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귤 [399736] · MS 2017 · 쪽지

2019-03-30 01:46:59
조회수 11,201

서울대의대생이 알려주는 의료봉사의 모든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109465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요즘 꾸준히 의대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더 많은 자료는 http://medibridge.co.kr/ 에 있으니 참고부탁드려요^.^


1. 봉사활동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의과대학 진학을 결심하고 준비하는 학생들과 그 부모님들께서는, 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의과대학 입시는 다른 단과대학 입시에 비해 봉사활동의 중요성이 큰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셨나요?


라는 책의 가장 첫 부분에는 ‘의료윤리의 4원칙’이 소개되어 있습니다.소개된 4원칙은 각각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그리고 ‘정의의 원칙’입니다.


다른 원칙은 쉽게 수긍이 가는데, ‘선행의 원칙’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단번에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의사는 선행을 해야 하는 직업일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의사는 ‘선행’이 의무인 직업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 ‘선행’은 환자와 의사 관계로 국한됩니다. 다른 직업에서 ‘선행’은 의무가 아니지만, 의사는 환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직업이기에, 그에 이익이 될 수 있는 ‘선행’은 의무입니다. 의과대학 진학을 통해 의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선행’이 ‘도덕의 영역’이 아닌 ‘의무의 영역’으로 들어왔을 때 기꺼이 나설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죠.


그래서 의과대학 입시에서 봉사활동은 꽤나 중요합니다.


실적을 남겨 본인이 타인에게 베푸는 활동을 해왔고, 앞으로도 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물론, 봉사활동을 통해 인격적으로도 성장하게 된다면 이후 자기소개서 작성이나 면접 대비도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의대수시를 위해서는 병원봉사활동이 정말 꼭 필수적일까요?


먼저 답을 이야기해드리자면 아닙니다!


꼭 병원이나 기타 의료 시설에서 봉사활동을 하지 않아도 의대, 뿐만 아니라 메이저 의대에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먼저 가장 큰 이유는 고등학생에게 봉사활동을 요구하는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봉사활동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느끼고 배우는 것입니다. 큰 병원이나 해외에 나가서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요. 그런 의미에서 생활기록부에 봉사활동에 관한 내용을 채울 때에 ‘어디서’ 봉사활동을 했는지보다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무엇을’ 배웠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실제로 저는 고등학교 시절 병원 등의 의료 시설에서 봉사활동을 한 것이 아닌 아동원에서 봉사활동을 하였습니다. 게다가 1학년에는 봉사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구요. 더불어 제가 가톨릭대학교 학교장 추천자 전형 봉사 면접을 보았을 때 어떤 봉사를 하였느냐 묻기는 하였지만 이는 실제로 그 봉사를 하였는가 하는 사실 확인과 다음 질문을 위한 계단에 불과하였습니다. 정말 핵심을 꿰뚫는 질문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학생이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가를 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물론 의료 시설에서 봉사활동을 한다면 장점이 확실합니다. 진로희망이나 자기소개서 3번 등에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면접에서도 어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 글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그것이 의대수시 에서의 합불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는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본인이 의료 시설에서 봉사 활동을 하지 못했더라도 불안해할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어느 곳에서 봉사활동을 하든 한 곳에서 꾸준하게 봉사활동을 하는 편이 낫고 ‘봉사활동을 시작한 계기’, ‘봉사활동에서 무엇을 배우고 느꼈는가’ 등의 것들은 꼭 챙겨야 합니다.


더불어 본인이 고등학교 재학 시절 했던 봉사활동을 어떤 식으로 어필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숙고는 필수적입니다. 학생들마다 봉사활동을 시작한 계기도 다르고 봉사활동을 하는 시설도 다르고 시설마다 상황도 다르기 때문에 의대 수시를 위해서는 개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그 준비를 해야합니다.


의대에서 중요하게 보는 덕목 중 하나는 ‘나눔’입니다. 이를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서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부분이 ‘봉사활동’입니다. 최근에 상담전화를 주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봉사활동에 대한 고민을 말씀하십니다. 특히 어떻게 하면 의료봉사를 찾을 수 있을지, 의료봉사가 꼭 필수적인지에 대해서 말이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고등학교 때 봉사활동은 어디서 하는 것이 좋을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고등학생을 위한 봉사활동의 종류 및 찾는 법


2-1) 교내 봉사활동

교내 봉사 활동은 학교 마다 다르게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 공통점은 존재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 내의 활동에 충실한 것입니다. 의대입시 의대수시

교내 봉사 활동 중 대학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멘토 멘티’ 활동입니다. 즉, 다른 학생들을 가르쳐주는 봉사 활동을 선호합니다. 고등학생들의 수준에서 자신이 가진 것을 나눌 수 있는 활동 중 가장 ‘학생’스럽고, 솔직할 수 있는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여러 학교에서 멘토 멘티 봉사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위 대학에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이러한 시간을 낭비로 여기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봉사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2-2) 교외 봉사활동

