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고시퍼ㅇ [887691] · MS 2019 · 쪽지

2019-08-10 22:06:36
조회수 449

생윤러분들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069377

2016 기출보면 벤담과 니부어 공통점이 강제력중시인데

이런 개념은 어디에서 확인 할 수 있나요?

너무 옛날거라 요즘 트렌드랑 맞지 않나요?

김종익 선생님 책으로 공부하는데 ox퀴즈에만 있고 정확한

설명은 없네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학가고시퍼ㅇ · 887691 · 19/08/10 22:15 · MS 2019

    교육 과정 바귀기전인 17년도부터 푸는게 맞나요?

  • 제쁘 · 827130 · 19/08/10 22:22 · MS 2018

    1.벤담의 보편적 도덕원리 최다최행
    2.인간의 천부인권이 법적 테두리 속 구속된다는 벤담의 주장
    나는 이 것밖에 생각 못 하겠다

  • 제쁘 · 827130 · 19/08/10 22:23 · MS 2018

    보편적 도덕원리니깐 지키기 위해선 어느정도 강제력 동원이 있어야 한다는 말 아님?
    문맥이 없으니깐ㅠㅜ

  • Ozbeta · 881805 · 19/08/10 22:31 · MS 2019

    벤담이 패놉티콘 개념 제시하잖아요 . 감옥 .
    죄수들을 강제로 감옥에 집어넣는 '강제력'을 떠올려보세요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강제력이 필요합니다 . 법적인 면에서도 그렇지만 주로 형벌적인 면에서요 .
    강제로 범죄자들에게 형벌을 주지 않으면 사회 전체의 행복이 감소하니까 강제력이 필요하죠 .

    니부어는 개인의 도덕성이 집단의 도덕성을 규정할 수 없다고 했잖아요 . 개인들의 문제와 별개로 집단들의 문제에 있어서는 , 그 해결방안으로 정치적 강제력이 동원되어야 한다고 했거든요 .
    집단을 가만히 놔두면 너무 이기적으로 변하니까 집단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잖아요 . 그러한 분쟁을 억제하기 위한 '강제력'을 떠올려보세요 .
    개인과 달리 집단들은 강제로 억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거죠 .

  • Zola · 758219 · 19/08/11 01:46 · MS 2017

    제시문에 있음요....
    https://class.orbi.kr/course/1686
    참고해 보세요.
    열공+즐공=대박!!

  • Vena · 795473 · 19/08/11 01:50 · MS 2018

    벤담이 법학자였어서 그렇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