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개꿀잼 [813420] · MS 2018 · 쪽지

2019-08-14 03:14:54
조회수 1,561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자연계 교육과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128615

수학


행렬의 연산과 대칭 회전 변환

벡터

복소수 이론 기초


이차곡선

초월함수와 미적분 

극한과 연속


수열

확률통계


수체계

절대부등식과 증명

집합

함수의 기초

나머지 정리와 식의 사용



과학



자연과학부:각 해당전공 필수

공학부:물리 필수

의학 치의학 약학(약전페지된다면):화학 또는 생명과학 중 택1

농생명과학부: 생명과학 필수


물리


뉴턴의 운동방정식

운동량

토크와 각운동량

기하광학

파동

빛의 이중성

현대물리 기초

전기장과 쿨롱법칙

가우스 법칙

자기장과 비오사르 법칙

열역학 법칙

열기관

단열과정의 정량적 접근

전자기 유도

회로이론 기초

교류의 직렬과 병렬

운동에너지

에너지의 보존

음파

전자기파




화학


화학평형

상평형

화학반응식의 이해

화학실험 기초

기체와 열화학

원자의 이해

오비탈과 분자결합

유기화학과 기초합성반응

화합물과혼합물

산화환원 반응

산 염기 평형

다양성자산

유기산 염기

크로마토그래피와 분석

물과 액체

고체물잘의 이해

전기화학 기초

화학양론



생물


세포의 구조

생명체의 정의

유전학 기초

DNA RNA와 생명체의 기본원리

식물

동물

신경전달의 이해

신경전달물질

세포호흡

광합성과 광호흡

생물실험 기초

단백질

트리플렛코드와 니렌버그의 실험

에이버리의 실험과 dna 의 발견

전사와 단백질의 합성

생태계 기초

진화론 기초

생명의 윤리

현대 생명공학의 흐름

염색체




지구과학


지학시간에 자서 이건 잘 모르겠음.





이렇게 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번 생각해 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프라 · 900976 · 19/08/14 10:30 · MS 2019

    지학 혐오를 멈춰주세요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4 12:22 · MS 2018

    딱히 혐오하는건 아닙니다. 지학 문외한이라...

  • 오레오턴 · 826156 · 19/08/14 14:04 · MS 2018

    그냥 I II 다 때려박아 넣은거죠 ㅋㅋㅋㅋ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4 14:58 · MS 2018

    아뇨 저희가 배우는거하고 일본고교교육과정이랑 적절히 섞었습니다.

  • 맥스웰 · 799420 · 19/08/14 17:52 · MS 2018

    각운동량이 왜 고등과정에 없는지 모르겠지만, 비오 사바르는 너무 간거 아녜요?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4 20:14 · MS 2018

    의미만 이해하는쪽이라도 배웠으면 합니다. 계산 말고

  • 물2훌리 에빱이 · 748963 · 19/08/14 18:12 · MS 2017

    각운동량은 질점 한정인가요

  • 물2훌리 에빱이 · 748963 · 19/08/14 18:13 · MS 2017

    그리고 교류 병렬회로는 거 너무한 거 아닙니까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4 20:15 · MS 2018

    직렬회로를 할때 병열도 같이 해야 확실이 머리에 박힌다고 생각시서요...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4 20:17 · MS 2018

    각운동량은 세차운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하면 충분치 않을까요?

  • 주접자제 · 871397 · 19/08/15 11:32 · MS 2019

    이분 왤케 주접떠시지... 누가 보면 맘만 먹으면 노벨상 탈 만한 인재겠어~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5 14:38 · MS 2018

    저는 절 잘 압니다. 제가 가진 지식은 고작 학사 또는 그아래 수준밖에 되지않고 그래서 이정도 지식으로는 아무것도 할수없고 제가 아는건 아무것도 아니란것도 잘 압니다. 그럼에도 저정도 수준밖에 되지않는 제가 이런글을 슨것은 교육과정이 계속 줄어들어 결국에는 대학의 교육과정도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애국심에서 였습니다.

    그걸 비판하시는 이유는 두가지 정도로 생각할수 있습니다.

    1. 현재의 교육과정이 매우 마음에 든다
    2. 저 따위는 저걸 설교할 자격이 안된다.

    1.번의 경우 개인차가 있어서 저는 제 생각을 천명한것 뿐입니다. 귀하가 딴지를 걸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2.번의 경우 누구라도 자격에 관계없이 의견표명이 가능합니다. 그게 민주주의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문가가 이야기 하면 더 신뢰성있죠.

