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란 무엇인가? -2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535752
1편에서 가장 중요한 말은 이것이었습니다
똑같은 유형이고, 똑같은 문제이며, 똑같은 방법을 풀리는 똑같은 생각을 요구하는 풀이인데, 왜 앞에 쉬운 문제는 풀었으면서, 뒤에 어려운 문제는 풀지 못하는가????
저는 이 질문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경험을 되새겨보고 상상을 해 보았습니다.
제가 다른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제 친구중에 서울에 대학을 간 친구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외를 하는데요. 재밌는 일화를 말해주었습니다
여러분 ‘약수개수 구하기 문제’ 기억나십니까? 중학교때 소인수분해를 배우면서 우리는 이 ‘약수개수 구하기 문제’를 공부합니다. 약수개수 구하기 문제는 아래와 같이 해결됩니다.
(출처 : ZUM 학습백과)
풀어쓰자면, 우선 어떤 수를 소수인 인수로 분해한 다음(소인수분해), 각각 소수들의 지수에 +1씩을 하여 곱하면 됩니다.
10을 예시로 들자면 (2^1) x (5^1) 이니까 (1 + 1) x (1 + 1) = 4 이므로 10의 약수개수는 4개입니다.
친구의 이야기로 다시 돌아와서, 친구는 중학생들에게 이런 식으로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약수개수 구하기 문제를 설명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항상 학생들이 10, 20, 50 같이 아주 작은 숫자의 경우에는 약수개수를 구하는 데 문제가 없었으나, 5675674와 같이(제가 임의로 높게 잡은 숫자입니다) 큰 수에 대해서는 약수개수를 구하는게 불가능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다시 중요한 질문으로 돌아옵니다.
똑같은 유형이고, 똑같은 문제이며, 똑같은 방법을 풀리는 똑같은 생각을 요구하는 풀이인데, 왜 앞에 쉬운 문제는 풀었으면서, 뒤에 어려운 문제는 풀지 못하는가????
여러분, 10의 약수개수를 구하는 문제나, 5675674의 약수개수를 구하는 문제를 서로 다르다고 보십니까? 숫자가 달라졌으니 이 둘은 별개의 문제이며 별개의 방법으로 풀어질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숫자가 크건 작건 그런건 상관없습니다. 만약 내가 약수개수를 구하고 싶다! 하면 어떤 숫자가 나오든 소인수분해하고 지수들을 구하면 끝입니다. 물론 작은 수의 약수개수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으므로 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짧겠지요. 하지만 큰 수의 약수개수를 아예 못 구한다는 것은 문제가 됩니다. 결국에는 풀어야 할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한 문제는(쉬운 숫자 작은 숫자) 쉽게 풀면서 다른 한 문제는(어려운 숫자 큰 숫자) 못 푸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이것은 결국 그 중학생이 작은 숫자의 약수개수를 구할 땐 ‘일일이 그냥 세서 답을 구했’기 때문입니다. 10이야 뭐 그리 큰 수도 아니니까 저도 4초만 있다면 1,2,5,10 아 4개네! 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결국 이 학생의 문제는 쉬운 문제는 쉬운대로 대충 끼워맞춰서 풀고, 어려운 문제는 쩔쩔 메고 아예 접근을 못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그 중학생이 쉬운 문제를 풀 때 제 친구가 가르쳐준대로 소인수분해를 이용했다면, 그 중학생은 큰 숫자 또한 막힘없이 답을 구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또 다른 예시가 끝났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알고리즘’, ‘시냅스’ 이 두 단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1과1 > 사2 6평 표본 보고 해도 안 늦음?+과목추천 0
03인데 22학년도 수능 보고 재수 2달 깔짝 하다가 몸이 많이 안 좋아서 여태...
-
1.재수 불가능 2.무조건 졸업 해야함 3.과는 동일 (이공계) 둘 중 하나...
-
피부는 깨끗한데 홍조 때문에 ㅈ같았는데 이거 바르니까 홍조 안보임 ㄹㅇ 물건인듯...
-
현역 고3인데 어느 순서로 나가야되나요?
-
블라인드 보면서 전문직도 상중하로 나누던데 중위권 전문직은 한변회변인가요?
-
전교생 270명 물2 11명 화2 9명 화1 6명
-
병원돈 아까워하는건 진짜 변함이 없네 진짜 ㅋㅋㅋ 무슨 시간이 만병통치약인줄아나 걍 나가 뒤지고싶네
-
이웃집 확통이 4
이 글을 보면 당장 나와 대화를 합시다.
