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준구 교수의 충격발언.jpg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520610

사실 이게 맞는 말이지요.
본인의 지능지수 수준은 말할 것도 없지만
본인이 공부를 열심히 하도록 '의지'를 갖는 것도...
본인이 공부를 열심히 할 수 있게 된 '환경'을 갖게 된 것도
다 운이 좋고 부모를 잘 만나서 이뤄진 것이라는 것이라는 게 팩트라는거.
그리고 이게 정시가 가진 한계점이자 정시 비율이 늘어나기가 힘든 이유이기도 한거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군수성공!!!! 0
지방대 4년제 간호-> 군수 인서울 성공했네요 야호!!
-
난 남은 곳이 다 2시 시작인 곳이라서
-
내년 진학사 1
귀신같이 정상화 될 예정
-
진짜 고민되네 무휴반 건동홍인데 한번 더하면 서성한 이상 할 수 있을까? 국어만 올리면 되는데
-
눈물 날 것 같네
-
시립대 예비 39번인데 전화 안올거같아서 걍 전원 꺼놓음 0
2차까지 10명빠졌는데 ㅠㅠ 되겠냐고 ㅠㅠ
-
ㄱㅊ게 생겼다는 말을 들어봄 님들도 덮머하지말고 깐머하셈 ㄹㅇ임 ㄱㄱㄱ 급식 머리...
-
합격 인증 11
안녕하세요! 뒤늦게 합격 인증 올립니다! 이번에 가군에는 메이저 의대, 나군에는...
-
누가 군대를 4
2028년 7월에 온다는데 그럼 언제 들어가는거뇨?
-
붙어브렀다 3
19-13-9-2-합 어후 이거 피말리네요 엄청 더이상의 입시판은 안녕~
-
아 시립대 1
진학사 점공 보면 애들 다 더 좋은대학 붙어서 나 되는 번혼데 왜 전화가 안오지 ㅠ 개초조해지네
-
Goat라고 할때 은근슬쩍 '트'를 '트'와 '추'의 중간발음으로 발음한다 너...
-
유니스트 0
유니스트 반도체 혹시 몇점까지 돌았을까요?
-
50분 공부 x11 10분 쉬는시간마다 노래 3곡 3x11= 33곡 부를수있음 개꿀
-
ㅈㄷㄴ
-
아직 고등학생인데 궁금함 술 어릴때 어른들이 주는거 한두잔은 먹어봤는데 그런거 말고...
-
??
-
약대 합격 9
아침 10시에 바로 전화 왔는데 이제 올리네요
-
어감 goat네
-
저거만 5분째 계속 뜨는중임 ㅅㅂ
-
기쁘다기뻐
-
완뇨
-
아맞다 이미있구나 엄
-
에피 셎츄 이거 8
모고 학평 다 가능??
-
찐막차가 있다면 예비1떨이 있다는것.
-
거의 둘다 만점 받아야겠는디
-
더 이상 미자가 아니고 성인이기 때문에 책임감을 가지고열심히 살거야 부모님에게...
-
내가 그 주인공은 아닐거야 한명만 더 돌아라 전화추합 제발
-
센츄 에피 기준이 뭐임 10
ㅈㄱㄴ
-
[속보] 민주, 임기만료 앞둔 헌재 문형배 대행 `임기 연장` 법안 발의 0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심리하는 헌법재판소 일부 재판관을 둘러싼 '정치 편향'...
-
[속보] 서울고법, ‘10·26 사건’ 김재규 내란목적 살인 재심 개시 결정 0
[속보] 서울고법, ‘10·26 사건’ 김재규 내란목적 살인 재심 개시 결정
-
낙지기준 제앞에 몇명없는데 하.. 방금 사이트에 7차조회해도 불합이네요
-
오리날다는 명곡이야
-
제발요 ㅠㅠ
-
이해 안 갔는데 연고대라 해도 취업이 녹록치 않은 현실을 보니 이해가 어느정돈 가는...
-
ㅇㄱㅈㅉㅇㅇ? 6
친구가 보내줬는데 ㅈㅉㅇㅇ?
