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저녁
-
공부잘하고싶어요 0
-
이제 술못마셔요 살려주세요.
-
만약 있으면 정말 감사합니다
-
적당한 열등감은 내가 노력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는데 저런거는 내가 아무리 평생을...
-
덕코좀주세오
-
훈련소때 1
구두약 주머니에 넣은거 까먹고 세탁기 돌려서 욕 개쳐먹고 수료식 전날 애들하고...
-
이름: 신정환 전 남자입니다 ^^
-
국어수학1등급맞고고민하는게효율적이려나
-
. 1
-
의반이 탐구는 몰라도 국수 등급컷에 영향을 미치긴 힘들지 않을까 7
의반 아무리 많아도 5천명 이하일 것 같아가지고
-
덕코를 모으며.
-
저 기만해봄 5
테니스 선출 이였음
-
지금 아무것도 할 수가 없네
-
잠실쪽 일반고 2
이과로 서성한 이상 가려면 전교에서 몇등정도해야하나요?
-
나도기만좀해봄 5
테1무팜랜드해서2000원벌었어요
-
도수 모르고 먹었다가 힘들었음..
-
수능공부는 진짜 6
엉덩이 싸움인듯
-
선배님들의 고견을 정말 부탁드립니다!! 정시 최종 예비5번으로 떨어졌는데요 그 과에...
-
문과 가는데 수학을 왜 봐요? 에 대한 교수님의 답변 13
문과 가는데 수학과목을 왜 해야 하냐는 것에 대한 문과 교수님의 답변. 그 과목...
-
군대 특 2
지능이 실시간으로 떨어지고 있는걸 실감함 ㅋㅋㅋ
-
인생 3
몇살때부터 즐거워지나요? 스무살인데 우울하네요
-
저도 남친생겼어요 22
작년 11월 14일부터 사귀게 된 친구인데 귀엽져 ㅎㅎ
-
혼자서 꼭 못풀어도 이해되면 충분? 제발 그렇다고 말해줘라
-
맥주도 취하나 5
살짝 어지러워지려 하네 흠
-
현역 수시로 최저 3합6만 맞춰서 서강경제 성대 글제 합격하고 다녔는데 아쉬움이...
-
그… 유빈이라고… 항상 같이 공부하는 친구 있어요 ㅎㅎ
-
학교에서 화학물질을 너무 만져서 그런가 지능이 떨어진 것 같음 수능 공부를 하기...
-
학군지때매
-
다 비켜라 1
인초상은 내꺼임 ㅇㅇ
-
역시 강원도 쵝오~~~
-
흐흐
-
웹툰 병맛인데 꿀잼ㅋㅋㅋㅋ
-
주식 ㅇㅈ 12
외화 유출 ㅇㅈ ㅅㅂ
-
올해는 대학가야되니까 공부를 해볼게요
-
나같은 괴물이 나오지 않앗을것.
-
현실에선 쭈뼛쭈뼛 아무 말도 못하고 주눅들어있는 개찐따들이 여기서라도 날개 피고...
-
명언 투척 4
"오늘 할 수 있는 일은 내일도 할 수 있다!"
-
대학에서 수학을 많이 보는 이유가 뭘까요 사고력측면에서 제일 중요해서? 변별해야해서?
-
아이돌 연습생 출신 오르비언이라도 있는 거임?
-
소독의 개념
-
챗지피티사야되네 6
연간결제 ㅅㅂ
-
물론 누백 일대일 대응이 의미는 없겠지만 올해 기준 연고대 고려대 학부 통계 정외...
-
상대적 박탈감 유발
-
고독한미식가 그 배우분
-
무슨 메타임 2
설명 부탁
-
너무옛날인가
-
제설만 안 했으면..