    저는 단순히 이러면 어떨까 하고 제 의견을 전달한 것 뿐이고, 이에 이의가 있으시다면 제의견에의 결함을 해결해 주시는 새로운 귀하의 의견을 제시해 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거 하나는 알아 주셨으면 합니다. 현재 대학이 어떻게 변질도었는지 모르겠지만, 원래의 설립의도는 근대적 전문 교육 및 연구기관입니다. 따라서 대학은 자신이 공부했던 내용을 조금더 깊이 알고싶을때 진학하는곳입니다. 때문에 그에 걸맞는 호기심과 기본관련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기위해서 저런 제한을 해본 것입니다.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5 14:42 · MS 2018

    이런게 껄끄러우면 다음부턴 제 의견을 표명하는 글은 안쓰겠습니다.

  • 헐랭퐁당 · 711166 · 19/08/16 19:39 · MS 2016

    의견표출인데 왤케 불타누

  • 헐랭퐁당 · 711166 · 19/08/16 21:17 · MS 2016

    화학에 한해서 제가 생각하는 교육과정은 이정도면 되지 않을까 싶네여.
    실험은 고등교육과는 좀 괴리가 있어서...
    기기분석도 비슷한 맥락에서...

    A. 기본개념
    1.화학량적론(기본기호, 단위 등)
    2.화학반응식 표기

    B. 원자모델
    1. 돌턴부터 러더퍼드까지의 변천사
    2. 보어 모델의 분석
    3. 오비탈 이론의 분석(슈뢰딩거 eq같은 수학적 분석은 빼고, 오비탈 모양, 특성, 기호 등등)

    C. 분자모델 및 표현
    1. 루이스 구조식 이론
    2. VB이론(이론설명 및 루이스 구조식 이론 보완점 위주)
    3.(심화) LCAO이론(심화토픽, 이건 간략하게...어려우니깐)

    D. 유기화학
    1. 명명법
    2. VB이론 해석을 통한 유기물 분석(젤 기본적인 알켄, 알카인 위주)
    3. (심화)기본적인 유기합성이론

    E. 상(Phase)
    1. 기체(이상기체와 실제기체)(반데르발스식정도는 알아야할듯여ㅋㅋ)
    2. 액체(이건 그냥 현재과정 그대로...)
    3. 고체(결정구조 위주로)
    4. 일성분계와 상평형(클라우지우스 클라페롱식은 소개는 하는정도?)
    5. (심화)다성분계와 상평형

    F. 화학열역학
    1. 열과 에너지 보존법칙
    2. 엔탈피(4가지 과정 설명하면서)
    3. 엔트로피(정량적으로 접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그냥 대학가서 해도 문제는 없으니..)
    4. 깁스 에너지와 헬름헬츠 에너지

    G. 평형
    1. 평형상수 소개(농도와 압력을 구분지어서)
    2. 표준상태와 비표준상태
    3. 자유에너지와 평형상수(그 식도 소개하는 방향으로)
    4. 평형상수와 양적관계

    H. 용해평형
    1. 고체용해도
    2. 기체용해도

    I. 산, 염기평형
    1. 산염기 정의(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 루이스, LCAO)
    2. PH의 정의
    3. 산염기평형과 평형상수
    4. 중화적정과 완충
    5. (심화) 다양성자산

    J. 전기화학
    1. 산화와 환원반응
    2. 전위차와 전위
    3. 화학반응과 표준전위
    4. 비표준 전위와 네른스트식
    5. 갈바니전지
    6. 도금
    7. 2차전지와 그 응용

    I. 반응속도론
    1. 반응속도의 정의
    2. 1차반응과 n차반응
    3. 반응매커니즘
    4. 반응속도에 대한 이론적 모델
    5. 촉매

    J. 배위화합물
    1. 기본용어소개(착물 등등)
    2. 명명법
    3. 모양과 이성질체
    4. 결정장 이론의 기초

    이정도면 ㄹㅇ 이론으로 변별 ㅆㄱㄴ인데ㅠ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6 21:24 · MS 2018

    특히 물리화학이랑 유기화학 구성 좋네요

  • 댕댕이치료사 · 730407 · 19/11/25 17:20 · MS 2017

    개쩐다 멋지다...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16 21:23 · MS 2018

    와.... 이건 완벽합니다. 뭐라 딴지 걸게 업네요 ㄷㄷ

  • Lu,v · 761930 · 19/08/21 12:09 · MS 2017

    위의 것들 공부하는데 적합한 책이있나요?

  • 심홍진 · 875223 · 19/08/21 19:20 · MS 2019

    완자 화학1

  • 물리개꿀잼 · 813420 · 19/08/21 19:48 · MS 2018

    일본어가 되시면 일본대학입시문제집 사서 보시면 되는데....

  • Lu,v · 761930 · 19/08/21 21:26 · MS 2017

    일본 지금은 유토리때보다 꽤 내용이되나보네용
    후에 이과 1,2,3류 입시책사서보면될듯 ㄱ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