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함수 기울기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498821
기울기는 x증가량 분에 y증가량 이고,
기울기는 그래프에 직각삼각형을 그렸을 때 밑변 분에 높이이다.
라고 배웠어요.
그런데 왜 기울기가 x랑y와 연관이있는지 모르겠어요.
왜 다들 엑스증가량분에 와이의증가량이라고하면 아ㅡ그렇군요!감사합니다!하고 넘어가는건가요;;;이게 이해가 된다는 것도 이해가 안 되요 와이는 위로 증가하는데 그걸 왜 좌우로 증가하는 애로 나눠주며 그게 어떻게 기울기가 돼는거에요??
흑흑 미분인가...제발 누가 알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즌1만 살거같아요 저는..
이미 알고 있는 상식으로 기울기라는 단어를 받아들이면 좀 헷갈리죠?
기울기라는 말을 없애버려요 그냥. 기울기라는 단어 쓰지 말고
기울기 구하라고 하면 x증분/y증분 구하라는 거구나 하고 이해하면 편할거예요
그건, 이해가 아니라 암기잖아요...
기울어잔 정도를 수치화시켜서 계산한 값을 '기울기' 라는 용어로 나타낸거예요, 사실 닥치고 기울기=y증분 나누기 x증분 이렇게 정의하고 공부하다보면 이해하게 될거예요 (어쩌면 굳이 이해거 필요없을지도) 사실 제 성적에 이런 조언? 하는게 웃기긴 하지만 시행착오 없는 공부는 없으니까 맨땅에 헤딩 해보는게 좋을것 같네요 :)))
ㅠㅜㅠㅜㅜㅠ
굳이 설명하자면 가로축은 좌우로 커지는게 아니라 한 방향으로 커지는 거죠, 그니까 '증가량' 이라는 단어를 쓰는거겠죠? 예를 들어 (1,3) 과 (2,5) 를 지나는 직선이면 가로축으로 1만큼, 세로축으로 2만큼 증가하죠? 좌표평면에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을 그려보면 밑변이 1이고 높이가 2인 직각삼각형이 나타나잖아요 그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기울기'라는 말로 표현하는겁니다
분자분모 순서 바뀜
앗
올 9등급인 두 학생이
100일동안 공부해서 수능 올1
10000일 동안 공부해서 수능 만점
누가 더 잘한건가여?
결과는 후자지만, 우리가 궁금한건 경향성입니다.
올1에 해당하는 성과 나누기 100일이
수능 만점에 해당하는 성과 나누기 10000일 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듯, 기울기도 비슷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델타엑스로 기준치를 잡아준다고 생각하세요
좀 이해가 될 것 같기도해요.
y증가량을 x증가량으로 나눠주는 이유가
얼마만큼 일 때 얼마만큼 변했는지를 수치로 확인하기 위한 거라는 말씀?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나요??
맞습니다. 그래야 절대적인 비교가 가능할테니까요
오... 이제 이해가 되네요
그럼 혹시 그건 그래프에서라거나 도형이 직선이기에 가능한 기울기 구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맞을까요??
기울기의 정의와 의미를 다시 한번 봐보시고요~
곡선에서의 기울기도 정의합니다. 그게 미분이구요 ㅎㅎ
수학에서 중요한건 정의죠.
이 정의는 경험적 직관에 부합할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어요. 기울기라는건 전자쪽이라고 생각해요. 기울어진 정도를 x좌표와 y좌표를 이용해서 간단히 나타낼 수 있으니까요 일차함수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