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안 냥 [526597] · MS 2014 (수정됨) · 쪽지

2018-08-11 10:33:46
조회수 2,330

근데 옛날 유물 같은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048810

발견하면 뭐가 좋은가요?

실질적으로 현재나 미래에 도움이 되나요?

과거 기술을 참고하고 뭐 그런것도 아닌거 가튼데


도시개발하거나 soc 사업할때 유물 출토되거나 하면 공사 수개월씩 밀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럼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십억 이상의 실질적 피해와 국민들 불편이 초래되는데


유물 발굴하고 조사하고 요런게 실질적 의의가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몽키D거품 · 809866 · 18/08/11 10:39 · MS 2018

    역사를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
    나라의 정체성이 담겨있는 자료인데 그건 어떤 가치로도 대신할수 없다며
    주장할듯
    뭐 전 그닥 관심없음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0:43 · MS 2014

    거창한 의미부여 말고 실질적 이득은 없는건가

    마추픽추 같은 유적지라면 관광객을 엄청 불러와서 지역 경제에 도움이라도 될 수 있겠는데
    토기같은거 모아가꼬 어따쓴다고,,

  • 논리정연3 · 819878 · 18/08/11 10:43 · MS 2018

    일단 유물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면
    대체로 그릇쪼가리에 불과하겠지만
    존나 개쩌는 역사적 사료가 나올 수도 있잖음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0:43 · MS 2014

    개쩌는 역사적 사료가 나오면 머가 조음??

  • 논리정연3 · 819878 · 18/08/11 10:47 · MS 2018

    음 경제적으로는 이익을 볼 수는 없지만 올바른 역사를 바탕으로 민족관과 자부심을 기를수 있음
    일례로 동북공정같은 역사왜곡을 전면 부정하는 자료로 중국에 한방 멕일수도 있고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0:50 · MS 2014


    유물발굴때매 공사 미뤄지거나 입주 미뤄지거나 하면 당사자들 입장에선 진짜 엄청 골때리긴 한데
    만약을 위해서 일단 공사 멈추는게 나은건가

  • 논리정연3 · 819878 · 18/08/11 10:52 · MS 2018

    법적으로도 유물 나오면 공사 못하게 되어있는걸로 앎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0:55 · MS 2014

    그러다 만약에 유적지 발견되면
    초기비용으로 몇조 꼬라박은거 다 증발하는건가 ㄷㄷ

    법이 그렇고 취지도 국가를 위한거라니 큰 불만은 없지만,,

  • 선비빌런 라모 · 818498 · 18/08/11 10:54 · MS 2018

    예전부터 글 봐왔지만 인문계열학문 쪽을 과학계열보다 살짝 경시하는 관점이신 거 같아요.
    각설하고, 유물의 발견은 역사적 사실의 확립에 기여하죠. 역사의 의의라 함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로부터 배울점이 있다'라는 것도 있지만 보다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지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자면 새로운 지도(가상)가 발견되었고, 여기서 일본이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정한다(실제로 있는걸로 알고있어요)는 빼도박도 못하는 증거를 찾아냈다고 합시다.
    이 지도 자체는 역사적 사실의 증명에 불과하지만, 현실의 영유권분쟁, 정치, 외교, 지리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죠.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0:58 · MS 2014

    맞아요
    저는 인문쪽 전공이지만 인문쪽이 과학쪽보다 가치가 낮다고 생각해요 (많이)

    그런 지도같이 실질적으로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당연히 그게 우선이죠
    다만 옛날 구석기 신석기때 쓰던 토기 같은건 글쎄요...
    저는 실질적인 국민들의 행복이나 이득을 중시해서 그런지 썩 맘에 들진 않네여

  • 선비빌런 라모 · 818498 · 18/08/11 11:06 · MS 2018

    그런 관점이라면
    당장 천문학 쪽 종사하시는 분들이 별을 관찰하여 우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고 하면, 이가 국익에 도움이 될까요? 결국 그 관측하는데 드는 장비랑 시설 모두 세금인데, 이 관점에서 본다면 우주의 새로운 진실 발견을 국민들은 좋아하지 않겠죠.
    전 학문을 금전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과학계라고 돈이 되고, 인문계라 돈이 안 되는 건 아니겠죠.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1:11 · MS 2014

    천문학쪽은 잘 모르지만 우주 탐사를 하거나 새로운 행성 발견 혹은 기상 관련? 해서 미래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도 학문을 돈으로 평가하진 않아요
    인간에게 얼마나 만족을 주고 후생증진에 기여하나를 중시하지

  • 선비빌런 라모 · 818498 · 18/08/11 11:15 · MS 2018

    인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노베는 울고갑니다...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1:22 · MS 2014

    인문학이 아예 필요업다고 생각하는건 아니에요
    다만 이공계보단 덜필요하고 인문쪽 대학정원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 새벽SB · 773591 · 18/08/11 15:04 · MS 2017

    꼭 실생활에 써야만 가치가 있는건 아니잖아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5:18 · MS 2014

    인간의 효용에 가치가 있어야져
    유물을 꽁으로 출토하는게 아니라 그거 발굴한다고 많은 비용과 불편이 따르는데
    그럴만한 가치가 있나 해서요

  • 새벽SB · 773591 · 18/08/11 15:23 · MS 2017

    무슨 말인지는 알겠지만 역사학도로서 조금 속상하네요.. 그렇게 따지면 소설책 다 버리고 미술관 다 폐관하고 그래야 하는건가요... 그리고 유적, 유물이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경우가 있어요. 다 그런 건 아니지만 효용이 0%인 건 아닙니다

  • 새벽SB · 773591 · 18/08/11 15:24 · MS 2017

    그리고 따지고 보면 우주 관측, 탐사같은 것도 딱히 큰 효용없는데 돈 엄청 많이 쓰잖아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5:28 · MS 2014

    우주관측이나 탐사는 미래를 위해 대비하는 개념이자나요

    유적,유물이 전부 쓸모없다고 하는게 아니에요
    그걸로 인해 국민들에게 피해가 충분히 예상될때 무리하게 발굴하는게 지나쳐보인단거죠

    소설책 만들때나 미술관 만들때 국민들에게 큰 피해가 생기나요?
    비교가 좀 잘못된듯 하네여

  • 새벽SB · 773591 · 18/08/11 15:36 · MS 2017

    전 단순히 인간의 호기심때문에 연구하는 걸 말하는 거에요. 그리고 효용성으로 따진다고 쳐도 과학이 낳은 문제점이 한두 개가 아니라서.. 지금처럼 인문학 무시하고 과학발전만 하는 건 패망의 지름길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인문학에는 역사도 포함이죠. 고대 연구를 굳이 해야하는가 생각하는 건 저도 마찬가지이지만, 고대 역사는 연구를 하고 싶어도 자료가 너무 적은 게 현실이에요. 그래서 찾는거고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8/11 15:48 · MS 2014

    관점이 다른가보네요

    저는 우리나라가 이공계를 무시하고 인문쪽에만 신경써서 근대에 다른 나라에 침략당하고 아픈 역사를 겪었고
    앞으로는 지금보다 더 과학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인간의 호기심엔 별 관심이 없어요
    잘먹고 잘사는데에 관심이 있지

    국민들에게 피해가 없는 한도에서 연구하고 조사하는건 적극 찬성합니다
    근데 제 글은 피해를 주면서까지 조사하는거에 대해 말하고 있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