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선 넘지 말자. feat. 포퍼와 콰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791885
논리실증주의자와 포퍼는 수학적 지식이나 논리학 지식처럼 경험과 무관하게 참으로 판별되는 분석 명제와, 과학적 지식처럼 경험을 통해 참으로 판별되는 종합 명제를 서로 다른 종류라고 구분한다.
그러나 콰인은 총체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 구분을 부정하는 논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논리실증주의자와 포퍼의 구분에 따르면 “총각은 총각이다.”와 같은 동어 반복 명제와, “총각은 미혼의 성인 남성이다.”처럼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분석 명제이다.
그런데 후자가 분석 명제인 까닭은 전자로 환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원이 가능한 것은 ‘총각’과 ‘미혼의 성인 남성’이 동의적 표현이기 때문인데 그게 왜 동의적 표현인지 물어보면, 이 둘을 서로 대체하더라도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이 바뀌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두 표현의 의미가 같다는 것을 보장하지 못해서, 동의적 표현은 언제나 반드시 대체 가능해야 한다는 필연성 개념에 다시 의존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동의적 표현이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되어, 필연성 개념은 다시 분석 명제 개념에 의존하게 되는 순환론에 빠진다.
따라서 콰인은 종합 명제와 구분되는 분석 명제가 존재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16~20번
지문을 정리해보자.
포퍼에 따르면 분석 명제는 참이다.
그리고 ①동어 반복 명제 ②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 → 분석 명제
~때문이다 이후까지 포함하면
①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②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 → ①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가 가능한 근거는 동의적 표현(총각과 미혼의 성인 남성) + 필연성 개념(동의적 표현은 언제나 반드시 대체 가능)
즉,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참고로 필연성 개념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A에 가, 나, 다가 있고 B에 가, 나, 다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A는 B이다.'
그리고
'B는 A이다.'
두 문장은 동시에 참이고, 대체하더라도 참/거짓이 바뀌지 않음을 확인했다.
(ㄴ이러한 환원이 가능한 것은 ‘총각’과 ‘미혼의 성인 남성’이 동의적 표현이기 때문인데 그게 왜 동의적 표현인지 물어보면, 이 둘을 서로 대체하더라도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이 바뀌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모든 가능세계에서
A에 가, 나, 다가 있고 B에 가. 나, 다가 있다는 보장이 없다.
가령 A에는 라, 마, 바가 있고 B에는 가, 나, 다가 있는 가능세계를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우리 세계에서는 이 둘을 서로 대체하더라도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이 바뀌지 않아 '우연히' 동의적 표현이지만,
'언제나' 두 표현이 같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동의적 표현이라면 '어떠한 경우'에도 '반드시' 같아야 한다는 필연성 개념으로 이어진다.
'어떠한 경우'에도 '반드시' 같기 때문에 언제나 반드시 대체 가능하다.
따라서 필연성 개념을 받아들이면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 '언제나' 동어 반복 명제로 바꿀 수 있고
동어 반복 명제는 분석 명제이므로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도 분석 명제이다.
이게 포퍼와 논리실증주의자의 논리이다.
(ㄴ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두 표현의 의미가 같다는 것을 보장하지 못해서, 동의적 표현은 언제나 반드시 대체 가능해야 한다는 필연성 개념에 다시 의존하게 된다.)
이게 왜 문제가 되는 걸까?
지문에는 동의적 표현이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되어, (원인)
필연성 개념은 다시 분석 명제 개념에 의존하게 되는 순환론에 빠진다. (결과)
이라고 했다.
나는 이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고 대부분 그럴 것이다.
왜냐면 정상적으로 글을 읽다면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이런 흐름을 가지고 있었을 텐데,
(그리고 이게 순환할 거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아니 생각할 수 없다)
원인은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이런 상태인데
결과은
분석 명제 → 필연성 개념
이렇기 때문이다.
우리가 기대한 인과 관계가 아니다. 갑자기 비약했기 때문이다.
지문에서 순환론에 빠진다고 했으므로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 ↑────────────────┘
이 정도로 넘기는 정도가 한계일 것이다.
(그림만 보면 동의적 표현을 거치고 넘어갈 듯하지만,
실제로 글을 읽을 때 이렇게 뚜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국어 공부를 열심히 안 해서, 글을 못 읽어서 이해를 못한 게 아니다.
지문이 그렇게 생긴 거다.
실제로는 이렇다
지문은 분석 명제를 수학적 지식이나 논리학 지식처럼 경험과 무관하게 참으로 판별되는 명제라고 했을 뿐이다.
