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항상 잘하고 있어 [824427] · MS 2018 · 쪽지

2019-01-20 14:04:06
조회수 1,094

화2 윤도영듣는데 오개념좀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904678

발열반응은 화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거래매요


그러면 포도당 분해해서 atp합성하는건 뭐에요?

Nadh가 열에너지로 만들어지는건 아닐텐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대는거르자 · 804934 · 19/01/20 14:05 · MS 2018

    고등 생2를 안해서 모르겠지만, 과정에서 발열, 흡열중에 뭐가 주인지 생각해보셔유

  • 청룡산의⚧선녀 · 793889 · 19/01/20 14:05 · MS 2017

    '포도당이 분해되면서 atp가 생기는 것' 자체가 화학반응임

  • 넌 항상 잘하고 있어 · 824427 · 19/01/20 14:06 · MS 2018

    ㅁㅊ 깨달음
    ㅁㅊ

  • 넌 항상 잘하고 있어 · 824427 · 19/01/20 14:06 · MS 2018

    누나 사랑해요;

  • 넌 항상 잘하고 있어 · 824427 · 19/01/20 14:08 · MS 2018

    그러면 같은이치로 화학발광에서 나오는 빛도 화학반응중 하나로 두면 전체적으로 발열반응이겠네요?

  • 청룡산의⚧선녀 · 793889 · 19/01/20 14:22 · MS 2017

    어차피 광화학 반응은 고교과정에서 잘 안다루니까 빛에너지와 관련되어 엄밀하게 발열과 흡열의 정의에 대해 고민할 필요는 없을것 같아요.

  • 약대!! · 867042 · 19/01/20 14:24 · MS 2019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습니다. 형태만 바뀔 뿐 이죠.
    포도당이 기질수준의 인산화 과정을 통해 ATP를 생성하는 것 이고, ETS를 통해 역시 ATP를 생산하는 것 입니다.
    예를들어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볼께요. 전자전달계를 거치며 산소와 프로톤이 물로 바뀝니다. 이는 산소의 환원과정이며 표준환원전위표를 보면 전기에너지의 낙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에너지의 차이가 미토콘드리아 기질과 막간공간의 프로톤 농도차이를 만듭니다.
    이러한 프로톤 농도차이때문에 프로톤이 막간공간에서 기질로 유입되는 추진력을 만들고
    F0/F1 펌프가 이 추진력을 이용해 구조을 회전시키며 ADP에 인산을 붙여 ATP로 전환합니다.

    엔탈피는 이 모든 과정 , 혹은 각각의 반응마다 발열반응인지,흡열반응인지를 판단하는 것 이며, 일반적으로 생물체에서 이화반응의 경우 음의엔탈피 , 즉 발열반응인 경우가 많을 뿐 이지
    발열반응과 흡열반응, 동화반응과 이화반응은 엄밀히 말해 연관관계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