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랑데뷰 오타.. 0
랑데뷰 미적 극킬 막 사서 딱 5문제 풀었는데 2문제나 조건에 오타가 있음;;...
-
경북 부산이 명문이라고 하는 논리가 과거 입결과 아웃풋이 인설 상위대에 맞먹으니까...
-
숭실숭실 1
숭실숭실~~
-
신고하려다가 실수로 링크 눌렀는데 ㅈ된건가? ;;;;; 바이러슨가요
-
신난다 신난다 0
내일 처음으로 학과 사람들 만나러 감!! 새로운 사람 사귀는 거 3년만이에여 아 설렌다
-
필의패+증원 통과되면 의대를 다닐 이유가 없다. 애초에 말도 안되는 정책이니 당연히...
-
음하하 2
음하하하하하
-
어차피 올해 가도 애기들이랑 어울리는게 쉽지 않을거고 나이가 중요한 직업도 아닌데...
-
몰아가지 마세요 0
알림온게 부계인데 저런거 본적이 없음
-
으하하
-
1년 2
1년1년1년1년
-
미적30 4
현역인데 미적 최근 30은 깔짝거릴만한데 17,18,19가형은 진짜 못해먹겠는데...
-
딮기의 개 ㅈ박은 밴픽 젠지의 이상한 밴픽과 이상한 경기력 그리고 이상한 카정...
-
오늘은 놀아야지 3
오늘은 vs 오늘도
-
예비대학 듣고 계심?
-
난 아이고 안씀 5
아이고
-
인생.. 1
-
미리 안말하면 나중에 민폐려나요 그냥 동기는 아니고 무슨 조에 배정되어버림 그...
-
아 진짜 누구땜에 10
아이고가 입에 착붙음
-
ㅈㄱㄴ
-
면허 빨리따는게 낫다는 얘기도 있던데, 솔직히 전 휴학 안해서 증원 유지되면 의대...
-
인스타 저 계정으로 저런거 본 적이 없습니다
-
보닌 잘못타서 구로역으로 빠꾸하는중 1호선이 두개면 1-1 이렇게 표시를...
-
물론 나 따라서 오르비하는 실친 1명은 제외하고~~
-
내전번이마구마구뜨나봄.. 괜히햇다
-
ㅇㅇ
-
아 웃겨 ㅋㅋㅋㅋㅋ 지방대 썰은 확실히 보법이 다르다 상남자 상여자 집단
-
미적->기하 1
현재 사관학교 목표로 하고 있고 미적하다 기하로 넘어가려고 합니다.부모님은 7월말...
-
20대후반 외제차두대… 금수저아니고 자수성가라는데
-
꿈이랑 꿈의 꿈이랑 분간 못하고 계속 못 깨다 방금 일어나니 식은땀뻘뻘나네
-
?? 6
서카포연고(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서성한디쥐유(서강대 성균관대...
-
요즘 춥냐 왜케 5
하아
-
내일 곱창먹는다 하 13
4명 모집했음
-
시험 보다 극심한 타임어택으로 홍콩가버릴듯
-
다들 공부에 관심이 없으시네 쯧쯧
-
애니메이션 1
재밌음? 추천좀 해줘잉
-
저격도 먹고 ㅜㅜ 게임도 못해 공부도 못해
-
미안해 2
혼자서 소주 2병, 맥주1병이면 살짝 제정신은 아닌거 ㅇㅈ?
-
약대6학년입니다 아무거나 물어보세요
-
d== -3/7 ==-9 (mod20)
-
설의 수석이어도 4
나같은 뻘글러더라
-
설의수석은지리네 5
-
22학년도부터 있었던 평가원 모고중에서 미적분 파트만 본다면 작수는 얘네중에 어느정도 난이도인가요?
-
심심한아 미안해 2
넌 나의 좋은 커뮤친구야 사랑해!!
-
멘사 회원 1
멘사 회원 누구나 할수있는거임?
-
literal 사전에서 읽으니 리터럴 리더럴 리러럴 이렇게 들리는데 리터,리더,리러...
-
물리하는게 맞는건가 충청도 지역인재 버릴 수 없는데
-
일클래스에커피쏟아서사망한김에 평소 들어보고싶은 브크를 들었는데요 작년브크 3세대...
-
걱정이네
Grit 풀러 가겠습니다
젊어 멘붕은 사서도 당한다!?
[충격/기괴] 젊어 멘붕을 사서 당하는 사람이 있다??
좋은 지문과 Grit하라

그릿하새오 여러분보고또봐도 띵언
그릿... 킹상훈 여기까지 생각한 당신은....
댄디킴 당신은 대체..
책으로 읽었었는데 ㅎ
미투
좋네요
스크랩!

