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Medic [556494] · MS 2015 · 쪽지

2019-09-11 12:05:06
조회수 1,523

수능에 경제지문이 나온다면 소재 예측(성지글이 되길 바라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557664

 9월 법지문이 정유라 -삼성 사태에 관련한 ㅋㅋ 지문이라는 것을 듣고 삘받아서 저도 한번 올려봅니다.

수능에 경제 지문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나온다면


경제 지문 관련 주요 이슈


1. 세계 경제  디플레이션 우려 -> 디플레이션 관련 지문

   - 1번과 관련해서 마이너스 금리의 영향 (일본, 독일 등)


2. 재정정책 -> 불황기에 독일, 한국 등의 재정에 여력이 있는 국가는 재정을 풀어 경기를 활성화 해야 한다. 뭐 이런거
 IMF 의 권고 사안

   - 재정정책 관련


3. 보호무역 (미국 보호무역주의, 미 중 간의 무역분쟁, 일본의 무역 꼬장 등)

   - 보호무역의 역사(이것이 대공황의 원인 중 하나라는 정설 이런거...)

   - 일본은 줫도 모르고 보호무역하는 개객끼이다. (관련하여 전략물자도 나올 수 잇음, 이건 경제 파트는 아님)


 경제가 나온다면 이 3개 중에서 나올 듯요... ㅋㅋ

지금이 9월이고 곧 출제 교수님들이 합숙 들어가니 이 후에 발생한 경제 이슈가 지문에 나오긴 쉽지 않고,(교수 입장에서도 지금까지의 이슈가 되는 사안들이 자기에게 익숙하고, 공부나 연구가 많이 되있을 꺼고, 이 후의 발생하는 이슈들을 다시 공부해서 문제 만들긴 귀찮음) 그래서 상반기~ 9월 중에 이슈가 되는 경제 사안에 관련한 지문이 나올 확률이 높다고 추론해 봅니다.


 수능에 나와 이 글이 성지글이 되길 바라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조선로동당남조선지부제1비서 · 885467 · 19/09/11 12:06 · MS 2019

    1번은 재앙이때문에 안나오고

    나오면 2나 3중 하나일듯

  • MathMedic · 556494 · 19/09/11 15:27 · MS 2015

    ㅋㅋㅋ 일리 있는 말이네요. 디플레이션은 논쟁이 되니 안나올 수 있겠네요 ㅎ

  • 잇올스파르타부산북 · 630320 · 19/09/11 12:11 · MS 2015

    저는 멜서스 트랩이랑 하버보슈법 엮여서 나올거같은데 어때여

  • MathMedic · 556494 · 19/09/11 15:28 · MS 2015

    멜서스 트랩이 아마 ㅋ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식량은 산술적으로 증가한다
    하버보슈 법은 암모니아 공법으로 생산성 향상? 그거 말하시는 거죠??

    생산성 향상이라는 키워드로는 충분히 매력적으로 보여요 ㅎㅎ

  • 유난히 추웠던 겨울 · 890797 · 19/09/11 12:12 · MS 2019

    오 소유점유 정유라문제였구나 ㅋㅋㅋㅋ

  • MathMedic · 556494 · 19/09/11 15:28 · MS 2015

    ㅋㅋㅋ 저도 깜놀 ㅋㅋ

  • 둘둘둘두루 · 902906 · 19/09/11 12:35 · MS 2019

    저는 분양가 상한제,,

  • MathMedic · 556494 · 19/09/11 15:29 · MS 2015

    한국 정부와 정치에서는 부동산은 금기어 입니다. 찬반 논쟁이 너무 치열해서요.. 저는 그래서 부동산 쪽은... 안나올 것 같습니다.

  • (,,>_<,,) · 900837 · 19/09/11 12:46 · MS 2019

    소유점유가 정유라-삼성일꺼라고 생각도 못했다 ㄷㄷ

  • MathMedic · 556494 · 19/09/11 15:29 · MS 2015

    저도 그거 알고 깜놀 ㅋㅋㅋ 이럴수가 하며.. .

  • 한국 지리 · 766370 · 19/09/11 15:23 · MS 2017

    4대강 뉴딜 나올수도?

  • MathMedic · 556494 · 19/09/11 19:43 · MS 2015

    제 견해를 말씀 드리면 4대강은 안나올 것 같아요... 굳이 예전 정권이 한 걸 상기 시킬 필요 없으니까요..(그게 잘한 일이든, 못한 일이든 가치 판단을 제외하고라서두요.)

    그리고 (현재의) 경제학자들은 뉴딜정책 별로 높게 안쳐요. 교과서에는 뉴딜 정책이 대공황을 극복한 계기가 되어 있다고 하지만, 요즘 경제학자들은 뉴딜정책 보다는 금리나, 제반 여건 등으로 경제가 살아나 대공황을 극복했다고 하거든요. ㅋ 어떤 정책 수단이 대공황을 극복하는데 효과적이었는지 가물 가물 하네요.. ㅋ

    여튼 금융위기 이후로 불황에 관해 연구하신 분들이 경제학계에 많아지고 있는데, 대부분 뉴딜 정책을 (부정적 혹은 아무 영향 없었다고) 평가 하고 있다고 들었어요.ㅎ 여튼 국어 지문도 경제교수님께 자문 받을텐데.. 안나올 것 같아요!! 그냥 제 생각이고 뇌피셜 입니다.

  • 한국 지리 · 766370 · 19/09/11 22:57 · MS 2017

    WoW
  • 무엇이 진실이고 · 887769 · 19/10/19 02:37 · MS 2019

    헐 왜 정유라랑 엮인건가요??? 소유점유가?? 이번엔 어떻게 공부해가야하나요?? 인플레이션같은거 경제개념인강 듣고가려하는데 효과적일까요? 아님 최근 경제뉴스중 추천해주실만한거 있으신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