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함수의 역함수?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845417

집합 A = {1.2.3} B= {1.2.3.4} C= {a.b.c} 일때 함수 f는 A->B고 함수 g 는 B->C라고 하면 g(f(x))가 역함수를 가질수 있다 할때 사진처럼 임의로 대응한다 치면 4는 a.b.c 마음대로 갈수 있는건가요..? 근데 그럼 역함수로 돌아올때는 꼬이는거 아닌가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역함수가 존재한다는 조건이 성립하려면
4가 마음대로 갈 수 없지 않아요? 4가 정의역에 맀으면 안될거같은데
그러니까요.. 경찰대 2017학년도 6번 문젠데.. 그냥 혼자 풀다가 왜 안풀리지 하고 올렸는데 아무리봐도 말이 안되는듯..
문제 보여주실수있나용
여기요 !!
B에서 하나를 제외하고 계산하는것도 경우의수에 포함되는거같은느낌적느낌
앗 ㅋㅋㅋ ㅠㅠ 느낌적인 느낌 ㅠㅠ 급한대로 이비에스 인강이라도 찾아서 들어봤더니 나머지 하나를 에이비씨에 대응시키는거도 포함하더라구요 ㅠㅠ 근데 이해가 안가는.. 하..
b집합 왜 네개에요 역함수될려면 일대일 대응이고 공역 치역 일치해야되는데
ㅠㅠ 경찰대 2017 문제 프린트 한겁니당
집합 B에서 세개 추려야겠네요 4C3 ㅇㅅㅇ
그래서 순서쌍 개수로 물어본거구욤
4C3추리고 ×3(순서부여) 걍 축약해서 4p3으로 풀었는데 안나오는것 같아요 흡..
역함수성립이x
문제를 제가 잘못 이해한걸까여..?
F,g 조작해야죠
음.. 무슨말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결국 경우의 수 찾는거잖아욥 ㅇb에서어떤걸제외할지 조작해야하는것같아요
그리고 원소개수 뭘로맞출지도 해야하지않나요
B집합에서 3개 추리면 4c3 에 순서부여 3! 하고 그걸 abc에 대응하는게 3! 다 곱하면 144가 나오는데 답이 432이더라구요 제가 계산에서 빠뜨린 부분이 있는걸까요 (자꾸 물어봐서 죄송합니당 ㅠㅠ )
집합 B에서 제외한 숫자가 C에 대응되는 경우의 수 3을 곱하는 건
차피 합성합수의 시작과 끝만 보겠다는 의미 같아요
근데 이렇게생각해도되는지는 확신은 잘 안서네요
으앗 직접 풀어주시고 너무 감사합니당 ㅠㅠ ! 마지막 한줄 덕분에 원리가 이해 갔어요 ! 근데 정말 이렇게 생각해도 되나 .. 싶긴하네요 ㅠㅠ 경찰대 .. .. 후 ㅎㅎ 완전완전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