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번 학평 세계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791844
생각하는것보단 수준있어서 놀랐네요... (제가 저걸 모른다는게 아니라;) 그동안 교육청 기출은 단순히 기출을 봤느냐 아닌가 확인하는 느낌이었다면 이번엔 뭘 좀 자세하게 묻는 느낌.
p.s)7번의 티마르제 혜택 대상에 예니체리가 해당이 안된다는건 처음알았네요... 군사적 봉건제라고 해서 전 당연히 군인계급인 예니체리도 들어가는 줄 알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방러들은 대치동 가고싶어도 못가고 공부에 열의는 있는 흙수저들은 돈 때문에 비싼...
5번이자명해서 맞췄지만 티마르제저건 어렵게내면 못맞출듯;;
네 저도;; 전공서 뒤져봐도 안나오네요 ㅜ (그나마 관련해서 뭐라도 좀 적혀있는) 방통대 세계사 책 보니깐 '예니체리는 일반 군인들이랑 조금 다른 대우받음'이라는 뉘앙스의 서술은 나오는데 이것도 완전치 않아서; 티마르제 미적용 저건 진짜로 몰랐네요(...)
와 저건 손가락 걸기식으로 풀면 4번 쓰겠다 ㅋㅋ
답 54?
네 54맞아요.
오 이번 7번은 수능 킬러문제 형식과 비슷하네요 퀄이 애매한거 한개랑 확실한거 한개로 헷갈리게 만드는거 10월 모 풀어봐야겠당 ㅎㅎㅎ
저도 저런 3(멍멍이) + 1(확실한거) + 1(아무도 모르는거?) 이런식으로 실모를 만들던가 해야겠네요. 요번에 벤치마킹 제대로 합니다.
+ 수능특강 수능완성에서 확실한선지로 만들면 사실상 평가원 ㅋㅋ
18번은17수능킬러중하나였죠ㅜㅜ
네 저도 17수능 그 킬러문제인줄 딱 보고 알았네요 '로카르노 정신에 어쩌구~'하는 내용이었는데. 확실한건 내가 아는 교육청이 아니구나;
티마르제 빼고 다른 포인트는 없어요?
5번이 명확하긴 한데 일단 교육청 수준에 저게 나왔다는거보고 좀 놀라고 갑니다.
와 18번 (나) 켈로그 브리앙인가요? ㅋㅋㅋㄱㄱㅋ 수능도 이렇게 나오면 좋겠다 개꿀잼이겠네
.....
세계사 갈수록 빡세지네요
동아시아사는 그래도 좀 나은편인데, 세계사는 건전성이 도를 지나쳐서, 다른 역사시험(세계사능력검정시험,학예연구사 등)이랑 비교해도 안꿇리는것 같네요(...)
근데 예니체리->이교도 소년 강제 징집으로 머리에 때려박아 놓으니 4번은 그럴듯 해도 피해가게 되더라구요. 그나저나 티마르제가 자치권이고 밀레트제가 징세권인줄 알았는데 선지 보고 바뀐거 깨달아서 수능이였음 큰일 이였겠다 싶었음.
전 엉뚱하게 생각해서 그... 고려 개정전시과때 군인전 받았잖아요? 무관 집안이 대대로. 그렇게 생각해서 '어린 소년이라고 해도 나중에 군인연금 같은거 받은거 아닌가?'라고 생각했네요 마침 저희 부모님 두분다 직업군인 하신 적이 있으셔서(...)
이번 세계사 사건사이문제 많이나올듯한 느낌이..
17 6평, 1컷 45 그때가 아마 제일 그딴 ㅆㄹㄱ^^같은 문제 많이 나왔을때인데 일리가 없잔아 있네요. 지엽 구석탱이보다 더 변별하기 좋은 소재가 치졸한 연도 물어보기(대표적으로 러일전쟁이랑 1차대전 사이 1,2차 발칸전쟁이 일어난게 대체 무슨 역사적 의미가 있는건지 잘은 모르겠지만)로 도배하면 최소한은 2컷 증발 사태는 없을테니깐요.
이번에 수특에 연도 다 때려박았던데...
