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귤 [399736] · MS 2017 · 쪽지

2019-02-04 21:33:59
조회수 13,324

서울대 의대 수시 출신이 알려주는 의대 생기부 관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252945





안녕하세요 메디브릿지 조쌤입니다. 지금까지는 전반적으로 왜 비교과 관리가 중요한지에 대한 콘텐츠들을 많이 올렸을거에요. 그렇다면 이번에는 '일반고생'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어떻게 막막한 비교과를 관리하고, 매력적인 생기부를 작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I. 학교생활기록부의 구성


학교생활기록부는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 중 “8. 교과학습발달상황”은 교과 영역, 흔히 말하는 ‘내신’이고 교과를 제외한 나머지가 비교과이지만 실질적으로 대학입시에서 중요한 비교과 영역은 “4. 수상경력,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9. 독서활동상황, 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인적사항 / 2. 학적사항 / 3. 출결사항 / 4. 수상경력 / 5.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 6. 진로희망사항 /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자율활동 / 동아리활동 / 봉사활동 / 진로활동) / 8. 교과학습발달상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9. 독서활동상황 / 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학생부종합전형은 ‘교과(8. 교과학습발달상황) 및 비교과(4. 수상경력,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9. 독서활동상황, 10.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선발한다고해요.




II. 일반고에서의 비교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비교과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역은 “7. 창의적 체험활동상황”영역이에요.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영역은 자율활동 / 동아리활동 / 봉사활동 / 진로활동 네 가지로 이루어지며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한 내용보다는 활동을 하면서 학생이 기울인 노력과 활동을 통해 경험하거나 배우게 된 점이 더 중요합니다. 의예과를 지망하는 학생의 경우에도 동아리활동에 반드시 의학 동아리 활동만을 적을 필요는 없어요. 의학 분야의 동아리가 아니더라도 활동을 통해 배운 점을 잘 정리해서 적으면 훌륭한 활동 내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예시 1) (의학OO : 자율동아리) OO동아리의 일원으로써 매주 주말 및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의학분야의 최신 연구결과를 공부하고 직업체험을 함으로써 평소 관심있던 의학분야 진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고 더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됨.


예시 2) (인문학XX : 자율동아리) 평소 인문학에 관심이 많아 XX동아리에서 인문학 관련 서적을 매주 하나씩 읽고 동아리원들과 토론하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짐. 또한 2학년 동안 동아리장을 맡으며 이론적인 인문학 외에도 실생활에서 인문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져 관련 강연을 듣고 토론하는 활동을 주도함. “OOO”에서 열리는 “의료와 사회”, “생명윤리와 인문학” 주제의 강연을 듣고 인문학이 실생활, 특히 의학 및 생명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는지 공부하고 관련 서적을 더 찾아보며 미래의 의사를 꿈꾸는 학생으로서 어떠한 인문학적 소양이 요구되는지 고민하고 생각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음.


한눈에도 예시 1) 보다는 예시 2) 가 더 강렬한 인상을 주는 동아리 활동 내역임을 알 수 있죠?


예시 2) 가 예시 1) 과 다른 점을 보면 ①리더십 및 노력 (동아리장으로서 기존의 활동이 아닌 새로운 활동 주도) ②탐구하려는 자세 (실생활에서 인문학 적용에 관심을 가져 강연을 찾아 들음, 강연을 듣고 관련 서적 공부) ③동아리 활동을 통해 배운 점 (미래 의사로서의 소양에 대해 생각하게 됨)을 자연스러우면서도 확실하게 어필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수있을거에요. 예시 2)에서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왜 인문학 동아리 활동을 하게 됐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는데, 이러한 점을 보충해 주면 더 훌륭한 자료가 될 거에요!


이러한 사항들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동아리의 기존 활동 외 본인이 주도하여 한 활동, 리더십을 보여준 사례, 탐구하고 배우려는 자세, 동아리 활동을 통해 경험하고 배운 점 등의 항목을 염두에 두고 동아리 활동에서 이러한 포인트들을 얻어가려고 노력해야 해요. 이미 동아리 활동이 끝나고 정리하는 단계라면 이러한 사항들이 없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조금이라도 끄집어내 봐야 해요. 동아리 활동을 예시로 들었지만 봉사활동 / 자율활동 / 진로활동의 경우에도 위의 예시와 비슷하게 활동 내용보다는 자신이 무슨 동기가 있었으며, 그 활동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고, 무엇을 경험했는지를 명료하게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고 이런 내용들을 잘 보여주는 활동 내역이 좋은 비교과 자료라고 할 수 있겠죠?



서울대 의대 학생들의 내신관리 비법이 궁금하다면?


중 • 고생을 위한 효율적인 내신공부 전략 : http://medibridge.co.kr/221300119291



*막막한 비교과 탐구대회,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비교과 탐구대회 알아보기 : http://medibridge.co.kr/221300119291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