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없는 양치기는 하지맙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408410
의미없는 양치기는 하지맙시다. 제발
출판물을 내고 질문이 정말 많이 들어왔습니다.
강남점 학원생들과 메일로 공부법 상담 질문을 받았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의 질문 패턴이 비슷합니다.
'이것만 하면 성적 오르나요?' '한권만 풀면 1등급 가능한가요?' '뭘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어요' '기출문제를 풀 필요가 있나요?''
질문의 의도는 알겠습니다만, 사실 정답은
'모른다.''
입니다.
이유를 설명 드리죠.
결론 부터 말씀 드리자면
학생 한명 한명마다 효율적인 공부 방법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각자 공부하는 방법이 다르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전부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무언가를 가르쳐도 1, 2분 지나서 다시 물어보면 대답을 못하시는 분들도 있고
20문제 풀어가지고 오라고 했는데 1주일동안 3문제만 완벽하게 푸는 친구도 있고
양으로 전부 승부하려는 친구가 있고...
그럼 과연 이런 친구들에게 하나의 효율적인 공부 방법으로 통일시킨다면, 결과가 모두 좋을까요?
아닙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라면 공부하는 방법도 서로 달라야 한다 생각합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공부 잘하는 친구가 저 문제집을 풀었다니 나도 풀면 잘하겠지'
'양치기를 열심히 하면 성적이 올랐으니 그대로 해야지'
'저 강의는 말도 안된다고 친구가 그랬으니 듣지 말아야지'
이런 말들을 듣고 문제집을 거르고, 문제집을 사고, 강의를 듣고 말고 하시는데,
잘못된 생각이라 생각합니다.
남이 나쁘다고 느낄지 모르겠지만,
그게 본인한테 약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남이 좋다고 느낄지 모르겠지만,
그게 본인한테 독일 수도 있습니다.
공부는 자기 자신이 받아들이기 나름입니다.
여러 사이트나 친구들이 저게 좋다 저게 나쁘다 이야기 하는거
전부 들으려 하지 마시고
본인이 현재 듣고있는 강의나
현재 주어진 문제집이 있다면
그것에 신경 써주세요.
하지만,
공부의 기본적 원칙은 있습니다.
마음에 손을 얹고 생각해 봅시다.
많은 양의 문제를 풀고, 틀린 부분이어떤것인지 파악한 다음, 그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본다. 또한 틀린 문제를 고민하다가
정 안되면 답지를 보고 원리를 이해한다.
이러시고 계시다면, 공부 제대로 안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수험생 분들이 개념을 파악한 다음 기출문제집을 사서 기출문제를 푼 다음 채점하고 틀린 문제 위주로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그랬었구요. 결국 틀리다는것을 알았죠.)
그래서 기출문제를 선정 기준을
'얼만큼 많은 문제들이 있을까?'로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건
기출문제를 '공부'하는것이 아니라
기출문제를 '외우겠다.' 입니다.
하지만 수능은
기출문제를 외운다 해서 똑같은 문제가 다시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죠.
(특히 킬러는)
기출문제를 외우고 있다면 지금부터 그만둬 주세요.
공부의 기본적 원칙은 '원리를 파악' 하는것이고
수능 공부는 문제를 풀때
'왜 이게 맞지? 왜 이게 틀리지?'
를 항상 고민하셔야 합니다.
자습서가 원칙을 전부 알려주거나, 새로운 풀이법, 견해를 알려준다면 좋겠죠.
하지만, 매번 그럴 수는 없습니다.
매번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수험생 여러분이 직접 찾으셔야 합니다.
남이 떠먹여주는 '주입식 교육'에 빠져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맞은 문제도 이게 왜 이 답이 맞을 수 밖에 없을까?
다른 풀이방법은 없을까?
다른 풀이 방법을 찾아볼까?
이렇게 계속 탐구해 나가는게 공부입니다.
'나는 문제를 많이 푸니까 뭔가 잘하는거 같다.'
이건
오르는데는 한계가 있는 공부법이며,
실제 공부를 한게 아니라
공부를 했다고 착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Q.
'말씀하신대로 하려 하는데, 이거 문제 한문제 한문제 시간 너무 많이 걸리는데요? 제 친구들은 6평 전까지 개념 한번 돌리고 기출문제도 몇바퀴 돌렸다는데, 과연 이게 맞나요?'
그럼 역으로 답을 해보겠습니다.
A.
'그 친구들은 개념 몇바퀴 돌리고, 기출문제 몇바퀴 돌린다 해서,
그걸 다 이해했을것 같나요?
그리고
그 친구랑 본인이랑 같나요?'
수능 공부하는 시간 1년도 안남았으니 촉박하고 심적으로 불안한 것은 이해합니다. 저도 그랬었으니 어떤 느낌인줄 압니다.
하지만
't1~t2 동안 적분을 하려는데,
기왕 적분을 하려면 이 구간 동안 함수값이 크면 좋지 않을까요?'
