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ptGCnVPelM3bW [764860] · MS 2017 · 쪽지

2019-01-15 07:02:05
조회수 3,560

우리나라 전력공급방식에 대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768860

.

전력공급방식

최대 1개 선택 / ~2019-01-22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o It Vansoo · 820621 · 19/01/15 07:02 · MS 2018

    그밖에도 여러가지는 있잖아요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7:03 · MS 2017

    현상황에서는 가장현실적인 공급방식입니다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7:03 · MS 2017

    생각하시는게 뭐가있으세요?

  • Do It Vansoo · 820621 · 19/01/15 07:06 · MS 2018

    탈원전 탈화석에너지를 할거면 태양광 태양열에만 의존해서는 안되지 않을까요

  • Do It Vansoo · 820621 · 19/01/15 07:07 · MS 2018

    장마철만 되도 가동률도 떨어지고 우리나라에서 크게 효과적인 방법도 아니라 다른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가 보장이 되어야 될듯

  • Do It Vansoo · 820621 · 19/01/15 07:08 · MS 2018

    그리고 보통 석유발전은 거의 안해요 단가가 비싸서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7:10 · MS 2017

    주요요점은 탈핵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고싶어서 투표해본거에요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7:11 · MS 2017

    현재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인측면에서의 친환경에너지공급인 태양열만생각했네요 님말대로 다른 방식의 공급도 부수적으로 필요한건맞습니당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7:13 · MS 2017

    최근 ess배터리 단가가 싸졌기도했고 태양열 발전과정의 효율성도 많이 좋아졌는데 기사보면 원전원전거리는 댓글만보면 속이터져서요..

  • Do It Vansoo · 820621 · 19/01/15 07:15 · MS 2018

    아무 것도 모르면서 까려는 사람이 종종 있더라구요

  • Schrödinger's cat · 770527 · 19/01/15 07:37 · MS 2017

    솔직히 원자력발전 빼곤 효율이 대부분 ㅎㅌㅊ임 좀 높은거는 단가가 안맞고...
    탈원전 해야하는건 맞는데 그 시기가 지금은 아니라고 봄 미적1 안하고 미적2 바로들어가는 느낌임 원자력발전을 확실히 대체할수 있는 뭔가가 나오기전까진 탈원전은 독임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8:02 · MS 2017

    시기가아니라고 하시는데 이미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20~30년도안으로 60퍼 이상의 전력을 친환경에너지를이용하려고 하고있어요 또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탈원전을 목표로 감축중이고 이미 탈원전을 끝낸나라도 있습니다 시기가 아닌것이 아니라 이미 늦었습니다 우리나라만 역행하고있어요 지금이라도 조금씩 감축해나가고 전력공급의 비율을 바꿔나가야합니다

  • 초록바나나 · 821943 · 19/01/15 07:57 · MS 2018

    우리나라는 땅덩어리가 작아서 원자력밖에 답 없늘듯

    북한이랑 통일되면 뭐 딴방법 찾든가 할순 있겠지만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5 08:04 · MS 2017

    땅덩어리가 작아서 더 문제라는겁니다 원전 터지는 경우를 생각해보셨어요? 우리나라는 좁기때문에 다른나라에 비해 문제가 심각합니다 터진 그지역뿐만아니라 동해에서 터지면 서해까지 피해를보고 수도권, 서울은말할것도 없어요 싹 다 이민가야합니다 죽은땅이 되는거에요

  • 아그리컬쳐쇼크 · 776170 · 19/01/15 09:15 · MS 2017

    터질 가능성이 거의 없어요... 판도라 보고 오신건가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6 02:02 · MS 2017

    탈핵강연 찾아듣고다닙니다 가능성이 없다는건 본인생각이고요 후쿠시마는 터질거라 생각했나요? 터진곳만 몇군데인데 무슨 뇌피셜로 그러시는지.. 또한 경주에서 계속해서 지진이 발생하는데 언제 어떻게 될지, 터지지않는다는걸 본인이 보증할 수 있으신가요?ㅋㅋㅋ 안전불감증입니다

