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귤 [399736] · MS 2017 · 쪽지

2019-01-29 21:28:05
조회수 3,081

서울대 의대생이 알려주는 비교과 준비하는법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124104

안녕하세요 비교과준비하는법 2탄도 쭉 알려드려요!!!


1탄 링크 : 왜 비교과를 준비해야하는가? https://orbi.kr/00021124039 




앞선 칼럼에서는 왜 탐구대회를 준비해야 하는지 그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실제로 참여할 수 있는 탐구대회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인터넷에 흔히 떠도는 비교과 탐구 자료가 아니라, 실제 서울대 및 연대 의대 출신 메디브릿지 강사님들이 고등학교 시절 했던 탐구활동 위주로 가져와보았습니다!


① 과학탐구발표대회

: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가장 대표적인 탐구대회로, 학교장 허가 아래 생활기록부 기재가 가능합니다.

(2018학년도 중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지침)



위 대회는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매년 새로운 일정이 공지되며, 1학기에 실험을 계획하고 방학 시작과 함께 진행해 대회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반적으로 1단계인 교내예선의 경우 9월 첫째 주까지 접수를 받아 과학전시관측으로 수상작을 전달합니다.


학생탐구발표대회 본선에 선정된 경우 A0 크기의 포스터를 만들어 본선 대면심사를 거치게 되며 우수작은 각 시의 과학전람회 본선대회에 참여하게 됩니다. (아래는 지인의 수상실적입니다) 이후 여기서도 좋은 성과를 거둔다면 전국과학전람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게 됩니다.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고등학생의 경우 융합과학과 과학토론분야에 대해 진행됩니다. 올해 융합과학의 경우 아래 재료를 가지고 100분간 스마트카를 설계하고 180분간 실제로 1미터를 주행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과제가 주어졌으며, 과학토론분야에서는 녹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라는 과제가 주어졌습니다.


본 대회의 특징은 사전에 주제를 공지하지 않고 현장에서 주제를 주어준 뒤, 제한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는 점입니다. 의사는 항상 촉박한 상황 내에 정확한 결정과 문제 해결을 하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의 의과대학이 MMI 면접을 통해 다양한 상황의 문제해결능력을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하려 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본 대회 수상 역시 이런 점을 강조해, 의대 입시에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③ STEAM R&E


마찬가지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최하는 Research and Education의 약자인 R&E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교수의 실험실과 연계,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서 연구를 미리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하는 대회입니다. 연구주제 선정에 있어서 의학 분야, 또는 의학적 응용가치가 충분한 주제를 선정할 수 있는 자유도가 타 대회보다 높기 때문에 매우 선호되는 대회이기도 합니다.

특히 올해의 경우 입문 STEAM R&E가 신설되어 과학고 등 특목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던 R&E의 참여 범위가 보다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본 대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2~3월에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교수님과의 컨택이 완료되어야 하며 4월부터 사업이 진행, 10월말에 성과발표대회 및 시상이 이루어집니다.




④ 교내 우수논문 발표대회, 교내 과학탐구대회


위에 소개한 대회들이 대표적인 교외 탐구대회이지만 교내대회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 없으며 오히려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교내 탐구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다면 해당 실험과 결과를 가지고 교외 대회에 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탐구 관련 모든 스펙의 기본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교내대회는 각 학교마다 상이한 일정 및 심사 기준과 대회의 종류를 가지고 있지만 학교와 무관하게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심사자를 파악하라!’가 되겠습니다. 즉 대회를 기획하고, 제출된 보고서를 심사하는 선생님과의 관계가 무시하기 어려운 요소가 되겠습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올해 어떤 대회가 열리고, 제출 기한이 언제인지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면 미리 대회를 준비하고 참여할 수 있겠죠? 짧고 비교과활동 외에도 챙겨할 것이 많은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사전에 어떤 대회가 열릴지를 공지되기 전에 파악한다면 알차게 시간을 운용해 대회를 준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평상시 자주 대회 담당 선생님과 대화를 나누고 찾아뵌다면 이런 정보를 얻기 역시 상당히 수월해집니다.

두 번째로 심사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평상시 좋은 인상을 남기고 자주 대화를 나누는 학생이라면 해당 선생님이 어떤 기준을 중요시하며 보고서를 평가하는지를 알 수 있고 이에 방향성을 맞추어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심사자의 성향을 파악해 작성된 보고서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음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시겠죠? 아래는 제 지인의 수상실적이에요! 

[출처] 비교과 탐구대회 알아보기 (2) 어떤 탐구대회가 있을까요? (의대수시 mmi면접 과학탐구대회 독서토론대회 소논문 R&E 생기부예시 생기부독서활동 메디브릿지)|작성자 MEDIBRIDGE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