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박살가즈아 [819157]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8-10-03 10:09:41
조회수 1,902

경제황님들 한계비용곡선좀 알려주세요 ㅜ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24696

간쓸개해설보면 한단위 생산할때마다 드는 추가 비용이라는데 그렇다면 더 많이 생산할때마다 더 비용이 더 들어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한계비용그래프는 기울기가 양의값인 직선이어야하는데 이게 왜 U자형 그래프인지 이해할 수가 없어요 ㅜ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유대한민국 · 686476 · 18/10/03 11:26 · MS 2016

    흠.. 문제와 해설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봐야 정확히 말씀드릴 수 있겠지만, 생산자이론에 있어서 한계비용이 체증한다는 것은 '궁극적'인 의미에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게 한계생산체감의 법칙과 이어지는데 궁극적으로는 노동 투입량을 늘리면 한계생산이 줄어들겠지만 소량 생산하다 점차 생산량을 늘려 나가는 경우에는 한계생산이 오히려 체증할 수도 있죠.(예를 들어 빵집서 지원 혼자서 빵을 만들면 하루에 100개 정도 만드는데 직원 두명을 고용할 시엔 하루에 400개정도 만들고 세명 고용시엔 800개를 만든다.. 이럴 시엔 직원 한명에 대한 빵의 한계생산은 100, 300, 500이 되어 더 늘어나면 빵 한개를 만드는 비용도 아무래도 내려가겠죠?)이러한 경우를 가정한다면, 한계생산곡선은 n자 형태를 띄고 역으로 한계비용곡선은 u자 형태를 띠는 것이죠.
    http://eiec.kdi.re.kr/material/archive/question/view.jsp?pp=20&idx=21818 이거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정문박살가즈아 · 819157 · 18/10/03 12:14 · MS 2018

    감사합니다ㅜㅜㅜ완전 경제goat이시자너요

  • 뱃사람 · 490111 · 18/10/03 12:19 · MS 2014

    한계라는 말은 <한 단위 더>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빵 한 단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공장+노동자)+(원료+전기)가 필요하겠지요. 각각 100원씩 투입되어야 한다면 빵 한 단위 생산을 위한 비용, 즉 한계비용은 400원입니다. 여기서 빵을 <한 단위 더> 생산하려면 어떤 비용이 추가되어야 할까요? 원료 한 단위와 전기 약간만 더 투입하면 됩니다. 공장은 이미 지어놨고, 노동자를 빵 한 단위 생산하는 값만큼 고용하지는 않았겠죠. 최소 하루는 고용했을테니, 공장과 노동력에 추가 비용은 없는 겁니다. 그래서 빵 맨 첫 한 단위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400원)보다 <한 단위 더>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한계비용)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해서 한계비용은 처음에는 체감합니다. 그런데 생산이 일정량을 넘어가게 되면 공장 기계 수리도 해야하고 노동력도 늘려야 하는 등 비용이 늘게 되면서 한계비용은 체증하게 됩니다. 그래서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U자 형태로 나타납니다. 생산량을 늘리면 총비용은 증가하지만 한계비용은 감소하다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