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생을 위한 과학 이야기 - 열역학 법칙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950072
열역학 제 2법칙은 세상의 무질서함에 대한 법칙이다.
<우주 전체 엔트로피는 모든 자발적 과정에서 증가한다.>
잠시만, 일단 엔트로피가 뭔지부터 알아야겠다. 엔트로피는 온도나 질량처럼 어떤 물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다. 온도가 물체가 얼마나 뜨거운지를 나타내고 밀도가 질량이 얼마나 무거운지를 나타내주는 척도라면, 엔트로피는 무질서해질수록 값이 증가하는, 물체가 얼마나 무질서한지를 나타내 주는 척도이다. 예를 들면, 간밤에 친구가 술을 사들고 자취방에 왔을 때, 전날 밤 자취방의 엔트로피가 다음날 아침 자취방의 엔트로피보다 낮다. 이제 엔트로피가 뭔지는 알았으니까 ‘자발적 반응’이 뭔지 알아야겠지? 이건 쉽다. 가만히 냅둬도 일어나면 자발적 반응, 내가 뭔가를 해줘야 일어나는 (혹은 아예 일어나지 않는) 반응은 비자발적 반응이다. 이제 열역학 제2법칙을 풀어서 생각하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모든 반응은 우주가 무질서하게 바뀌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ps. 엔트로피에 대하여
과학자들은 열역학 제 2법칙을 이용하여 아직 실험해 보지 않은 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날지 비자발적으로 일어날지 추측할 수 있다. 어떤 반응은 반응식만 보고도 이 반응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반응인지 감소하는 반응인지 대충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의 에시는 재미로 알아보고 넘어가자.
1. 기체 분자의 개수가 증가하는 반응
2. 기체에서 액체로,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반응
3. 두 기체가 서로 섞이는 반응
열역학 제 3법칙은 엔트로피의 값의 정의에 대한 법칙이다.
<완전결정의 엔트로피는 절대 0도에서 0이다.>
결정은 영어로 crystal. 어떤 원자들이 모여서 일정한 모양을 만들 때 그걸 결정이라고 한다. 굵은 소금이나 다이아몬드, 석영 같은 게 대표적이다. 이런 결정들은 보통 오랜 시간 동안 표면에 원자들이 한 개씩 한 개씩 붙으면서 조금씩 커진다. 시간이 걸려도 예쁘게 만들어지면 참 좋은데, 꼭 만들어지다 보면 안에 이상한 게 하나씩 낑긴다. 그러면 모양이 이상해진다ㅜㅠ 그런 불순물 없이 깔끔하게 만들어진 결정을 완전 결정이라고 한다. 그럼 완전 결정은 그 원소들이 모여서 만들 수 있는 물질 중에 제일 규칙적인 물질이니까 그 원자들이 가질 수 있는 엔트로피 중에 제일 낮은 엔트로피를 가지겠지? 여기까진 좋다. 그런데 완전결정의 엔트로피는 0이다 하면 되지, 낑겨있는 ‘절대 0도’는 또 뭐지?
절대 0도는 물질의 온도 중 제일 낮은 온도이다. 그런데 모든 원소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움직임이 둔해진다. 우리가 추우면 움직임이 둔해지는 것처럼. (사실 이게 온도의 열역학적인 정의다. ‘계의 입자가 가지는 에너지의 평균값‘) 온도가 점점 낮아지다 보면 원소가 점점 떨림이 둔해질 거고, 어느 순간 그 떨림이 멈추겠지? 그 떨림이 멈추는 순간을 절대 0도 (-273 ) 라고 한다. 그럼 당연히 절대 0도에서 엔트로피가 가장 작을거다. 떨림이 0이 되는 순간 그 물질은 가장 질서정연해질 테니까. 그럼 이제 정리가 다 끝났다. 열역학 제 3법칙은 물질이 제일 질서정연한 상태의 엔트로피를 0으로 정의한 법칙인 거다.
글 쓰시는 분들 존경스럽다 어렵군요..... 피드백 지적 환영합니다 :D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생긴 놈은 ㅇㅈ 메타 열리고 조금 끝나갈 때 해라 다 식는다 ㅡㅡ 이러면 대부분 ㅇㅈ 못함 ㅋ
-
그 전에 제 인생을 망친 사람들을 찾아내 복수하려고 합니다.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fx하나로 이제 어케 봄
-
초5였나 초6 때 미적 블랙라벨 풀았다는 소문이 결국 그 친구는 서울과학고를 감
-
국어고자의 설움이다 진짜너무너무어렵다
-
모자눌러쓰고 마스크 끼고 눈화장한 사람들 보면 83퍼는 예뻐보임
-
모집 끝났으려나
-
동아리에 너무 나이많은 사람밖에 없음…
-
여기에다가 일반전형의 경우 메디컬은 25에 비해 감원임. ㅋㅋㅋㅋㅋ
-
사관학교 수학으로 대충 수능 등급 예상하면 N제,실모를 더 해야겠네 견적이 나와서 틀딱한정.
-
별로 못가르치길래 다른분 듣고싶은데 혹기 메가스터디에서 유전을 기깔나게 잘하시는 분 누구인가여??
