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하위탈출은 과거사 극복부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988714
앞선 글이 많은 조회수와 좋아요를 받았습니다.
조회수는 제목이나 흐름을 타면 많이 받을 수도 있는 것이라 그렇다치더라도(재방문도 있겠지요)
좋아요 수는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적은 것도 아니라고 봐도 되겠지요(사실 저는 놀라습니다. 이런적이 없어서)
저 글의 목적은, 국어에서 글 이해력을 통감하시는 분들께 여러분의 문제는 시험대비 공부의 부족보다는 모국어 능력 자체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씀을 드리기 위함이였습니다. 글 이후에 꽤 쪽지를 받았고 그분들에게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기 위해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자료도 보내드렸습니다.
이번 글도 동일한 취지의 이야기입니다.
흔히 수학에서 '개념'이라는 말을 하던데, 과목 공부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저는 이해했습니다. 개념이 잘 정립이 되야 실력을 쌓을 수 있다 이렇게 들렸습니다. 수능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을 잘 알아야 하겠지요. 만약 중학교 때 공부를 좋아하지 않았던 분들이라면 기초가 많이 부족하겠지만 그렇다고 대입 수험생이 중학교 수학을 공부하지는 않을겁니다. 그러나 고1, 2 에서 배울 수학을 공부하면서 중학교에서 잘 익히지 않았던 '개념'을 배울 기회를 가져야 할겁니다. 그렇게 해야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겠지요.
만약 정말로 수학을 배운 적이 전혀 없다면 중학교 수학 교과서부터(또는 그 이하부터) 시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국어는 모국어 과목입니다. 국어는 수학보다 먼저 배우기 시작한 거죠. 사람이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순서는 듣기- 말하기-읽기-쓰기입니다. 그래서 읽기보다 듣기, 말하기가 쉽습니다.(과정이 더 간단하기도 하지요) 마찬가지로 국어는 수학보다 더 근본적인 기초를 갖고 있습니다. 수의 개념을 배우기 시작할 때 언어는 이미 약간의 소통을 시작했으니까요. [ 글이 좀 루즈해졌습니다 ]
돌아오면, 국어의 기초는 생각했던 것보다 더 아래에 있습니다. 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은 언어능력과 연결됩니다. 분명히 모국어 읽기와 이해 능력에 부족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도움을 드렸지만 그것부터 개선하려고 공부의 방향을 바꾸는 것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이 안하는 것이지요. 그래서인지 저의 말에 귀를 곧잘 기울이는 분들은 대개 N수생입니다.
좀 더 특성을 이야기하면
책을 좋아하지 않았던 분들
책을 어릴 때는 좋아했지만 어느 시기에 멈춘 분들(중학교 이후부터)
마치 단어의 의미가 한 가지만 있는 듯 생각하는 분들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언어의 특성을 안좋아하는 분들(수학 러버)
이분들은 과거부터 언어를 학습하는 능력, 언어를 이해하는 기반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국어 학습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국어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거나, 국어 공부가 되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단어입니다.
수능에 나오는 개념어 또는 용어를 설명하는 교재가 많지만
실은 이미 아는 단어를 처리하는 능숙도가 낮거나
단어와 연결된 복수의미(중 맥락에 맞게 선택능력), 단어와 연결된 지식, 단어의 문법적 특성, 특정 단어가 사용되는 상황 등 이해에 결정적인 관련 지식이 부족합니다.
보통 언어를 충실하게 습득하거나 독서를 잘 하면 이런 것들을 상당히 쌓아 둡니다. 그러나 습관이나 환경, 선호에 의해 축적하지 못한 분들은 부족한 채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유창성에 대해 글을 썼으므로, 단어지식과 단어처리 숙련도에 대해 다음 글을 쓰겠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눌러주시면 글을 쓰는 저도 즐겁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죄송합니다) 헝가리 체코 의대,홍콩 금융학과,연고대 분교 잔류 중에 어느 쪽이 그래도… 19
오르비 유저님들 안녕하세요! 이런 글 오라비에 올리면 분위기에 안 맞는 거라는 거...
-
사립 공립 유학 0
재정적 지원이 충분할 때 명문 사립 vs 공립 (미국 기준)
-
와세다 게이오 (소케이)가 IB VC PE 금융권, 컨설팅, 대기업 취업 한중일에서...
-
한국에서 고등학교 졸업하고 미국 대학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유튜브에서 한국...
-
안녕하세요, 일본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는 한국의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
미국 유학은 갈 여력이 되면 가는 게 이득인가요? 22
아빠가 mit mba를 준비하고 있는데 1차 서류는 붙었고 면접만 남았대요......
-
이대는 상당히 괜찮은 선택입니다. 130년 역사가 있는 명문이니 선배들도 유학을...
-
졸업은 보장 못함
-
애리조나 0
애리조나에 정치외교학과로 괜찮은 학교가 있을까요? 있다면 어디고 거기로 편입하기...
-
http://m.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85...
-
이준석씨 안타깝네 10
그나마 연고있고 지지층 있는 곳인 노원구로 나갔더니 노원구청장이 상대후보로...
-
공대가서 학부 졸업만 하고 그냥 회사에 취업하는거랑 교환학생, 대학원가서 석사나...
-
거의확정인데 골라주세요 18
ㄱㄱ아 제 상황설명이부족한데 이과-이공계준비에요
-
그낭 중상층 정도 살고 어머니가 말씀하시길 모아둔 돈이면 갈 수는 있지만 제 미래가...
-
2016 프로야구 와일드카드 1차전 엘지 트윈스 vs 기아타이거즈 정리 15
경기 전 예상 다년간의 프로야구 시청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시뮬을 돌려본...
-
영국 유학 8
영국에 경영 경제 쪽이 괜찮나요??
-
평범한 한국 6년제 의대를 재학중입니다. 기초의학쪽으로 연구하고싶은 점이 많고 외국...
-
잘 아시는분?? 자동차 정비쪽에서 일하고 싶어서 그렇습니당..
-
외국인 전형(?)으로 일본이나 중국에 있는 유명한대학에 ex)와세다대 들어가기 쉽단...
-
아직은 재수를 할까 말까 고민할 시기 같은데요.유학도 한번 생각해볼만한 기회인 것...
-
재수를 결심했다가 늦었지만 유학쪽으로 방향을 틀었어요.여러 나라 가운데 일단은...
-
재수냐 유학이냐 결정을 해야하는데 결정하기가 쉽지 않네요.국내에서 적당한 곳 갈바야...
-
신소재 관련으로 연구하는게 꿈인 학생인데요현재 해외유학과 재수 고민중입니다.지금...
-
신소재 개발쪽이 꿈인 학생이에요. 연구원 같은거요.근데 이번 수능 기대만큼 잘 보지...
-
수준급 강의 만족스럽지만 인맥 스트레스는 있더라학비 부담, 분납/장학금으로 줄일 수...
-
한국에서 학부과정 마치고 미국이나 유럽쪽으로 석박사 과정하러 갈때 한국에서 나온...
-
1.도저히 악화되는 한국입시에 몸붙일수 없네요. 미국이나 중국으로 유학가고싶네요.....
-
유학 태그 없나.........

이따 집에가서 꼭 정독할게요감사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전 글을 이해하려고 하는 습관이 부족합니다
전두엽을 활성화 시켜서 글을 못읽어요 그래서 의도적으로 이해를 하면서 읽었는지 멈추고 집중하고 몰입하는 훈련을 많이하는 중이에요 수능공부를 떠나서 세상의 모든 텍스트를 읽기위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