-
와 나 존나 못생겼네
글은 정말 좋은 글이지만... 수학 중위권 학생들이 1등급 컷까지 가는 과정에 1문제당 최대 10분 원칙은 유용할 수 있으나 5등급 이하나 2등급 이상 학생들에게는 오히려 독 아닐까요? 저같은 경우 현역 6,9 1등급 수능 2등급이었는데 재수때 미2 마약n제 풀며 1문제당 시간 많이 가져가며 고민해서 수학 실력이 많이 오른 것 같아요.
앗.. 뭐든 일반화할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ㅠㅠ
제 4년간의 개인적인 경험이 스며들어간 점은 없지 않아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뭐라고 할 수 없네요
제가 직접 4에서 1까지의 과정을 겪어봤기에
제가 보장할 수 있는 건 1~4등급이지만
5등급 이하도 4등급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거든요ㅠㅠ
그래도 다른 분들에게 최대한 도움을 주고자 글을 썼고
제가 언급한 방법이 아예 틀렸다고 할 수가 없다는 점도 고려해서 쓰게 된 글이라
그런 의도에서 글을 썼다는 점은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수학은 암기다.... 에서 거르고갑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표현력이 부족해서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네요!!
댓글다신 분들 중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의 표현을 더 잘 전달해주신 분의 말씀을 인용하겠습니다ㅠㅠ
제 의도는,
수학문제를 보고, '이문제는 어떤어떤방법으로 풀었었다!' 이런걸 외우란게 아니라,
풀어나가는 과정과 메카니즘을 체화시키라는 겁니다.
즉, '문제자체를 암기한다'가 아니라,
'문제를 풀어나가는 여러가지 툴을 익혀서 잘 조합해 써먹자!'입니다...
이 의미를 [수학적 사고는 반복을 통해서 길러지는 것이다]라고 표현한거구요!!
오해없으셨으면 합니다ㅠㅠ
아 ㅈㅅ...
밑에 계신 분 수학 실력이 어느 정도일지는 모르겠다만 이분 다른 글 읽고오세요 적어도 3번에는 맞는 말만 써있습니다.
3번은맞는말인데 수학은 암기라는게 틀린말이라구요 3번 틀리다고한적없어요ㅡ
그부분은 제가 잘못 이해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런데 어느정도까지는 암기 아닌가요? 3점짜리 유형이나 중간 난이도 정도의 4점 까지는 암기한 개념들을 융합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함니다.
아니아니 죄송할건아니에요. 근데 수학이 솔직히 개념만알면 4점초반까진먹는거고 18,19,20,27,28 여기서부터가 사고력(?)이필요한거라서... 저는 암기는 한5등급까지만 적용된다고생각해요
근데5등급 받으려고 공부하는거 아니잖아요???
암기 적어도 모의고사 2등급까지만 먹히지 않나요 특히 제대로 원리도 안익혀지는데 꾸역꾸역 암기하면 시간없는 현역은 수능에서 제대로 망칠수도....
댓글에서 어느 정도는 해명했습니다!!
본문도 설명을 덧붙여서 수정하겠습니다ㅠㅠ
글쓰신분의 의도는 문제를 보고 이문제는 어떤어떤방법으로 풀었었다! 이런걸 외우란게 아니라 풀어나가는 과정을 체화시키라는 말씀처럼 보이네요. '즉 문제자체를 암기한다'가 아니라 '문제를 풀어나가는 여러가지툴을 익혀서 잘 조합해 써먹자!'인거같아요.
수눙수학은 문제푸는 메커니즘의 체화, 암기라는 말은 100번 공감되지만 개인적으로 가끔 한 문제에 시간투자를 오래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케바케겠지만요
애초에 글쓴이분의 의도가
수학 약간 or 노베이스여서 갈팡질팡 하시는 분들에게 전하는 1등급 받기 꿀팁
뭐 이런 뉘앙스 아니셨나요..
이미 수학 1등급 이신 분들은 살포시 뒤로가기
1등급 아니신 분들은 이분 방법을 적용 해보고 본인과 안맞다 싶으면
다른 분의 조언 들으시면 될듯..
ㄹㅇ 암기가 적폐인 시대. 암기도 공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