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 미달자 수학 질문좀 부탁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851985

돌아버리겠네요 어제 물어봤는데도 이해못함
그니까 인식이 뭐고 입력은 또뭐고 왜 32는 인식 입력 둘다 같이있고
미치겠네 진짜
덕코드릴테니 제발 유치원생 가르치듯이 가르쳐주실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폰번호 바꿔서 수정해야되는데 회원정보 수정에 없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851985
돌아버리겠네요 어제 물어봤는데도 이해못함
그니까 인식이 뭐고 입력은 또뭐고 왜 32는 인식 입력 둘다 같이있고
미치겠네 진짜
덕코드릴테니 제발 유치원생 가르치듯이 가르쳐주실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폰번호 바꿔서 수정해야되는데 회원정보 수정에 없네요
32/36
인식세로로보시고 입력 가로로보세여
네..봣어요
36
슈바 헷갈리는데ㅋㅋ ㅋㅋ
고양이를 고양이라고 똑바로 알아본거 32
고양이를 강아지라고 잘못알아본거 8
강아지를 고양이라고 잘못알아본거 4
강아지를 강아지라고 똑바로 알아본거 36
표의 좌측 상단을 보면
고양이 사진으로 입력한것은 32장
겅아지 사진으로 입력한것은 4장
똑같이 인식으로 적용하면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한것은 36장
따라서,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한 것들 중(36장) 고양이 사진을 입력한 것(32장)이므로 32/36=8/9 아닌가여
인식한건 왜 36장인가요?거기부터모르겠네요..
좌측 상단에 인식 옆으로 고양이사진 강아지사진 으로 있구 그 말은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했다, 강아지 사진으로 인식했다가 될겁니다 그에 해당하는 값(고양이만)이 36장인거죵
하..모르겠다..
1.맨 윗줄 기계가 고양이로 인식했다 강아지로 인식했다
2.세로축 기계가 고양이를 입력했다 강아지를 입력했다
3. 문제에서 고양이로 인식 했을 '때' 를 구하라 하므로 32/36 이다. 1,2,3중 어디서 막히시는거져?? 이것도 어려우시다면 직접 머리속으로 그려보세여
님이 강아지 카드 40 고양이 카드 40을 갖고 있고 기계 하나가 있는데 고양이 카드를 넣었을때 고양이나 강아지 사진으로 출력(편의상)한다고 생각해보세여
총 80장을 다 넣었을때 고양이 사진이 몇장이든 출력이 됐겠져? 근데 그 고양이 사진중에선 넣기전엔 강아지 사진이 있었을거잖아여 그거빼고 고양이대 고양이만 보겠다 이거죠
고양이로 인식이 그니까 32+8이란건가요??
고양이로 입력된게 32이고..? 아니가..? 애초에 답이없네..휴
1. 고양이 40장을 넣음
그중 32장이 고양이로 제대로 인식이되고
8장은 강아지로 인식됨 (잘못인식)
강아지도 40장넣음
4장이 고양이로 잘못인식
36장은 똑바로 인식
80장중 고양이로 인식된것을 골랐을떄
32+4/80 = 36/80
그중 고양이로 인식된것중에 고양이입력 한것인 확률
32/80
조건부확률이에요
따라서 36분의 32 = 9분의8
문장을 천천히 읽어보면, '인식'된 사진이 고양이 사진일 '때' (전체 사건)
그 중에서 고양이 사진일 확률
이라고 했으니 고양이로 인식된 사진중에서 고양이 사진인 경우의수를 골려야죠
인공지능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하는 거라고 생각해봅시다.
두 가지 정보(고양이 사진, 강아지 사진)를 주고, 랜덤으로 어느 한 동물의 사진을 보여줬을 때 과연 인공지능 시스템이 제대로 답을 맞힐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는 거죠.
시험을 치려면 우선 인공지능 시스템에게 시험 범위를 알려줘야겠죠?
이것이 문제에서 말하는 '입력'의 과정입니다.
고양이 사진 40장과 강아지 사진 40장을 시험 범위라고 알려주는 거죠.
주어진 표에서 '입력'은 가로 줄의 데이터입니다.
문제에서 고양이, 강아지 사진 각 40장을 입력했으니 가로축을 따라가서(→)합계 란을 보시면 40 40이죠.