분석 명제는 '정의(definition)'와 '논리 법칙'이 필요하다.
그래야 A는 B이다. B는 C이다. 따라서 A는 C이다.
처럼 명제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갑이 말하기를 신라면은 세계 최고의 라면이다라고 했다.
을이 말하기를 세계 최고의 라면은 진라면이다라고 했다.
병은 신라면은 진라면이다라고 생각했다.
와 같은 이야기는 이상하다.
이는 분석 명제를 말하기 위해 '정의'를 어떻게 할 것이냐의 문제로 이어진다.
정의를 논하려면 동일한 표현, '동의적 표현'을 논해야한다.
그런데 동의적 표현의 개념을 만들다보니 '필연성 개념'이 필요하다.
필연성을 도입하면 동의적 표현을 분석 명제로 이을 수 있다.
하지만 필연성 개념이 가능한 이유는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항상 '참'인 분석 명제가 되기 때문이다.
분명히 시작할 때 상황은 분석 명제를 말하기 위해서 정의를 따지던 상황이었다.
정의를 말하기 위해서 동의적 표현이 나왔고
동의적 표현을 말하기 위해서 필연성이 나왔다.
그리고, 필연성을 말하기 위해서 어떠한 경우에도 반드시 '참'인 것, 분석 명제가 나와야 한다.
필연성 개념을 받아들이면서 암묵적으로 '언제나 항상' 같다는 개념을 받아들인건데
이게 가능하다면 분석 명제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것이 콰인의 반박이다.
분석 명제를 말하려고 분석 명제가 가능함을 받아들였다는 것.
시험장에서 분석 명제를 논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떠올릴 수 있는 사람?
솔직히 시험장이 아니라도 떠올릴 수 있는 사람?
비약때문에 납득하기 어려웠겠지만 지문에서
동의적 표현 → 필연성 개념 → 동어 반복 명제 → 분석 명제
↑────────────────┘
이렇게 알려줬다.
그러면 그걸로 된 거다.
내가 적었던 것들이 평범하게 고등학교 수준의 중등교육을 이수한 사람이 알 만한 내용인가?
아니다 절대 아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독서(비문학) 평가 목표를 이렇게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글을 활용하여 출제하되, 지문에 포함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배경지식의 수준과 범위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저걸 이해하고 풀라는 게 평가원의 목표였을까?
우리가 비문학에서 해야하는 수준은
1. 배경지식으로 단어 및 문장 이해 (왜 배경지식이냐면 한국어를 알아야 문제 풀이 가능)
+ 지시어가 지시하는 것 파악
2. 접속사에 의한 문장 간의 논리 관계
예)
그리고 - 비슷한 내용, 나열
그러나 - 반대 내용
예를 들어 - 구체적인 사례
왜냐하면 - 인과 관계에서 원인
3. 글에서 주어진 정의와 관계 적용
이정도다.
내가 알고 있는 지문에 없는 정의나 성질 등 이용하고
주어지지 않은 관계를 알아내고
제발 선 넘지 말자.
주어진 정보를 그대로 처리하고 적용하는 것도 힘들다.
그리고 시간 여유롭게 공부해도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애초에 수능이 원하지 않는다.
추론은 문제가 요구한 수준의 추론을 하면 된다.
2019학년도 국어 31번같은 문제도
추론 단계가 길어져서 그렇지 추론의 논리는 별 거 없다.
2019학년도 국어 42번같은 문제도
답만 고르자면 어려운 추론을 요구한 게 아니다.
다분히 결과적이고 내 생각이지만, 평가원에서 그냥 문제 없음으로 종결해버린 이유가
괜히 학생들 겁먹어서 어려운 논리 공부할까봐 그랬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혹시라도 어렵게 내면 어떻게 하냐고 묻고 싶다면,
수능 국어 공부하려고 전공 서적 공부할 생각이냐고 반문하고 싶다.
지금까지 그럴 필요없었는데,
갑자기 그런 걸 요구할 거라고 생각하는 게 더 이상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메인글 보니까 1
적중의 신 장규쌤이 떠올랐음..
-
저작권법에 걸림? Qna 맨 밑에 이렇게 쓰여져있는데 나도 그래서 어제 기상쌤 병맛...
-
ㄹㅇ 이상형인데… 방학끝나면 못볼텐데…
-
7월 영국문화원 아이엘츠 한과목재시험 무료 응시권 이벤트(프로모션 코드 있음) 0
아이엘츠 보시는 분들 이거 확인해보세요. 6/16부터 9/30까지 영국문화원에서...