----------------------------------------------
과탐 과목별 특징 [출제or공부] (지극히 개인적 의견): https://orbi.kr/00022183672
물리1 수능 강의
메카니카 설명
물리1 질문 게시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맨날 해뜨는 모습이랑 해지는 모습만 보다가 날씨좋은 오후에 나오니까 뭔가 기분이 오묘하고 좋네요
-
히헤
-
ㅈㄴ아프다 진짜
-
https://namu.wiki/w/%EB%8C%80%ED%95%99%EC%88%98...
-
제일 못하는 분야인데 선방했다
-
4시에 ㅇㅂㄱ 인증함
-
스블 진짜 ㅈㄴ어렵네요 완강도 안 난 거 같던데 언제까지 끝내야 될라나 수1...
-
진짜 눈 감았다 뜨니 복귀네..
-
음
-
ㅈㄱㄴ
-
수1수2를 동시에?? 이거완전럭키빗치잖아
-
이제 개념 한 바퀴정도 돌린거 같은데 내가 지금 어디에 비어있는지 한 번 보고싶은데...
-
의지가 바닥나서 강제성이 있어야 그나마 공부가 좀 되던데 잇올에 고등학생도 많이...
-
아이큐를 발현시킬 수 없다면 그냥 숫자에 불과한듯. 내가 그렇게 똑똑했다면 수능도...
-
선배가 말아주는 .
-
듣기풀면서 43 44 45 18 19 20 일치불일치 +어법 되면 풀고 21 22...
-
님들도 경제단 합류
-
그게나야
-
80정도 일듯
-
수악2 왜 이리 어려움 11
빨리 어느정도 완성하고 미적하려는데 수2가 계속 안 되니까 미치게슴
-
으하하
-
덕코주세요 6
네..
-
1. 단어 40개 암기 2. 기출 하나 풀기 3. 오답 끝 단어 암기법)...
-
수능.. 특히 과탐 못하는데 기여한 능지
-
흠
-
옹..ㅜ 3
-
4시반부터 3
공부해야지
-
나름 고점 높다고 생각했는데 120/120s인 사람보고 지능의 한계를 느낌
-
아이큐 테스토 18
-
질문받아주시는분있나요?
-
그때가 138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떨어졋으려나.. 그때는 주변에 140대잌...
-
개념 + 유형별 기출문제집 회독을 해서 문제들이 어느정도 눈에 익었습니다.이미 제가...
-
문디컬어떤가여 0
사실 메디컬 공대 그냥 이과계열을 가고싶어요 작수 언매 미적 생 지 2 3 2 2...
-
국어 현강 ebs 자료 이런거때문ㄴ에 김승리 현강 다닐까 했는데 인강이랑 큰 차이...
-
다들 똑똑하네 28
나만 또 지능도 외모도 여기 평균도 안되지
-
ㄹㅇ임뇨
-
이번에 안암 올라가요 ㅠ
-
수시 동국대 0
경영학과 목표인데 동국대식 1.4에 생기부 평타면 많이 어렵겠죠? 전부 다 경영으로...
-
오늘도선방 1
ㅈㄱㄴ
-
ㅂㅂ 6시 전까지 들어오면 나 게이임 ㅇㅇ
-
너무 낮게 나왔다고 상심하지 마시고 너무 높게 나왔다고 공식적인 석상에서 말하고...
-
난 8나옴.. 6
하..이거맞노
-
내신 3.3따리 작년국어수능집모7등급 수학3-4따리가 이만큼이뜬다고?
-
엔제 가격 0
보통 엔제 푸는 시기에 한달에 수학비용만 얼마나 드나요?(책값만요)
-
우리 사촌누나가 남자 캐릭터 둘이서 ㅅㅅ하는 글??을 개많이 써서 한 300만원...
-
굿 잘 찍엇나보구나
-
30분꽉채움 4
마지막꺼 5분쓴거같은데
-
아침일찍 감독관선생님들 모여계신곳에 가면 되나요?

좋은글 감사합니당진심레알 작년에 의미없는 양치기만하다가 지금 재수함
현재 상태 파악 -> 뭘 더 잘해야되는가 -> 그럴라면 뭘 해야되는가
전 이렇게 생각하는듯요
이게 정답이고 여기서 모든 공부가 출발함
(글쓴이분 내용과도 관련깊죠)
이거하나만 잘해도 이과기준 sky는 갈거같네요
다 맞는말인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출분석에 막연함을
느끼는 성적라면 오히려 차라리 기출문제를 외운후(풀이를) 한동안 안보고 묵혀놨다가
다시 보면서 왜그런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과정도
나쁘지는 않은거 같네요
그러다가 1년 더함 ㅋㅋㅋ 시간여유 있으면 몰라도
동감합니다 ㅋㅋ
한동안 묵혀놓는다는 텀이 1~2주정도를 말한거였어요
여러분 양치기 말고 양치질을 꾸준히 합시다
낙 동사임? ㅋㅋ
이거 ㄹㅇ
메카니카 비역학 부분 좋나요?
존나인정합니다.
중요한건 한 문제를 틀리더라도, 왜 틀렸는지 자기 사고를 점검해보는건데,
양이 목표가 되면 이런 질적 고민이 없어지죠.. 아쉽습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성적은 마치 계단에서 열심히 탭댄스만 춘다고 위로 올라갈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