그리고 테스트를 합니다. 이것을 문제에서는 '인식'이라고 표현했네요.
인공지능 시스템은 우리가 보여준 80장의 사진 중에 고양이 사진을 36장, 강아지 사진을 44장이라고 답했네요.
주어진 표에서 '인식'은 세로 줄의 데이터입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고양이 사진이 36장이고 강아지 사진이 44장이라고 인식했으니 세로축을 따라가서(↓) 합계 란을 보시면 36 44입니다.
표 밑에 주어진 말에 따르면 입력된 80장의 사진, 즉 우리가 인공지능에게 시험 범위로 준 80장의 사진을 말하는 것이죠.
그 중에서 아무 거나 하나를 골랐는데, 그게 인공지능이 '고양이 사진이다!' 라고 대답한 사진이었대요.
제가 쓴 답변의 세 번째 문단에서 인공지능은 고양이 사진을 몇 장이라고 대답했었죠?
36장입니다.
그럼 전체 경우의 수가 36이 되겠죠.
그 다음 문장을 봅시다.
이 사진, 즉 인공지능이 '이건 고양이 사진이다!' 라고 대답한 사진이 진짜 고양이 사진일 확률을 묻고 있네요.
따라서 인공지능이 제대로 판별한 고양이 사진의 개수를 찾아주면 됩니다.
입력(시험 범위)도, 인식(정답 제출)도 모두 고양이 사진인 것은 표에서 보시면 32가 됩니다. 각각 가로세로축으로 내려서 겹치는 부분이죠.
그럼 인공지능이 고양이 사진을 보고 고양이 사진이라고 대답한 건 32장입니다.
그럼 구하는 경우의 수는 32가 되겠죠.
확률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전체 경우의 수를 해주면 됩니다.
32/36이므로 약분하면 8/9가 됩니다.
혹시 이해 안 되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왜 가로줄이 입력인가요..?이해할수가없네요.. 저 형광펜처럼 가는게아닌가요?
표 구성 방식에 대한 파악을 어려워하시는 건가요..? 일단 설명 드려보겠습니다.
표 맨 왼쪽 제일 윗줄을 보시면
입력\인식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표를 구성할 때, 맞닿아있는 칸들의 정보를 알려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너무 추상적이니 문제에서 확인해봅시다.
입력\인식에서 '입력'과 맞닿아있는 칸들 (질문자님이 그으신 형광 화살표 기준 ↓)은
'입력'된 고양이, 강아지 사진들입니다.
'입력'된, '고양이 사진'이라고 적혀있는 칸 (표 제일 왼쪽 위에서 2번째)의 데이터는, 그 줄(가로 2번째 줄)에만 존재합니다.
가로 2번째 줄의 숫자인 32 8 40이 '입력'된 고양이 사진과 관련된 숫자인 거죠.
강아지 사진도 마찬가지입니다.
'입력'된, '강아지 사진'이라고 적혀있는 칸 (표 제일 왼쪽 위에서 3번째)의 데이터는 그 줄(가로 3번째 줄)에만 존재합니다.
가로 3번째 줄의 숫자인 4 36 40이 '입력'된 강아지 사진과 관련된 숫자인 거죠.
읽어보시고 궁금한 것 답글로 남겨주세요!
후..4번읽었는데도 무슨말인지모르겠어요..일단 덕코 입금할게요...ㅠㅠ
표 구성 방식을 제가 제대로 설명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죄송하네요 ㅠㅠ 그것만 이해하시면 저 문제 금방 푸실 거예요!! 너무 상심 마시고 힘내세요 :)
덕코인 안줘도 괜찮음...
~~할 때 ==> 분모
즉,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 사진일 때 ==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 사진 36장
(진짜 고양이 사진이면서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거 32장 + 강아지 사진인데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 거 4장)
분자 = target
진짜 고양이 사진이면서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 거 36장
따라서 (32/36) = (8/9)
진짜 고양이 사진이면서 고양이 사진으로 인식된 거 32장
ㅋㅋㅋㄱㅋㅋㅋㅋ 인공지능 테스트를 한거임 이새끼가 고양이 사진을 입력하면 고양이로 똑바로 인식하나 아니면 멍청하게 개라고 인식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