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카칩 모의평가>를 학습하는 자세에 관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3954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나이퍼 후기 0
스나이퍼 후기입니다! 연고대는 다 80~90퍼대인데 서울대는 확실히 넘사긴하네요.....
-
여친 ㅇㅈ 15
근데 2D임 우리 빡통 아루 귀여워요
-
아무도 안푸는 3
ebs 실모 한 번 풀어볼까 진짜 그렇게 구린지 궁금
-
수능 때 물1 볼 것 같으니까 미적 독서(울학교는 독서는 수능식으로 외부지문이러...
-
연속으로 70점대가 뜨네
-
엉엉
-
원래 입시판에 관심없었는데 꿈이 있어서 작년 입결 기준 평균백분위 90 정도 되는...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수시왜던짐 8
정시파이터에게 필요한 내신은 높아 봐야 서울대 BB급인데 왜 굳이 수행 중간 기말...
-
ㅈㄴ 조롱당할만한듯
-
수2 2등급컷이 83.23인데 내 수2 최종점수가 83.20인 사건이다
-
오부이 본가 왓음 13
다행히 숨겨놓은 다키마쿠라랑 x나x은 잘 잇엇어..
-
야 나 술마셨거든?? 13
내 말 잘들어라 ㅇㅋ????
-
6평 기하 22 30틀인데 n제 추천해주세요 4규랑 이해원 시즌 1은 이미 풀엇어요...
-
드릴 6도 수2는 적분 부분 살짝 어려웟음ㅠ
-
일단 졸업은 하고 싶은데…
-
잘자 1
안뇽...
-
더데유데 1회 2
80 입갤 ㅋㅋ ( 44 45를 틀리며..)
-
약대생 2
혹시 약대생분들 군대 어떻게 해결하실건가요?
-
지방도 태울겸 지금 말야
-
ㅋㅋㅋㅋ
-
E샌셜 0
E샌셜살려하는데 E샌셜 어떤가요?
-
나이가 들면 머리가 나빠지냐는 질문을 봤는데 ㅋㅋㅋㅋ 10
(아니 약대생 글쓴이 33세야 나쁜 인간들아....) 정확히 말하면 술담배 안하는...
-
여기 애들 대부분 ㅈ반고 다니잖아 그냥 해 ㅋㅋㅋ 영어내신 ㅈ같다고? 영어 3받고...
-
6평 21211 받아서 91 99 2 98 98 백 286으로 러셀 남학생 기숙...
-
라떼는 자소서란 게 있었는데 고3 2학기 당시 모두가 자소서를 쓸 때 나도 위기의식...
-
고2 인데… 2
고2 수준에서 여름방학 끝날때까지 시발점 수1 2 확통 다 듣고 쎈, 마플,...
-
구라가아니라 6평 1페 5,6분걸림 내가 ㅂㅅ인것도 있지만 갑자기 1페 양적관계 개빡세ㅆ었음
-
중간 2등(100,95) 1컷 87.8 기말 1등(89) 1컷 76 ㅅㅂ...
-
공부못해도되니까
-
아오 기침빌런 2
무슨 30초마다 기침을 하네ㅅㅂ 그럼 담배를 피지 말던가 아오 진짜 방금도 기침함...
-
제가 고2까지 내신 1.4나오다가 고3 1학기때 한 과목 1 나오고 나머지 다 2...
-
소설이 넘 재밌다..
-
남자가 10살 연상 여자가 10살 연하. 보통 일반인 기준 연인이 10살 나이차나면...
-
잘하는 과목 과외해야겠다 오르비언은 가격 깎아서 해주고
-
의대 수시쓸때 4
컷을 24기준으로 보면 되는거 맞죠? 25는 증원때매 컷이 좀 많이 낮아지던데
-
왜지
-
재수고 작년 돌아봤을 때.. 6평 미적과탐 국수 평백 90초반 과탐 34등급 ->...
-
시험도 끝났는데 1
붱모 풀어볼까
-
신입생 때 부동산 경매 같은 거 보고 다녔으면 별종인가요? 0
'제가 그랬는데, 동기들이나 후배들은 신기하게 보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사실 저도...
-
가형 시절은 기하와벡터는 ebs 연계 있었어서 ebs 도형 외우면 기시감 챙길 수...
-
강대x 3회차 0
많이 어렵네요 1회차 부터 3회차까지 갈수록 난이도 오르는것 같은데 이번엔 14...
-
1.16 수시 7
총 내신 1.16인데 의대나 약대 중에 갈만한 학교 추천좀..
-
본인이 여성인걸 12
왜 티내고싶을까 저격은아님
-
서킷x 난이도 0
난이도 어떤가요??
-
아늼맣구…
-
저는 살면서 의대를 정시로 붙어본적이 없습니다 여러분도 가능합니다
-
쉬운 편이에요?
-
수능 때까지 2등급 만들고 싶어요…… 6모는 공통 5개(10 14 15 21 22)...
-
문과 기준입니당 97 87 1 94 93
질이 좋은 문제라면 어려운게 수험생 입장에선 더 도움되죠~ 이번 69같은 경우 평가원이라도 별로 건질 문제 없었잖아요. 좋은 문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에서 내뿜는 포스가 조금씩 라끌옹의 글을 닮아가려는듯 해요'~' 추천
확실히 보고 난 후 좌절은 많이 되지만
결국 실력 향상에 도움은 되는듯...
특히 문제를 많이 풀어보지 못한 미적분 부분에서는
나름 많이 깨우치고 있음!
감사합니다 ㅋㅋ
감사합니다 애들이 맨날 9월 100점 뽀록으로 났는데 100점이라고 갈궈서 나태해져있었는데 풀고 쇼크먹고 공부해야겠다고 생각됐어요.