두번째거 국제연맹 생각해서 로카르노 찍었는데 맞은건가요?
그나저나 태평천국운동 대놓고 답준거 실수해서 틀렸네요ㅋㅋㅋㅋ

네 맞추셨어요 베르사유(19) 로카르노(25) 켈로그브리앙(28). 일단 요 문제는 말씀하신 대로 접근하셔도 되고 기출문제중에 '로카르노 정신에 입각해 켈로그 브리앙 체결'이라는 주제가 한번 나왔었는데, 그걸로 흐름 추론해도 맞을 수 있구요. 다만 수능에선 흐름이고 뭐고 그런거 없이 엄청 불지옥으로 나올것 같아서 ㅜ 작년 파티마 왕조였나요? 그것같이 수특수완에 구체적인 연도 안실어놓고 대충 몇세기임~ 이런거 정답선지로 치졸하게 낼것 같네요이번에 처음으로 47점 찍었는데 수능때 불로나오면ㅋㅋㅋㅋㅋ
최근들어 각국사에 힘빡주니 대비 열심히 해야겠어요
말씀하신 태평천국 문제 보니깐 지금껏 나온 기출이랑 좀 다르기 하네요. 5번 천조전무제도가 워낙 명확해서 망정이지 8개국연합군;;; 이정도면 동아시아사급 선지 아닌가요(...) 태평천국은 영국+프랑스+향용? 이렇게 진압나선걸로 아는데 만약 이런식으로 세부적으로 물어볼거라면 동아사이사 선택자와 세계사 선택자가 접하는 동양사 관련 내용에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feat.김창겸T)
그거 신축조약인가요? ㅋ
동사보다 자세하네요 ㅋㅋ
네 일본이 진압 참가했던 그 의화단...
세계사 중국사가 더 빡셈
옆동네 6평 9평 동사 50점 1등급 찍은 고수분한테 작년 옹정제 문제 갖다주니 틀리시더군요 ㅋㅋㅋㅋㅋ 이게 말이됩니까 진자
노예한테 징세권을 줄리가 없잖아?? 로 접근가능?

거기까진 생각을못했네요;오메 다 맞혔는데 이번10평빡쌔게냈네요 함풀어봐야겠다 아직듄도안했는데 기출선지뜯어먹느라
근데 7번이요 예니체리가 아니고 시파히로 해석하면 4번선지도 맞게되는거 아닌가요?
시파히 예니체리 모두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에 참전한걸로 알고있는데
저 서양사 진짜 엄청 약해서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만 으믕... 말씀하시는게 무슨 뜻인지는 알겠는데, 제가 보기엔 시파이로 해석하기엔 애매하지 않을까요? 노예/친위 부대라는 키워드 때문에요 음... 제 기억엔 수능은 아니지만 같은 평가원에서 내는 중등역사 임용 17이었나 18이었나 '술탄의 근위대'라는 키워드 때문에 시파이는 답이 안되고 예니체리만 인정한다 그런 선례가 있는것으로 압니다. 요건 제가 한번 학위논문 뜯어보고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 + 저 서양사 진짜 엄청 약합니다ㅜㅜ
앗 죄송합니다ㅠㅠ 시파히랑 예니체리가 일단 동일한 모집방식으로 뽑히고 그후 높은 성적을 받은 자들을 시파히 기병대로 보내는 것으로 알고있거든요 ㅠㅠ
시파히 선발방식이 데브시르메제도와 귀족자제 임관 두가지 모두로 선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노예/친위부대라는 말도 허용되지않을까요
오히려 시파히가 예니체리에 밀리기 전까진 시파히가 근위대의 성격을 더 가지고 있기도했고....