  • 아그리컬쳐쇼크 · 776170 · 19/01/16 19:00 · MS 2017

    터진곳이 몇군데인데요?
    전세계 원전대비 터진곳이 몇군데나 된다고 이러시나
    경주에서 발생하는 지진가지고는 안터져요
    우리나라 원전이 얼마나 안전한데
    원전 터지는게 무서우면 탈 자동차하고 자전거로 바꾸는 정책 시행해야죠 교통사고로 죽는사람이 몇인데...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7 07:29 · MS 2017

    일본학자들이 분석한 우리나라의 사고 발생확률은 10년에 8.3%입니다. 그 리스크를 생각할때 91.7%의 확률에 나라의 국토와 당신을 포함한 전국민을 걸 수 있습니까? 이외에도 원전에는 최초원전 설립인 78년도 이후 80년대부터 지금까지 현존하는 모든 원전 부품생산 및 설비에 대한 비리로 인한 부실공사로 업체 89곳이 9조9500억에 차액을 남겨 적발된 적이있고, 원전밀집등 사고 발생 확률을 높이는 위험요소는 훨씬 더 많은 상태입니다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7 07:34 · MS 2017

    '우리나라 원전이 얼마나안전한데' 라고 확신하시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단순히 '한번도 사고가 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렇게 확신하시는건가요? 우리나라같이 좁은곳에서는 한번터진다는건 더 이상 이 땅에서 살 수 없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 원전의 내진설계는 6.5밖에 되지 않고 원전 바로 밑에있는 활성단층인 울산단층의 지진 발생가능규모는 8.3입니다. 그쪽생각처럼 안전한 상태가 아닙니다. 이 단층외에도 확인된 활성단층만 450곳입니다 이중에서 조사된 단층은 25곳에 불과합니다. 확인되지 않은 더 큰 지진 발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 밑에 분이나 당신이나 자꾸 자동차, 자전거얘기를 하는데 그것만큼 멍청한 말이 없습니다. 원전은 교통사고의 확률만큼도 사고확률이 없어야하기때문에 문제가 되는겁니다.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7 07:50 · MS 2017

    일본 정부에서 조사한 지난 11년에 있었던 후쿠시마 사고 이후의 일본 인구 트렌드 그래프입니다 빨간줄이 후쿠시마 사고당시입니다.사건 발생당시 3년이지난 14년도에는 127만명이 사망하였고 이는 자연사망자수이던 26만명에 비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수치입니다. 11년~14년까지의 누적사망자만 봐도 360만명에 다다릅니다. 원전사고이후 근교의 주민뿐만아니라 일본전체적인 인구감소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14년도의 수치만 봐도 태평양전쟁 당시의 사망자 증가율을 뛰어넘는 수치입니다. 원전은 단한번이라도 사고가 나서는 안됩니다. 언제까지 근거도 없는 무조건적 안전확신에 빠져계실겁니까? 당신같은 사람 하나하나가 변해야 나라의 정책이 변할 수 있는겁니다. 모쪼록 넓게 보는 혜안으로 더 중요한 가치를 생각하시고 지금부터라도 원전 증축이 아닌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방식으로 전력공급방식의 비율을 높여가는데에 인식을 바꿔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그리컬쳐쇼크 · 776170 · 19/01/17 18:27 · MS 2017

