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수시전형)의 중요 관점 (View Point)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03907
“손 실장, 이번 면접에 나도 참여해도 될까요.” 손성익 포스텍 입학사정관실장은 지난달 총장실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았을 때의 당혹함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고 했다. 손 실장은 “총장이 학생 선발에 참여하겠다는 말에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 같았다.”면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의지가 워낙 확고했다.”고 말했다. 포스텍의 입학사정관제는 국내에서 가장 앞선 제도다. 대학 안팎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포스텍은 1997년 고교장 추천전형을 시행한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면접전형 비율을 높였다.
입학사정관제가 제도화된 2009년부터는 신입생 300명 전원을 수시모집으로 뽑고 있다. 올해의 경우 2060명이 지원해 서류전형으로 3배수를 뽑은 뒤 잠재력 평가와 수학·과학 면접을 통해 합격 여부를 가린다. 22명의 전문사정관이 모든 과정을 관리·정리한다. 20일 오전 면접을 마친 김용민 총장은 흐뭇해했다. 지원한 학생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봤기 때문이다.
![]() |
▲ 김용민 포스텍 총장 |
→포스텍 입학사정관제가 서류전형에서 학업성적을 너무 많이 본다는 비판이 있다.
-포스텍에서 학업을 할 수 있는 학생을 뽑는 것이 우선이다. 물론 특정 분야의 천재도 뽑아야 한다. 하지만 한 분야만 잘하는 학생, 좋아하는 과목 이외의 성적이 지나치게 떨어지는 학생은 학업을 대하는 태도에 문제가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미국의 명문대나 연구중심대학들을 봐도 전반적인 학업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을 한 분야의 우수성이나 잠재력만으로 뽑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렇다면 결국 학업성적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건가.
-학업성적으로 줄을 세우지는 않는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는 수능이나 SAT 만점자들이라고 합격이 보장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커트라인을 넘어서면 그 위의 성적구분은 의미가 없어진다는 거다. 그 결과 줄을 세우면 절대 들어오지 못할 학생들이 입학한다. 포스텍의 경우에는 지난해 수시모집 전형에서 성적 역전이 30% 정도 생겼다. 올해는 아마 더 늘 것 같다.
→면접관들이 20분간 대화하는 것만으로 잠재력을 충분히 알아낼 수 있는지.
-실제 만나는 시간은 20분이지만 서류를 보내는 순간부터 입학사정관들과 면접 참여 교수들이 읽고 분석한다. 저 역시 학생들의 서류를 잔뜩 읽었다. 학생에게 질문할 내용들도 미리 서류에 줄을 긋고 다 표시해 둔다. 교내활동을 독점한 학생의 경우에는 내신관리에 미쳤던 영향과 당시의 부담감을 물어본다. 다른 친구들에게 돌아갈 기회를 빼앗은 것이 아니냐는 압박성 질문도 할 수 있다.
→실제 면접에 참여하면서 가진 느낌은.
-적극적이고 활발한 학생들이 많았다. 교수들의 얘기를 들어봐도 3년 전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한 이후 학교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한다. 자기표현이 확실한 학생들이 면접의 혜택을 더 많이 본다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여전히 경험은 부족하다. 실패하고 좌절한 경험을 물어보면 거의 대부분이 ‘성적이 떨어졌을 때’, ‘경시대회에서 입상하지 못했을 때’를 얘기한다. 별다른 실패 경험이 없다는 건 선생님이나 학부모들이 학생 스스로 뭔가를 하지 못하도록 실패를 막아주고 있다는 뜻이다. 자기 학생, 자기 자녀를 못 믿는 거다. 제 경험상 실패해본 학생이 훨씬 발전 가능성이 높다. 실패를 모르는 한국 학생들이 좀 아쉽다.
→포스텍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다른 대학들이 ‘300명을 뽑는 포스텍이니까 가능한 일’이라고 한다.
-입학사정관제는 비효율적이다. 시간과 노력, 돈도 효율성만 놓고 보면 낭비다. 하지만 학생을 제대로 뽑는 건 어찌 보면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사람을 뽑을 수 있다’는 건 대학의 특권이고, 어렵게 뽑는 것으로 그 특권을 충분히 누려야 한다. 학생을 어렵게 뽑아야 대학들도 더 애정을 갖고 돌보지 않겠는가. 종합대학에서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도 잘못된 편견이다. 미국에서는 몇만명씩 지원하는 큰 대학들도 전부 입학사정관으로 뽑는다.
→포스텍 합격생들은 대부분 서울대나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함께 합격한다. 좋은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복안은.