-
다니고 계시거나 상담 받아보신 분 있나요? 괜찮아 보여서 99% 다닐 마음먹고 얼마...
-
다시 일어남 2
근데도 졸림
-
이거 원서 잘 쓴거 맞냐 왜 아쉽지 ㅋㅋㅋㅋ
-
프사 정해줘요 6
응응
-
난 아쉽지만 슬퍼하지 않는다 더 큰 대학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난 지금 공부를 한다 힘내자
-
우웅...웅...
-
방금 추합전화 받았고, 저는 빠지겠습니다. 중앙대 창의ICT공과대학 가실 분들은...
-
시립 자전 0
시립대 자연 자전 예비 어디까지 돌았는지 아시는 분?
-
미치겠네
찾아본결과 IQ와 지능지수가 정비례 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130(SD15) 까지라 하더군요. 그 위는 노력이 주요인이라 합니다.
Iq158은 그럼 130보다 유전적 머리 나쁠수도 있는건가요? 120이 노력해서 158이 된거일 수 도 있으니?
아이큐는 노력한다고 쭉쭉 올라가는 게 아니라 그럴 일은 없을 듯여 글구 머리가 더 좋은 건 맞아요 다만 내가 아이큐가 이만큼 높은 덕분에 손쉽게 이해하네! 이런 느낌을 130이상부터는 iq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단거져
저 130이 한국사람이 흔히들 말하는 iq148(sd24),,,
표준편차가 중요하죠
저런식으로 치면 운이 아닌게 어딨음
그게 핵심이죠
좋은 말은 아니지만 운칠기삼이라는 말도 있쥬
갑자기 정시가 갖는 한계점?수시는 위에말한게적용이안되나보죠 ? 하고싶은말정해놓고 근거갖다붙이기오졌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에 수시는 해당없나보죠 뭐 ㅋㅋ
상산고같이 빡센 학교는 내신이 재능빨 더 탈텐데 ㅋㅋ
ㄹㅇ 비약 씹오짐
과거 etl을 통해 이준구 교수님 수업을 들은적 있는데, 이준구 교수님께선 수시로 들어온 친구들이 고마운줄 알아야 한다고, 학력고사나 정시가 더 공정하고 나은 전형이라고 자주 언급하셨습니다. 미국에서 배낀 입사관제를 까시면서요.
그렇게치면 운빨 ㅈ망겜인데
페이커도 운빨로 스프링 우승했노
수시는 저런 운을 극복할 수 있음?
ㄹㅇ ㅋㅋ
수시가 정의롭네..
정시보다 몇 배는 낫지 않을까요
본문 안읽으셨구나
작은 글 요약한게 밑에 글 아닌가요?
요약한게 아니라
그냥 논리 비약으로 지 생각 쓴거죠.
그렇군요
저런 분이 우리나라 최고 경제학자라는게
그렇게치면 세상에서 주변환경 영향 안받는게 어딨음
세상에 주변환경 영향 안 받는게 없다가 교수님이 말하고자 하는바 인듯
저 글의 앞뒤맥락은 모르니까 어떤 심오한 의미가 담겨있는지는 알 수 없고, 텍스트만 보면 결과론적인 말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무리 개차반인 환경이더라도 성공하면 운이 좋았던 것이고, 아무리 좋은 환경이더라도 실패하면 운이 나빴던 것이고
어떤 생각을 가지고 그 생각에 세상을 끼워맞춰서 보는 것 같음(like 페미니즘)
그렇다고 저 말이 전적으로 틀렸다고 생각하는건 아님. 일부 맞는 말이겠죠ㅇㅇ. 근데 저건 너무 심한 이분법적 사고 아닌지ㅎ
수시도 재능이예요...
갑자기 정시가 가진 한계점 이야기는 왜나오는거지 ㅋㅋㅋ
경제학과 전공진입한 학생들이 편미분 모른다고 징징대니까
그래서 어쩌라는거냐고 미시 안할꺼냐고 일갈하던 CD플레이어좌...
cd플레이어가 뭔가요
학점을 C아니면 D 뿌리셔서...