    울산 단층 지진 발생규모 8.3은 찾아보니 전정수 박사가 추혜선 정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나온 수치이네요 상당히 신빙성이 낮고 부정확한 자료입니다.
    일단 조사기간이 굉장히 짧았고요 단층이 단 1회의 지진으로 생성되었다는 가정하에 작성된 자료이네요. 가능성이 거의 없죠
    다른 자료들에선 대체로 6.5 이내를 최대 지진규모로 보네요 우리나라 원전은 6.5까지 견디게 설계되었고요 그나마도 이번에 7.0으로 기준이 올라갔습니다.
    일본 인구 트렌드에 대한 자료는... 님이 최근에 올리셨다 삭제하신 다른 글에서 다른 많은분들이 제가 하고싶은 말들을 하셨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진 않겠습니다
    님이 우려하는 정도의 원자력 관련사고는 현재까지 한 3건정도 되겠네요
    그나마도 1건은 발전소가 아닌 폐기물 저장소에서 발생 한것이고 2건은 발전소 자체의 문제라기 보단 인재였고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인재 발생 할 수 있고 위험하죠
    하지만 그러면 그 인재를 막기위한 방안이 먼저 아닐까요? 비리 척결,원전 관계자 교육 강화 같이요.
    근데 원전 폐지를 말하는건 뭐랄까... 학교에서 미래의 범죄자들이 나오니까 학교를 폐지하자! 같은 느낌이네요 .
    제가 탈원전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에는 그걸 주장하는 사람들은 무엇보다 면밀히 원전의 위험성을 따지지만 정작 대체 방안에 대해선 별로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있어요.
    탈원전? 물론 좋죠. 근데 원전의 빈자리는 어떻게 메꾸나요?
    님이 강조하신 것 처럼 우리나라는 땅덩어리가 아주 좁아요 그래서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는것은 꿈만 같은 이야기 입니다.
    땅덩어리 넓고 조건 좋은 나라들도 원전의 빈자리를 친환경 에너지로 채우는건 힘든데 우리나라에선 불가능 합니다.
    탈원전은 그저 전기 생산방식에만 영향이 있는게 아니고
    우리나라 제조업,나아가 한국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입니다.
    다른 대체 방안이 나오지 않는한 탈원전은 현실성이 없습니다.

  • 물리1출제진 · 852019 · 19/01/15 09:16 · MS 2018

    일본 원전보다 더 안전하게 만드는데 일본보다 지진 빈도는 낮음.끝난거아닌가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6 02:16 · MS 2017

    더 안전이요? 무슨근거로 그런 말을하는거죠? 애초에 원자력발전공급방식의 근거가 일본이였고 최근 17년와서야 영구정지된 고리1호기의 설립연도가 78년도입니다 애초에 권장사용년도가 20년정도인데 수명연장을 계속시켜온것입니다 상식적으로 기본수명보다 연장시켰을때 더 안정도가 떨어지겠죠? 애초에 완전한 안전은없습니다. 우리나라 바로옆에서 발생한 후쿠시마원전때의 규모가 6.6입니다 제작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이 5.8이고요. 경주는 원전이 밀집한 부근입니다 그쪽이 생각하는것처럼 현재 안전한상태가 아닙니다. 저는 무작정 원전을 없애자는 얘기가 아니고 지금 부터라도 조금씩 원전전력공급의 비율을 줄여나가고 그에맞게 다른 공급방식으로 차차 전환해나가 최종적으로 탈핵에 도달해야한다는 말을 드리는겁니다 지금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다수의 선진국 모두가 20~25년도안에 60%이상의 공급방식을 친환경으로 돌리려고 하고있습니다 이미 탈핵을 끝낸 나라도 있고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감축을 시작해도 모자랄판에 확충하고있습니다 부디 그냥 아무생각없이 '안전할거야'하고 넘어갈일이 아니고 이 좁은 땅덩어리에서 원전이 터진다면 어떻게 될지를 생각해보세요 생각보다 그 피해규모가 넓은편입니다 서울에서부산까지 200km도 안되는 면적에서 원전이 터진다면 싹 다 이민가야됩니다 수도권을 비롯한 서울 모든 지역이 방사능 노출지역이 됩니다

  • 물리1출제진 · 852019 · 19/01/16 10:09 · MS 2018

    원전 내진설계 기준도 일본보다 빡쎈걸로 알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진도 10까지도 끄떡없이 만듭니다. 또한 3년전 기사라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일본원전엔 없는 안전기준이 우리나라엔 더 있던걸로 압니다. 일본이 과학기술 강국이라 해서 원전까지 일본이 더 좋을거란 생각은 편견이란거죠. 그리고 노후원전이 위험한건 맞는데 새로 짓는거까지 위험하다기엔 무리가 있죠. 판도라 얘기도 자주 나오는데 영화에도 나와있듯이 지진이 폭발의 전적의 원인이라기에는 비리가 너무 많았죠. 예산 감축으로 인한 비리로 인해 오히려 더 위험해질 수 있는것이죠. 그리고 경주지진과 후쿠시마를 비교하셨는데 규모 5.8과 6.6이 0.8차이라고 해서 작은 차이가 아니란걸 지수함수 배우셨으면 잘 아실거라 압니다. 규모 1차이는 에너지가 32배 차이거든요