-
오르비 6
방가
-
학생증도 안되고 이니셜도 안돼서 고잡대 행정시스템 욕좀 했더니 이걸 3일정지를 먹여?
-
폭력적인 비주얼 8
이거 하나에 하루 권장지방량 전부 섭취 가능....
-
님 ㄹㅇ mbti CUTE신가
-
헤헤 갑자기 팔 늘었다 12
8명 남음
-
수1 n제 1
수1기출 다 끝내고 드릴하기 전에 n티켓이랑 4규 둘 중 하나 풀려고 하는데 뭐가 더 나을까요
-
쓰러져도 꿈이 있기에 다시 일어날 수 있지만 이뤄지지 못할 꿈에 대해 매몰되기도 하는거임
-
독해력 ㅇㅈ 2
작수 백분위 97임
-
ㄹㅇ 아기순대인가
-
팀 0
물2화2 화이팅
-
헤응 1
-
독해력 테스트 0
2025 수능 국어 6등급, 백분위 31이었는데 연초부터 글 읽는 자체에 흥미를...
-
4규 0
4규 시즌1 풀거 같은데 그동안 선택과목은 어떤거 하나요?
-
김동욱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법을 알려주면 정석민은 그 반응을 어떠한 이유로 할수...
-
여기 친구들은 0
학종만생각하나봐 교과컷도 좀확인해보지...
-
생윤아 간다 담요단 해볼게
-
의반은 재앙임 5
의반을 피해다녀야함 의반이 할 과목들은 자제해야함 피해야 할 과목 리스트: 언매 미적 과탐
-
진짜 현타가 개쎄게옴 ㅠㅠ
-
인가경 한서삼까지 내려가야하지 않나 저성적에 어캐 쓸생각을 ㄷㄷ
-
과외 하려면 10
사업자등록 어쩌구해야되나? 현금영수증 나오는거
-
(수능국어 4->1) 3등급 이하 분들께 드리는 제언 17
안녕하세요!24수능 4등급 -> 25수능 1등급을 받은 국어핑!!!입니다....
-
존예인가요 14
ㅇㅇ
-
못난 나지만 그래도 좋아
-
본인의 심금을 울리는 아재개그를 쓰고 가는 두 명에게 3000덕 씩 드림
-
그시절 몽골제국ㄷㄷ
-
사후적이긴 한데 높공 중간공 둘 다 될 성적이었는데… 진학사 칸수에 쫄아서 낮공쓰고...
-
ㄹㅇ로
-
계신가요? 질뮨드릴 것이 있슴니다
-
과고 커리큘럼 알려줌 12
1-1:수학 상,하,1 물화생지 1 1-2:수학 2,미적1,미적2 물화생지 2...
-
애매한 능력 5
가끔씩 삼행시 포텐터짐
-
애매한능력 9
화학1을 15분내로 풀수있음 장점 오르비에서 화1러 컨셉잡을수있음 단점 만표 65
-
아오 진짜
-
ㅠㅠ
-
자격도 없고 입맛도 없다
-
애매한 능력 ㅁㅌㅊ 13
복화술 달인 단점 : 사람들 많이 있을 때 쓰는데 문제는 주변이 시끄러우면 잘 안...
-
감이 안와요 넌 삼수해라
-
덕코복사법 3
레어중에 대충 십오타쿠같이 생긴거 사면 1분만에 다시 뺏기면서 덕코불어남
-
칸타타 1
칸타타님 처럼 수학 잘하고 싶어서 밖에 나갈때마다 1일 1 칸타타 하고 있음
-
여르비 컨셉으로 할 걸 그랬나
글 열심히 읽겠습니다.
들어가기전에, 엔트로피의 정확한 정의가 이것말고도 다른것이 있지 않나요?
18수능에 나왔던 모 부호화 지문에서는 이게 평균 변화율이라던데..
엔트로피가 크다는건 불확실성이 크다는것이고, 정보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은 정보량이 많다는 거죠.
부호화에서도 그런 뜻으로 쓰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발생확률이 낮을수록 그 정보의 발생이 불확실하니 엔트로피가 클수록 발생확률이 반비례하는군요. 이해했습니다.
그건 정보 엔트로피고
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엔트로피는 이 글의 엔트로피에요

헐 찾아보러 다녀왔는데 고마와요비문학 제재 ㄷ

햄찌추~★열역학 제 2법칙의 핵심은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방향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쪽으로 일어난다이고, 이 자발적 반응의 예는 차가운 콜라의 거품이 병 밖으로 무질서하게 새는것으로 이해가 가능하군요.
열역학 제 3법칙의 요점은 순도도 엔트로피로 정의가 가능하고 불순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엔트로피도 높아진다는 것이군요. 또한 고체일수록 엔트로피가 낮아지고 기체일수록 엔트로피가 높아지는군요.
직관적인 법칙이네요 말을 어렵게 써놔서 그렇지
그냥 물 쏟으면 그 물이 움직이는 방향이 무질서하다는 것만 이해한다면
이법칙은 이해하기가 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