그릿을 풀라는 거로군요제 생각이긴한데 그릿하는 것도 재능인 듯
본문에서 재능은 타고나야 하는 반면
그릿은 기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사실 저는 이 내용에도 동의하지 않아요.
말씀대로 그릿도 재능의 일종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재능을 타고나서 정해지는 무언가가 아니라 타고남+얻어진 능력으로 간주해요.
그게 재능의 사전적 의미이기도 하죠.
노력이 부족한 재능을 뒷받침해준다기보다
노력이 재능 자체를 바꿀 수 있다는 거죠.
비단 저의 견해가 아니라 유명한 심리학자인 캐롤 드웩 교수의 연구 결과이기도 해요.
모든 능력이 계발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굉장히 극단적인 예를 들면 아무리 새처럼 날개짓을 하는 연습을 해도 사람은 날 수 없겠죠)
타고난 누군가의 재능과의 간격이 너무 커서
노력으로 따라잡을 수 있을까 싶을 수도 있지만
재능 자체가 변한다는 사실은 사실이기 때문에
한 걸음이라도 더 바뀌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러니 본문에서 나온 것처럼 작은 계획과 실천으로 성취를 쌓아가다보면
그릿이라는 재능도 더욱 발달된다고 생각해요.
재능은 선천적인건데,,,(유전등등에 의한,,,)
그릿도 그런건가요?
재능은 원래 능력을 총괄하는 말이고, 요즘 재능이라는 말 자체가 타고난 재능으로 의미가 축소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고통을 감내하고 하나라도 더 노력하는 것도 능력의 일종으로 볼 수 있겠죠.
더 (고통조차 감수하며) 열심히 하게 되는 동기에는
선천적으로 그런 것에 흥미를 느껴서 그런 것일 수도 있고
환경 탓일 수도 있고
그것 자체에는 흥미를 못 느꼈었지만 성취를 느끼면서 흥미를 느꼈을 수도 있죠.
이때 가장 첫 번째는 타고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나
두, 세 번째는 후천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겠죠.
그릿도 재능임
근데 저기서 헬창이 열심히 뛰어서 그릿점수만 높게 받고 대충 살면 어떻게 되는거임? 바로 반례 아닌가
저도 심리통계에서 반례를 어떤식으로 처리하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지나가는 심리학과 지망생입니다. 저런 실험을 진행할 때 실험군을 애초에 헬창으로 택할 이유가 없죠. 일반 사람으로 선별했을겁니다. 시각자극으로 인한 심리학적 반응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는데 시력장애가 있는 사람을 쓸 수 없는 것처럼요. 그리고 원문에서 나오듯이, '체력의 한계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라는 조건을 따져 보면, 혹여 헬창이라 저 실험을 무난히 통과한 사람들은 그릿 점수 판정 대상에서 제외되겠죠?
그리고 통계는 한 사람만을 지켜보고 결론내리는게 아니기 때문에 그런 시선으로 모든 세상을 바라본다면 그 무엇도 성립할 수 없죠.
김상훈T가 그리트 오티에서 말씀해주신 분인가요?
이거 사실 Growth Mindset 관해서 Education 연설 아닌가요? 전 그렇게 들었었는데..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표현이 조금 다른거고
기본적인 전제를 바꿔야하는 Growth Mindset보다
받아들이기는 쉬울 거라고 생각해요
그릿 책 별로였음ㅋㅋ
수능 국어는 기출과 grit밖에 없다!
~~하는것도 재능이라고 생각함 >> 그렇다고 평생 그렇게 살순 없으니 마음가짐을 조금이라도 바꿔 노력을 하는게 중요
좋은 지문과 grit하라
wonner가 되어라
당연한말 하고있네 ㅋㅋ 그럼시발 하나라도 더하는사람이 성공하겠지 더 실패하나
그게 당연한 건 맞는데 재능보다도 하나라도 더하는 역량이 성공에 더 영향을 준다는 걸 연구한거죠
그릿심화편사겠스니다

정말 맞는 말 같아요수험생활이든 운동이든 뭐든지간에
노오력
넌 재능충이 아냐... 넌 록리다!
노력도 재능임 아무튼
노력은 재능의 영역이라고 볼수없음 동기 하나로 노력은 폭발적으로 할수 있는데 그건 재능이 아니지
???:재능이 없는데 노력하는게 제일 민폐다. 애쓰지마라
야 이거 제가 7년전에 본건데 아직도 우려먹노..ㅋㅋ
앞으로 7년 후에도 유효할 내용이기 때문이죠
그냥 뻔한 미국식 자기계발서 그이상 그이하도아니였어요 저는
다 좋은데 중간에 왜 개좆두???
그냥 재능이랑 노력이랑 구별하는거 자체가 의미가 없어보이는데.. 결정론적으로 생각하면 모든게 다 유전이고 재능이라고 보일수밖에 없음 결국 재능과 노력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사람마다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논박이 생긴다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