  • 5ptGCnVPelM3bW · 764860 · 19/01/17 07:22 · MS 2017

    ㅋㅋㅋㅋㅋ 뇌피셜도 적당히 지르시죠 내진설계 진도 10까지요? 혹시 게임하다오신건 아니죠? 현재 과학기술로 절대 진도10의 내진설계는 불가능합니다. 지금현재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원전의 내진설계는 6.5~7입니다 본인생각처럼 무슨짓을해도 안전한곳이 아니에요. 교통사고나 엔진폭발에 비유하시는데 원전안전문제에 관해서는 교통사고나 엔진폭발의 확률만큼도 발생해서는 안됩니다 발생했을때, 우리나라같이 밀집인구가 높은 나라에서는 특히 더 그 피해 규모는 상상도 할 수없을 정도로 리스크가 큽니다. 저는 지금부터라도 재생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공급방식으로 그 비율을 높여가야한다는 이야기를 하는겁니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오히려 원전을 증축하고있습니다. 또한 또다른 안전상문제로 증축 과정에서 우리나라 특성상 좁고 냉각수를 공급할 장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원전을 밀집해서 짓습니다. 어느나라도 이런식으로 짓지는 않습니다. 밀집해서 지을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더 위험한건 증명된 사실이고요. 하지만 이것보다도 더 큰 안정성문제는 비리에 의한 부실공사입니다. 비리로인한 예산감축으로 위험해질수있다고 당신이 스스로 말했으니 그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지난 2013년 당시에 적발된 사건을보면 원전부품의 설비,납품관련 업체 89곳이 수년전부터 수십년간 품질에 하자가 있는 부품들을 납품해 왔습니다 부품의 제조업체인 JS전선, 검증기관인 새한티이피, 승인기관인 한국전력기술까지 모두 조직적으로 가담해왔죠. 피해액은 무려 9조 9500억에 달합니다 물론 해외에 수출된 부품도 포함된 것이지요. 재밌는건 당시 책임을 지고 물러난 임원들이 6개월만에 같은회사에 복직했다는겁니다. 이래도 원전안전에 대한 확신이 생깁니까? 지금 그쪽은 '단한번도 사고가나지않았다'는 환상에 젖어 무조건적으로 안전하다고 확신하고있는데 애초에 아까 말했던 원전 밀집지역인 월성,고리 원전 주변이 활성 단층인게 드러난지 오랩니다. 특히 원전 바로 밑단층인 울산단층은 8.3의 규모까지 지진이 발생할수 있음이 지난 16년에 이미 예견되었고 그것까지는 못미쳤지만 17년에 경주에서 5.8지진이 발생했죠.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가 아닙니다. 확인된 활성단층만 450곳이고 그중 조사된 단층은 25곳밖에 안됩니다. 확인되지 않은 더 큰 지진의 발생이 있을 수 있다는 겁니다. 부디 그냥 막연하게 뇌피셜로 안전하다 생각치마시고 당신같은 사람 한명한명이 변해야 우리나라가 변할수 있는겁니다. 모쪼록 조금더 넓게 보는 혜안으로 다른 에너지 공급방식에도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물리1출제진 · 852019 · 19/01/16 10:11 · MS 2018

    "진짜 혹시라도 폭발 했을 때 나라가 망하니까 안된다"라고 생각하기엔 터질 확률이 너무나도 적어서 그거 걱정할바에 버스나 자동차 타실 때 엔진 폭발해서 죽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하는게 나을 정도입니다. 차라리 북한의 미사일 폭격 타깃이 될 수 있으니 반대한다면 나름 합리적 이유라고 할 수 있겠네요.

  • 시대인죄 · 668107 · 19/01/17 08:29 · MS 2016

    윗분들 자꾸 자동차에 비유해서 반박하는데 ㅋㅋㅋㅋ 그게 적당한비유같음? 원전은 나라가 망하는데???
    저도 경주지진보고 우리나라도 안전하지만은 않다고 생각드네요 당장은 아니더라도 차차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하는게 맞다고봐요

  • 약대!! · 867042 · 19/01/17 09:34 · MS 2019

    무조건 원자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