내용 찾는데 좀 시간이 걸렸네요. 그 혹시 말씀하시는 그 시파히가 저 '카프쿨루 시파히'를 의미하는게 맞으신가요? 찾아보니 시파이는... 이게 좀 복잡한데. 1.티말리 시파히 / 카프쿨루 시파히 요렇게 나뉘는데 전투에 참가한 시파히는 그 후자이고. 2.이 카프쿨루 시파이가 조직된 경로는 (예니체리랑 똑같이 이교도 출신 소년 노예들) - (예니체리/카프쿨루 둘 중 하나로 분화) - (카프쿨루 시파히/궁정 카프쿨루/행정관 카프쿨루) 또 다시 이렇게 나뉘는것 같습니다. 수특 날개에 시파히라는 표현이 있는건 예전에 본 기억이 있습니다만 이렇게 세세하게 나뉜다는건 미처 몰랐습니다; 그러니 '티말리 시파히'는 틀린 표현이고 '카프쿨루 시파히'라고 보면 (제가 찾아본 학위논문 내용으로 따지면) 4번이 참 애매하긴 하겠네요.. 대단하신 분 같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어디서 찾아보신건가요?
네네 카프쿨루 시파이 말하는거였어요 ㅋㅋㅋㅋ 수특에도 시파히가 나오긴 하는데 세세한 내용 설명이 없어서 문제 제시문을 저렇게 낸다면 충분히 오해의 소지를 남기지 않을까용. 애초에 수특은 시파히 구분을 안했으니 티말리와 카프쿨루는 대범주로써의 시파히에 포함되니깐요 (마치 udt와 udd는 서로 다른 부대이긴 하지만 해군특수부대라는 대범주 내에선 점에서 같다는 것과 같이요)
이게 오래전에 읽어서 잘은 기억안나는데 도널드쿼터드 저의 오스만제국사에서 봤단갈로 기억합니다
네 말씀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단하시네요 세세한것까지 기억하시고. 전 전공자들이 보는 개론서 몇개 정도 보고 끄적이는 수준이라... 거기는 아예 시파히 자체가 안나와있네요; 한수 배우고 갑니다. 이런거 보면 비역덕 출신이라 내공이 많이 부족하단걸 느끼네요(특히 서양사.전쟁사)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내용 일단 서울시교육청에 이의제기...는 아니고 민원글로 질문 한번 올려봤는데 답변 나오는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민원 대신 넣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더 항상 쿠세님의 고퀼 자작문제 풀면서 감사하게 살고있습니다 ^^ 앞으로도 좋은 모에(?)와 자작문제 기대할게용!
답변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1.일단 서울시에 올린 질의답변은 아직 안올라왔네요. 혹시 모르니 이건 제가 내일 직접 서울시에 전화를 한번 걸어보겠습니다.
2.다른 메가,듄 etc 선생님들께서도 저 지문의 내용을 시파히가 아니라 예니체리라고 직접 설명해주시는데, 이건 그쪽 선생님들께 여기 적어놓으셨던 질문 그대로 해주시는게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3.제가 한국서양사학회 회원이라, 그쪽에 해박하신 인천 모 대학교 교수님께 직접 질문을 드렸습니다만(오해하실까봐 전 인하대나 인천대생 아닙...) 거기 교수님도 서양 중세사 전공이라서 그런거 왜 나한테 물어보냐고;; 일단 대성,듄,이투스 선생님들께 질문 드리고 이건 다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ㅜ
저도 6,7,18 꽤 어렵다고 느꼈는데 ㄷㄷ
티마르가 시파히만 적용되는 것도 오늘 알았네요..
6번은 세부 순서까지 꼼꼼하게 알아야 1,2번 선지 안헷갈리고
결론적으로 1문제 틀렸는데 1컷은 50.. 세게사는 고인물이 확실한 듯 합니다
ㅠㅠ 9월보다 조금 무게있다고 생각해서 47,48 정도 1컷 생각했었는데..
수능 때 다 맞으려면 더 꼼꼼하게 해야겠습니다.
ebsi 1컷 48뜨는데 혹시 50인가요? 와.... 현역들도 잘하네요 아니 그냥 세계사 하는 사람들 다들 썩었다 썩었어...
10평 세계사 다맞았는데 솔직히 9평보다 별로 안어려웠음. 사실 변별있는 문제가 저거 하나 뿐이니.. 수능때라면 등급블랭크 각임.
18 로카르노 조약역시 이전의 기출의 켈로그 조약가지고 연도 외운다면 쉽게 알수 있고 무엇보다 다른 선지보고 눈치를 쉽게 챌수 있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