근데 여기서 틀린부분은 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틀린거 다시 풀기전에 한번 풀이 다시 보고 뭐가 틀렸는지 잡은다음에 그거 적어놓고 다음에 다시볼땐 그거 주의하면서 풀려고 하는데 아예 못푼건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틀린부분 교과서로 다시한번 보고 풀어야하는건지 그런걸 모르겠습니다. 해설바로보기는 좀 그래서요
포카칩 모의평가> 는 상당히 우수한 질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만족했는데요, 다만 한가지 구성으로서의 문제점이 고쳐졌으면 합니다. 횟수별로 난이도가 너무 들쭉날쭉합니다. 일부러 그런 배치를 하여서 다양한 난이도를 체감할 수 있게되는 것도 좋지만, 오히려 그것이 학습에는 독이 될수도 있을것같습니다. 문제가 양질인 것임에는 변함이 없으나, "모의평가" 형태로 푸는 이유는 제한된 시간안에 어떻게 행동할것인지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평가하는 이유가 주인것 같습니다. 그런데 회별로 어떤 회는 시간이 남아서 어려웠던 문제도 문제에 대한 접근과 관찰이 제한된 시간안에 용이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풀게되고, 어떤 회는 맨 뒷문제를 건드릴수 있는게 겨우인 회도 있었습니다. 해설지 서문에서 말씀하신바와 같이 포카칩 N제가 아니려면, 수능 시험장에서의 실전상황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수능 시험자체가 작년 수능과 같이 어려울수도 있지만, 10' 수능을 기준으로 볼때 어느정도 난이도의 항상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주 쉬운것 보다는 적당히 어려운게 좋지요. 사실 어려우면 그 맛이 있기도 하지요.
일부러 난이도가 극과 극을 오가게 배치했습니다.
이는 시험에 응시하기 전에 시험의 난이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하기 위함입니다.
아무리 '만점자 1%'가 예고된 수능이라지만, 저는 평가원이 이 기준을 (수리가형에서는) 절대로 맞추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마 복불복, 1% 기준으로 극단적으로 어렵거나 극단적으로 쉽거나 둘 중 하나가 될 거라고 보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수능의 난이도가 랜덤이라면 모의평가의 난이도도 랜덤이 되어야 한다는 게 제 신념입니다. 시험지를 펴보기 전에 난이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응시자의 점수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 해설 페이지와 등급컷을 구분해서 써주시지 그러셨어요 ㅜㅜ.... 해설을 볼때마다 보이는 등급컷....
하지만 그렇다면 일반적인 모의고사의 목적과는 조금 동떨어진 느낌이 있지않나요? 어렵더라도 1등급이 78~82 정도로 유지된다면, 수능에서의 문제가 되는 문제와의 마주침과 순간적인 접근방식을 훈련하기 좋을거 같은데요.... 저는 쉽게내자는 주장은 아니고요, 문제에 걸맞는 시간이 정확하게 그 문제에 배분될 정도의 난이도를 유지하자는 겁니다. 즉, 난이도가 시간에 "희석"되거나 시간이 난이도를 만드는 사태는 피하는게 좋지 않겠냐는 생각입니다.
1컷 78~82에서 수능의 전략을 세우는 것과, 1컷 93~100에서 수능의 전략을 세우는건 다릅니다. 작년 등급컷 하락의 큰 요인은, 학생들이 1컷 89정도에 걸맞는 시험 전략을 세웠는데 문제가 1컷 79로 나와서 그 전략이 대부분 "망"해서 그런 일이 일어나더군요.
이건 1차적이고, 2차적인 요인은 그렇습니다.
가형 3등급권 정도의 학생들은 4회를 제외하고는, 30번은 커녕 25~26번까지도 가지도 못합니다.
그런 분들이 문제를 풀고 와서 포카칩 모의가 구리니,(그것도 어렵고 좋은 문제만 찝어서 나쁘다고 매도하면 아쉬운 일이죠... 진짜 더러운 문제들은 가만히 있는데..) 너무 어렵느니, 현실에 안맞느니.. 그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반드시 쉬운회를 포함시켜야만 그러한 비난에 있어서 어느정도는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또한 그분들에게 1컷 93이라는게 이번 수능은 이런 난이도일것이다 라는 지표가 될 수도 있구요.
실전 연습은 상위 1% 학생도, 상위 4%도, 그래도 상위 11%까지는 어느정도 실전연습이라는 의미가 통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를 여러가지로 나뉘어서 맞춘 것입니다.
흠... 무슨 말씀이신지 잘 알았습니다. 그런 요인도 고려해볼수 있군요. 다만 등급컷과 해설은 좀 별개로 부탁드립니다(다시 풀 일이 없었으면....)
제가 확률 부분이 취약한데 이 문제집에선 수능에서 새로 보는 문제 정도 수준의 느낌을 받았던 괜찮은 확률 문제를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5회는 마지막에 풀어보려고 아껴두고 있습니다. 얼마나 어려울지 기대하고 있지요 ㅋㅋ. 어려운 김에 횟수를 2회정도 더 늘려서 지옥난이도(1컷 50~60점대 정도) 모의도 두어개 정도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요새 안그래도 고난도 문제집이 가뭄인데 오르비 이름을 단 만큼 확실히 어려운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해요.
좋은 점을 지적해 주셨습니다. 이 글에 적으려다 말았던 문장입니다. (이 글의 내용과 핀트가 다소 맞지 않죠.)
" '오르비인'이 '오르비'에서 '오르비인'을 위해 낸 게 포카칩 모의평가입니다. 이 문제집은 무엇보다도 최상위권을 위해 만들어졌고, 난이도가 어려울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