각자의 의견과 생각이 있는거죠. 나랑 안맞으면 손절하는거고 이미 태아가 되기 전부터 확률적인데요 뭘 ㅋㅋ
결국 누가 본질을 먼저 알고 "실행" 하느냐가 운이후에 중요한 문제라는거죠.
교수비난할 이유도 없고, 여기서 이렇게 댓글로 서로 상처줄 필요도 없고,
글쓴이도 그냥 자기 생각 쓴것 뿐이고, 그냥 그렇구나 하면 될 문제 아닌가요?
다들 민감하시네 ㅋㅋ
인생무상 회의주의 ㅆㅅㅌㅊ
운명주의
이 논리는 노력 vs 재능의 토론에서 노력또한 재능의 종류로 국한시켜 반론을 막아버리죠
노력 vs 재능의 이야기를 할 때에는 노력은 외부 환경과 자기 의지에 의해 바꿀 수 있는 변수라고 기본 전제를 하고 토론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사람의 재능 노력 환경은 전부 운으로 결정된다는 사실이 과학적 사실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가진 자들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은 사회를 위해서만 작용 되어야 마땅하다. 더 높은 봉급을 받는 것도 사회의 발전을 촉진 시키기 위해서이며 더 많은 세금을 내는 것도 운 좋은 사람으로 태어난 일종의 책임을 지기 위해서이다. 마이클 샌델의 하버드 대학교 철학 강의에서 나온 말입니다. 사실 저런거 따지고 보면 수 세기 전부터 이미 천재들이 미친들이 토론했던 문제에요 정 궁금하면 책 몇 권 찾아 읽으세요.
저 분도 배울만큼 배운사람인데 아무 생각없이 저런 말을 할까요. 만사가 내가 노력하고 가진만큼되면 세상 억울할 사람 없음
배울만큼 배운분...이라기 보다는..ㅋㅋ 경기고 수석졸업에 서울대 전체 수석졸업 하신 분입니다. 천재중 천재죠,
근데 저 부분이 꼭 정시의 한계점에만 해당 되는지...
수시도 운과 환경의 영향을 정시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는듯 한대요
재능도없고 노력도안하는 님들에게는 아무 의미없는발언
그러면 수시는 있는 부모가 영향을 안주는 제도인가요? 이건 논리적으로 근거가 너무 빈약합니다. 수시는 더하면 더했다 봅니다. 님의 이야기는 근거가 너무 약하다는 점에서 정시비율에 대한 의견은 전혀 동의 할 수 없습니다. 기회 평등의 관점에서 학종은 분명 문제가 많은 제도입니다. 차라리 정시가 더 그런면에서는 균등하고 평등하다 봅니다. 그리고자산 많은 집 자식이 환경은 유리할 수 있으나, 그렇게 따지면 원래 인생은 불공평한 부분이 있는 겁니다. 그건 누구나 감수할 부분이라 봅니다.
저게 정시랑 뭔상관.. 문재인식 논리네
집이 가난해서 공부의지가 많은사람도 봤고
집이 가난해서 공부의지가 적은사람도 봤고
집이 부자라서 공부의지가 많은사람도 봤고
집이 부자라서 공부의지가 적은사람도 봤는데 이건 뭐임?
애덤 스푼스의 보이지 않는 숟가락 때문인듯
사바사 어떤사람에겐 집이 가난한게 운이 좋은걸로 작용할수도 있는거죠
총동문회보에서 본 기고문이네요.
전문은
http://jkl123.com/sub5_1.htm?table=board1&st=view&page=1&id=18565&limit=&keykind=&keyword=&bo_class=
있습니다.
