 달라지는거있나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공전궤도 장반경은 1+2, 행성의 질량이 달라지면 공통질량중심의 위치가 달라져요
중심별 질량이 작아지면 공통질량중심으로부터 별이 멀어지고 공전궤도가 커져서 도플러효과가 더 잘 관측됨
근데그러면 이문제 ㄴ 왜틀린선지인가요?? 질량에따라 거리달라지는거맞지않나여?ㅜㅜㅜㅜ
별의 질량하고 관계있는거 아닌가요 중요한건 별이랑 공통질량중심을 갖고 도는 행성의 질량인 것 같은데
질량이 크다고 지구로부터 거리가 막 멀어지는건 아니라서
2번궤도 : 별 / 1번궤도 : 행성
기본적으로 행성의 질랑이 클수록 별과 행성 거리가 가까워지고 별의 움직임이 더 크게 영향받습니다.
시소 생각해보세요
1. 1+2 맞아요 2.별의 질량이 작아지면 2가 길어져요
3.행성 질량이 커져도 2가 길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