-
6모 73점 7모 82점 받았는데 기출문제 말고 수능특강 풀어도 되나요? 2등급...
-
카페인이 소용이 업구만…
-
기기출 4점짜리 풀고 있는데 너무 지루해서 노래 듣고 싶은제 큰 지장은 없겠죠?
-
ㅈㄱㄴ 쉬사정도인가요
-
수학이 4등급이랑 1등급 왔다갔다 하는데 뭐가 문제인지를 모르겠네..
-
기상쌤 2
-
개덥다 1
서있기만해도 땀이 흐르는군아
-
요즘 애들은 왜 노산 잘 모름?
-
현강을 들으시니 인강처럼 따로 추가적으로 영상 들어야하는 건 없으신가요? 이어폰...
-
긋지마라 제자야
-
회색띠가 붉은띠보다 철 함유랑 더 많은거 아닌가요? 구글에선 붉은띠가 더 높다고...
-
나 정도면 3
수학 하수 중수 고수 중 어디일까 개인적 생각은 중수인데
-
설의 졸업하고 성형외과나 피부과, 정형외과같은 인기과 전문의 vs 서울대...
-
2명!!!!
-
글을 싹 다 밀어봤어요
-
나 첫 임용하고 월급이 생각난다. '203만원' 그런데 이 첫 월급중 160만원을...
-
가능충이 손수 채택한 최정예 12개 종목들
-
학종 수학 내신 2
제가 1-1에 수학 2등급 1-2에 4등급(이건 공부 안해서..) 2-1에 4등급이...
-
시대 수학 1
원래 시대 강사들 미적 1단원이랑 삼도극은 따로 안함요?
-
오채점
-
제가 내신을 챙기느라 여름방학이 되서야 제대로 정시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뉴런 책을...
-
왜 자꾸 내눈엔 덮머 김종익밖에 안보이지
-
머리속에서 영상재생하는 능력 공간 묘사 파악 능력
-
수능완성 사옴 1
매우빨리풀기 ㄱㄱㄱㄱㄱㄱ
-
빨더텅 풀다보니 학평에는 성 불평등 도표가 꽤 보이는데 23년도 이후로 평가원에선...
-
왜 진작 사용안했지
-
차짬 맛있었다 7
양이 좀 부족했지만
-
정시를 전체중에 40퍼 수시를 60퍼뽑는다면 이거 실질적으로는 전체수험생중에 상위...
-
ㅈㄴ 덥네 날 움직이게 하다니 대단한걸?
-
제곧내
-
어헝헝 4
-
5명남음 9
으흐흐
-
포기할가
-
볼거 없을때 무지성으로 보기 좋았는데
-
한달 재밌었다.
-
아....ㅠㅠㅠㅠ
-
비틱이아님
-
난 그냥 생각나는 발상 시험지에 찌끄리다가 아닌거같으면 다른발상 찌끄리고 그랬는데...
-
스카에 사람이 왜 이리 많지
-
강평인데 파이널 들어가면 어떨거같음? ㄹㅇ 강평이라 독서는 강기분 듣긴했는데 그냥...
-
ㅠㅠ
-
호소가 아닌 사람:
-
진짜 기절할 뻔 ㅋㅋ
-
^오^
처럼 = 와 같이 ㄷ(포함관계) 이런 식으로
문장을 간편하게 압축해서 받아들이는 것도 긴 단위의
문장들을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처음 읽을 때는 해석해야 하니 어쩔 수 없지만 그렇게 짧게 기호화 해두면 나중에 내용을 이해하기 편해지겠어요. 아마 글 구조에 PS, QA 등을 표시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겠네요.
안 그래도 어제 지문 요약하면서 순환 오류 설명 과정에 뭔가 없는듯 했더니..
뭉뚱그려서 이해했기는 하네요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 부분은 너무 대표적으로 티나는 부분이고 (제가 봤을 때는) 설명을 찾기도 어려워서 예시로 썼지만, 사실 국어 영역에 전반적으로 중요한 관점이죠! 11수능 채권 문제도 굉장히 정석적인 예시구요.
아 그쵸. LP는 지문도 그렇고 문제도 그렇고 총체적 난국 ㅋㅋ
본문에서
동어 반복 명제로 환원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분석 명제이다.
그런데 후자가 분석 명제인 까닭은 전자로 환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만 제대로 읽어 냈어도 뒷 진술 독해가 편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ㅇㅈ
오랜만에 학습글 보는데 되게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