-
돈 버는 것보다 일 하는 것보다
-
[국어] 오르비 책 내고 싶은데 내용이 부족하다/개념서를 내려 하는데 차별화가 어려울 거 같다 0
쪽지나 댓글 주세요 도와드리겠다는 선언 아닙니다
-
반수생 수학 감 0
이제 슬슬 수학 시작하려는데 수학 감 끌어올리려면 뭐부터 해야 하나요? 작년 미적...
-
ㄱㄴㄷ=가나다로 현장에서 찍어서 맞긴했는데
-
현재는 일 or 군복무 or 학교다니는 신분이면서 27 노리고 준비하려는 사람들...
-
구글은 신이야
-
어떻게 생각하세요 일단 과탐하나는 필수로 들어가야 할 것 같은데 (거장 유력한 곳이...
-
수특을 벅벅 2
벅벅벅벅벅
-
어느 순간부터 그렇게 안풀면 ㅂㅅㅅㄲ가 되어있고 아무도 모른다...
-
국어가 개빡시네 0
국어를 어케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매일 문제를 풀어도 발전이 없는 느낌이랄까
-
지피티 진짜 부수고싶네 13
개념 설명해달라고하면 설명해주고 예시 문제도 지가 주고 지가 푸는데 해답이 어떤건...
-
제가 영어 단어를 중학교 이후로 외워본 적도 거의 없고 공부를 해본 기억도 거의...
-
양초가 야하면 3
초꼴릿
-
반수 중이고 수학은 조금씩 했어서 완전 감이 없진 않습니다. 작년에 미적분으로...
-
ㅇㅇ
-
150~160E가 왜 서태평양이지 90~100W은 왜 동태평양이고..
-
유튜브에 있거든
-
안풀고 공부만 해도 될까요.. 진짜 하나도 모르겠어요...
-
흠 메인.. 8
영업장에 누가 와서 진상짓하니까 아 하기싫다 하고 접는 모양새.. 진상손님쯤이야...
-
눈이 너무 징그러운데 지금 멍 들고 핏줄이 터짐 그냥 징그러운 상태로 수업하기 vs...
-
선거운동 시발 0
독서실 바로 옆에서 노래 빵빵 틀어대서 이어폰 껴도 소리 다 들리네...
-
그냥 사탐하셈 별들의 전쟁에 이도저도 아닌데 끼어서 백분위 ㅂㅅ되기 싫으면..
-
오답률치고는 컷이 너무 높아보임....
-
그릿 워터마크 0
4번 이해가 안감. 저주파에 저장하나 고주파에 저장하나 제거하는 건 같고 사진...
-
가자 속쓸아 0
-
좀 그러려냐ㅓ
-
( 미국 프로그래머-개발자- 일자리, 최근 2년간 27.5% 사라져, AI) 0
하지만, https://youtu.be/yaVa_flkSNU
-
오늘 목표 0
독서실 12시에 나가기 1시간 늦게 들어왔으면 똑같이 늦게 나가야죠 암암
-
골목안 할매턴도 교과서 연습문제 배껴서 죽창찔렀던거 보면 2
기본기부터 꼼꼼히 뒤지는 문제들이 결국은 고난도 문제들임 특히 30번 문제는 저...
-
안녕하세요 양승진의 기출코드 수 1,2를 1회독하였습니다. 그런데 정말 1회독...
-
수업은 1시간 으흐흐 ㅗㅗㅗ
-
전공에 대한 흥미가 너무 없는듯
-
역방향 KTX 한강철교 건너기 = 기차에서 오르비하기
-
원서철 되니까 갑자기 엄마 선생님 난 디자인을 할거에요 노래를 부를거에요 무용학과에...
-
은근 의문사 한 사람 많던데
-
장기간의 연애를 끝내고 공부가 손에 안잡히는데
-
1등급을 맞추려면 여기서 한 문제를 더 맞혀야된다는거잖음 그걸 알면서 화작하는건 ㄹㅇ 대단한듯
-
타이레놀 , 애드빌 2알씩 먹어도 아무 효과도 없었는데 이브 먹으니까 많이 덜하네 좀 아프긴해도
-
현역 지금이라도 하고싶은거찾아서 정시하는거 어케생각함 21
모고 내신 성적은 전게시물에있어요 생기부는 123학년 다 화학인데 문제는 전 화학...
-
기숙 0
국어를 쭉 승리쌤으로 들엇어서 담주에 러셀 기숙갈 때 뭘 가져가야할지 모르겠어요,,...
-
자퇴마렵노 ㅅㅂ 1
시험개쳐많네
-
30대 직장인 복수전, 20대 후반 반수생, 의·치대 부담스러워서 빠지는 상위권들,...
공감합니다
쉬운 문제를 통해 본질을 파악하고 일반화 시켜야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