ㅋㅋㅋ ㄹㅇ ㅋㅋ 저 교수 얘기적어놓고 비문학으로 선지에 정시얘기나오면 나오면 아무도 못맞추겟다 갑분정시
교수님은 맞말하셨지만 여기서 정시를? ㅋㅋㅋㅋ 저는 운 나쁘게 대치동에서 태어나지 않고 운 나쁘게 집안에 돈이 없어 컨설팅을 받지 못했고 운 나쁘게 수시에 대한 정보력이 적었으며 운 나쁘게 학종의 중요성을 몰랐네요 ㅠㅠ
제 친구중 한부모 가정인 친구가 있는데, 사정이 좀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공부를 잘해서 대단하다 싶었는데 알고보니 얼굴 한번 못본 아버지가 고대 학사 석사출신이라고 하더라구요. 어머니도 서울권 대학 졸업자고..이런 사례를 비춰보자면 유전의 영향이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인생이 태어나면서 부모에 의해 대부분 결정되는건 사실이고 저 논리대로면 그냥 당장 자살하는게 이로우니 저 의견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각자의 선택
저 논의가 재정학 논문 등으로 많이 나왔는데(이준구 교수가 재정학 교과서 쓰셨죠) 노력과 환경의 비중이 1:1기에 둘 다 중요하지 노력무용론으로 갈 필요도 없고 환경무용론으로도 갈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네요.
별개로는 뭐 다른 환경에 대해선 보상해야한다 생각하지만 유전적 지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것이 과연 나쁜것일지 의문이 드네요. iq 135인 사람과 iq 65인 사람에게 적절한 직업이라든지 학교라든지 따로 있고 그걸 제공해 주는게 중요한거지 무작정 iq 65인 사람을 서울대 보낸다고 그 사람의 운을 보상해준다든지 더 나은 삶을 해준다든지 하지는 않을듯
또한 여기선 교수님이 딱히 정시를 직접적으로 비판한 내용은 없는 것 같은데..? 저정도 입장은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는 철학자나 경제학자들에게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입장입니다 통설에 가까워서 그다지 반례를 제기하지도 않는 것으로 알고있음 다만 저 입장을 어떻게 구체화하느냐에서 진보와 보수가 갈리고 하는 거지만
우리가 태어난것부터가 운이다
수시는 가난하거나 부자거나 상관없이 공평한줄 아시는건지?
오히려 수시 (학종,교과)가 돈많은사람이 정시에비해 유리한것도 모자라 날로먹기도 가능해서 정시늘리자는거아닙니까ㅎㅎ
오 그렇구나 수시가 더 공정한 거였구나 음... 그렇군 ㅋㅋㅋ 개소리 잘봤습니다
맞는 말이긴 한데 이거랑 수시 개 ㅈ 같지도 않은 제도랑 무슨상관임
인문대는 수시늘리는게 좋을듯 처롹과 같은데. 자연계는 정시. 수시에서 곽특기자 전형 이런건 ㄱㅊ은듯
도덕적운 생각나네
기승전 정시탓 해버리기 ㅋㅋ
수시는 공부 안하나요?
내신은 유전에 따른 지능과 상관 없나요?
학종은 부모님을 위시한 공부 환경과 상관이 없나요?
정시 한계가 왜나옴ㅋㅋㅋ 전 운나쁘게 학교 왕복 두시간거리에 살아 운나쁘게 내신이 불리했고 운나쁘게 서울대에서 정시모집을 안하는 과라 운나쁘게 강제 삼수계획 잡아놨네요 ㅜ_ㅜ넘슬퍼
교수님 말씀은 결국 재능도 운이고 인생의 운이라는게 적용안되는 곳이 없다고 말해서 태어날때 운이 중요하다고 말씀 하시는거 아닌가요?
그게 왜 정시랑 연관 되는거죠? 수시는 운이 적용 안되는군요ㅋㅋㅋㅋㅋ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 없고 비참한 삶을 조금이나마 개선시키는 법은 될때까지 노력하는 수 밖에 없음
그런 삶을 자식대에까지 물려주기 싫다면 더더욱
세상에 운이 관여 안하는 분야가 없는데 맨날 운 탓 하면서 강도마냥 칼 들고 남의 것을 빼앗아 오려고 호시탐탐 노리는 부류가 되어서는 안됨
운의 영역이 너무 크다는 의미를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해서,
상대적 약자인 내가, 단순히 "운이 좋았을 뿐"인 성공한 상대방에게서 뭔가를 강탈하는 것은 당연하다 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부류들이 정말 많음
본인 삶이 비루하고 비참하다고 해서 상대방에게 뭔갈 맡겨놓은거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