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공부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958278
저는 수학에서 정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의를 모르면 테크닉을 모르고, 테크닉을 모르면 문제를 못 풀죠.
정의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주요 정리를 최대한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게 먼저입니다. 그걸 못 하면 선수과정을 다시 배워야 하죠.
그 다음은, 정리를 문제에 어떻게 사용할 지에 대한 테크닉을 기르는 겁니다. 이미 정리에 대해 완벽히 알고 있다면, 기본 혹은 응용문제에 어떤 정리를 써서 풀어야 할지 알고 있을 것입니다. 모르더라도, 풀이를 보면 왜 이런 정리을 썼는지, 자명하게 이해되지요.
그 다음은 심화 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최대한의 생각과 노력을 하고 문제를 푸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하면 실전에 적용시키기에는 시간의 무리가 따릅니다. 위의 과정을 거친 다음에는 문제를 많이 풀어서 시간을 짧게 단축시켜야지요.
이상이 저가 생각하는 공부법이지만, 인터넷에서는 일단 처음부터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고 나와 있어서, 헷갈립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이상적인 수학 공부법일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고2입니다 오늘은 수능이 있는 날이네요. 어제 이것저것 생각을 해보다...
저도 개념이 완전히 정립되고 이후 차근차근 풀 수 있는 문제의 범위를 늘려나가는게 베스트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많이 부족하신분들 한정으로 그런 방법이 나오지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지금 중3이시잖아요 짐하고계신공부법이맞아요 ㅎㅎ 저문제많이푸는공부법은 고3이나 n수생 기준이에요
아참 지금하고계신공부법 적용시키는책으로는 한완수라는책이있어요 고등학교들어가서 보면 좋으실것같아요 ㅎㅎ
개념공부>쉬운문제> 개념 복습> 더 어려운 문제>순으로 하면 될 거 같은데여
수학은 그렇게 하면됩니다만 시험공부는 그렇게 하면 안됩니다.
시험공부는... 많이 풀어서 단축시키는 게 우선이지요.
전 문제풀이가 우선이라고 생각해요. 정의나 증명 같은 건 나중에 메꿔도 되죠.
실은 그게 수학의 발전 과정 아니었던가요. 인류가 정의란 걸 신경쓰기 시작한 건 르네상스 이후니까... 자연수가 뭔지 정의해서 고대인들이 어디에 썼겠어요?
내용만 줄줄 배워서는 와닿지 않는 게, 일단 문제에 헤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는 부분일지도 모릅니다.
대학교 학부 졸업하고 경영대학원 간 젊은이들과, 자기 사업 하다가 경영대학원 가서 배우는 사람들은 느끼는 게 다르다고들 하죠.
그리고 한완수는 개인적으로 비추합니다.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는' 걸 방해하거든요.
책 자체는 매우 좋은 책인데,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중3한테 답지(한완수) 보면서 공부하라고 권하고 싶진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