교외 봉사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입니다. 고등학교 1, 2학년 때는 한 달에 한번, 3학년 때는 학업적인 일정을 고려하여 2~3달에 한 번 정도로 한가지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가장 의미 있고, 활용도 높은 봉사활동입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 학생들이 고등학교 재학 시절 참여한 봉사 활동은 병원 봉사입니다. 각 대학 병원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여러 봉사 활동이 있습니다. 대학 병원에서 하는 봉사활동의 장점은 보다 ‘큰 병원’에서 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등학생의 경우 단순한 안내 또는 청소의 업무를 맡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다른 선택지는 요양원 봉사활동이 될 것입니다. 이 경우 보다 정서적인 보조 등 실질적으로 환자를 대할 수 있는 봉사 활동을 경험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www.vms.or.kr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거주 인근 지역에서 여러 봉사활동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곳을 찾아 꾸준히 봉사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의료봉사의 종류 및 각각의 장단점


의대 입시에 도움이 되는 봉사활동들은 어떤 것이 있고 각각의 대략적인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대표적인 예시를 들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오늘의 큰 주제가 될 봉사활동은 ‘병원 봉사활동’과 ‘의료단체 봉사활동’입니다.


3-1) 병원 봉사활동

병원 봉사활동은 말 그대로 병원에서 하는 봉사활동입니다. 병원이라는 장소적 특수성이 존재하기에 특별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내부에서 행해지는 활동들은 일반 봉사활동과 비슷합니다. 병원 수납 도우미, 수술복 정리 등 환자나 의사와 직접 만날 수 있는 일부터 전혀 교감이 없는 일까지 다양한 활동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대학병원과 2차병원 이상의 병원들은 VMS나 1365를 통해 인증되는 병원 봉사활동을 제공하고, 일의 특수성이나 전문성도 딱히 없기에 접근성이 높은 봉사활동입니다. 학생의 지리적 특성과 병원에서 제공하는 봉사활동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적절한 봉사활동을 선택한다면, 효율적인 봉사활동 실적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3-2) 의료단체 봉사활동

의료단체 봉사활동은 의료 단체를 통해 참여하는 봉사활동을 이야기합니다. 의료 봉사활동을 주기적으로 다니는 재단이나 법인의 후원자나 회원이 되어 그 일원으로서 의료 봉사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장소적 특수성 뿐만 아니라, 봉사활동 자체가 의료봉사다 보니 일반 봉사활동에 비해 행위적 특수성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런 재단과 법인이 흔하지 않고 의료 행위인 만큼 중고등학생 자원봉사자를 받지 않는 경우도 많기에, 학생의 지리적 활동 범위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낮아 접근성이 낮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활동에 필요한 시간과 돈도 현실적인 문제가 될 수 있죠.


두 가지 봉사활동에 대해 소개해드린 위 간략한 글과 함께,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그 둘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병원 봉사활동**

장점

1) ‘병원’이라는 장소적 특수성

2) 높은 접근성


단점

1) 행위적 특수성의 부재

2) 구색만 맞춘 봉사활동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음


vs


**의료단체 의료 봉사활동**

1) ‘진료소’ 등 장소적 특수성

2) ‘진료 보조’ 등 의료 봉사활동에서 오는 행위적 특수성


단점

1) 낮은 접근성 (시간적, 경제적)


이렇게만 적어드리면, 잘 이해가 안 가실 것 같아서 대표적인 예시를 첨부해보았습니다.


먼저, 병원 봉사활동의 예시로 ‘세브란스 병원’의 중고등학생 병원 봉사활동 소개 중 일부입니다. (서울대학교 병원은 중고등학생 봉사자를 받지 않습니다.)

(출처: http://sev.iseverance.com/guidance/support_dept/social_work/volunteering/student/)


위와 같은 봉사활동은 병원에서 주관하고 진행되는 봉사활동이기에 장소적 특수성이 존재합니다. 게다가 2차병원 이상의 병원들은 대부분 제공하므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병원을 선택해서 문의하면 손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봉사활동 내용은, 보시다시피, 처방전 발행이나 물품 제작 등 단순 노동을 필요로 하는 봉사가 많습니다. 환자나 의사와 교감할 수 있는 활동도 간혹 존재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런 봉사활동의 내부 사정을 아는 심사위원분들의 시선에는 구색만 맞춘 봉사활동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의료단체 봉사활동의 예시로 ‘서울의료봉사재단’의 봉사예정 캠페인 소개글 일부를 가져왔습니다.

(해당 글에 소개된 봉사활동은 2018년 12월 1일에 이미 시행된 봉사활동입니다.)

(출처: http://www.seoulms.org/)


위와 같은 의료 봉사활동은 요양 센터 등 의료 결핍 지역이나 진료소에 가서 직접 의료 봉사에 참여하는 만큼, 장소적 특수성과 행위적 특수성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단순 노동이 주인 병원 봉사활동에 비해 진료를 보조하며 환자나 의사와 교감할 수 있는 순간이 많기에 의미 있는 실적으로도, 자기소개서 소재 등 향후 활용 방향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해당 활동을 위해 특별히 정해진 장소에 가야한다는 점, 단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일정 금액을 후원해야한다는 점 등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소모가 많은 것이 단점입니다.


이상으로 병원 봉사활동과 의료 단체 봉사활동을 간략하게 소개해드렸습니다. 실제로는 위와 같은 봉사활동을 제공하는 병원과 의료 단체가 다양하므로, 여러 봉사활동을 조사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한 후 참여하면 효율적으로 봉사활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의대수시에 대해 더 많은 자료 보러가기] : http://medibridge.co.kr/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