-뺏고 빼앗기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서울대 동시합격생 중에서도 절반가량은 포스텍을 택한다. 학교에 대한 인상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예를 들어 이번 면접을 보면, 면접은 쌍방향이다. 면접관이 면접을 보지만, 학생도 면접관을 평가한다. 질문을 던지지만, 학생의 대답에 대해 상담이나 조언을 하기도 한다. 총장인 제가 직접 참여한 이유 중의 하나도 학생들에게 신뢰성을 주기 위해서였다.
2011-10-2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엔티켓이 더 어려운 거 같지 내가 이상한 건가 뭐지
-
대구 독재 0
어디가ㅜ제일 싼가요..?
-
범준이햄이 헛짓해서 스블까지 저평가되는 느낌
-
독서론 -> 독서 1,2번째 지문 -> 언매 -> 독서 3번쨰 지문 -> 문학...
-
연계만 김젬마t 들을까 11
하 연계공부 이 강좌로 하면 몇번이고 볼것같음 정석민선생님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파이널때 만나요
-
스블만해도 0
범준쌤 여러모로 까이는건 다 인정하긴 하지만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너무 많이...
-
저메추좀 맛있는거 없나
-
https://orbi.kr/00024616378/%EB%AC%B8%ED%95%99%...
-
난 포메
-
견주분들은 애기 강아지 행성으로 떠나면 새애기 입양하시나요
-
시계 아무도 안알아줘서 슬푸
-
[오비탈] 스핀 자기 양자수(만일을 대비하여) ->바닥 상태에서 같은 오비탈에...
-
(생물학적으로는) 20대 초반~중반이라고 하던데.. 맨날 술먹고 사람들이랑 밤샐...
-
예쁘려나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를 챗 지피티로 어그로 끌면 메인 ㅆㄱㄴ
-
아이유, ‘좌이유’ 비난에 “속상하지만 감당해야 할 부분” 6
가수 겸 배우 아이유(본명 이지은)가 자신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에 대해 심경을...
-
작수 5등급 나왔습니다 일단 단어장 하나 외우고있긴한데 또 뭘해야될지 모르겠어요...
-
역시 고전인 건가
-
이 감정도 전부~
-
20대 초중반에 낳으면 더 좋은거 아님?
-
수학 쌩 노베 0
50일수학 끝냈고 세젤쉬 수1,2 확통하려는데 수 상 하도 해야하는건가??이건 뭐 들어야함??
-
원본: 시립대의 왕 박종현...
-
진짜 엄청 찐사랑하는 애인 보면 막 좋아서 우짤줄 모르겠는것처럼 강아지보면 그렇게...
-
더프 사은품으로 온 거 풀려고 하는데 등급컷 어디서 봐야함
-
쓰니야 나 지금 머리가 띵해..
-
개성이 없어서 누군지 가끔 혼동됨
-
먹고싶은것 17
헴버거 돈까스 순댓국밥 선생님 파스타 제육볶음
-
네 알겠습니다
-
3일쉴수있어
-
내신 한정 goat 수능에서는 별 쓸모 없는거 같기도
-
일반고 내신 1학년 내신 3.6 고2입니다. 생기부는 평범한 편으로, 분량 미달과...
-
그냥 공부나할까
-
"싱싱한 20대에 애 낳아라"…남교사 이번엔 '설문조사' 논란 13
서울 모 고등학교에서 "출산하지 않으면 여자 인생은 가치가 없다"는 발언으로 물의를...
-
습득력도 없고 순공시간은 4시간은 나오려나 거기다가 오늘부터는 입시에 온전히 집중...
-
이미 신청기간 좀 지난걸로 알고있긴한데 학원목록은 어디서 보나요??
-
민주당 무제한 탄핵 난사로 사실상 정국 마비 ㄷㄷ
-
이미지 관리 좀 하자
-
일단 미리 말하자면 이 방법론은 극상위권이 되기 위한 기초작업임 수능수학에서 적당한...
-
나는 주인공
-
실시간 옵붕이 ㅈ됐다 11
같은 학원 사람한테 얼굴 털렸다
-
"손잡는 벚꽃 데이트, 일당 20만원"…20대女 콕 찍은 '모솔男' 12
함께 벚꽃을 보러 갈 20대 여성을 찾는다는 구인 글이 온라인에 공유돼 누리꾼들...
-
ㅈㄱㄴ
-
리얼 화면을 고장내삣네
-
고1 영어모고3 /내신 5떴었는데 고2 영어 내신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오뿌이들 오늘 하루 어떻게 보내셨나요!!
-
방학 때 열심히 일해서 무조건 자취할 거예요 히히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