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나누나 [682570] · MS 2016 · 쪽지

2018-07-23 17:14:58
조회수 19,636

중앙대를 기준으로 학종 라인잡기 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837118

안녕하세요. 이번엔 중앙대 과를 기준으로 대강 어디 대학이 중앙대 수시와 라인을 겹치고 있는지 정도에 대하여 쓰도록 하겠습니다. 중앙대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제가 중앙대 출신이라 중대 사정을 타 대학에 비해 잘 알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중앙대가 문과든 이과든 상관없이 상위권 학생들은 안정으로 하나씩 박아두는 대학이고 하위권의 경우도 상향으로 지원하여 대부분 서울 상위권 대학에 지원하고 싶은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넣는 대학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중앙대 수시모집 지원자 수는 매년 8만명 정도로 대부분 년도의 수시모집 지원자 수 톱3안에 듭니다). 


그렇다면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중대 의대: 한양 경희보다는 낮고 이화, 가천, 아주, 인하 보다는 좀 더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밑으로는 삼룡의와 지거국의대, 지사의 등이 있구요. 순수 정시 입결만 따지더라도 중앙 가천, 아주, 이화 까지는 타대 공대나 특수과들과 겹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기껏해야 설수리 정도?? 그래서 원서로 중대 의대를 학종으로 쓰는 학생이라면상향이든 하향이든 간에 공대를 끼워쓰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중대 산업보안: 사실 중대 산업보안이 상당히 애매합니다. 너무 특수한 과라서 딱히 비슷한 라인이라 할만한 과도 없고 취향에 따라 작년에 수시에서 연고대를 다 붙고도 중산보를 온 학생도 있었습니다. 정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런 특이한 케이스가 매년 3명 이상씩은 있습니다. 이과 학생들은 대부분 컴퓨터 공학과와 산업보안을 겹쳐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산보 쓰는 학생들은 위로는 고대 컴퓨터에서 부터 특수대(유니, 지스트, 디지스트), 성솦, 한솦, 비슷하게는 성대 공대, 한대 기계, 전자공 밑으로는 시립컴공, 경희 정디플, 건국대 스마트 ICT과 정도로 지원합니다. 문과의 경우 위로는 연고서강 경영, 행정에서 비슷하게는 성, 한 경영 한양 정시템, 밑으로는 경희 외대 시립 경영 또는 행정, 동국대 경찰행정 등으로 지원 풀이 다양합니다.


건축, 사환시(도시공): 그냥 라인 따라서 갑니다. 다만 바로 윗라인인 한양대 건축과 중앙대 건축은 어느정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환시 같은 경우는 중대와 한양대가 크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물론 많은 학생들이 넴밸류로 한양대를 가겠지만요. 위로는 한양, 성균 정도가 있고 밑으로는 시립, 경희, 홍익 정도 수험생들이 고민할만한 라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중대 공대(기계, 화학 신소재): 기계와 화학은 사실 전형적으로 라인을 타고 흐르는 과입니다. 그래서 이부분은 크게 언급하지 않아도 그냥 이름 따라 가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대 전기전자공학: 요즘 대부분의 대학이 특성화 학과로 밀어주고 있는 학과입니다. 학생들의 지원도 아예 전전만 넣는 학생, 전전과 컴공 또는 전전과 기계를 섞에서 쓰는 학생 등 다양한 학생이 존재합니다. 전전의 경우 위로는 한양, 성균, 그보다 좀 더 아래는 서강, 그 밑 급간은 시립, 경희, 건국 등으로 내려갑니다. 섞어서 쓰는 경우 대부분 대학에서 전기전자는 윗급간의 중위권 공대 과(신소재) 정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쓰시면 됩니다.


중대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역시 전전과 비슷합니다. 그러니 위의 정보를 감안하여 쓰시면 됩니다.


중대 물리, 수학: 그냥 라인 따라갑니다. 


중대 화학, 생명과학: 이친구들은 좀 특이합니다. 중대 약대가 매우 높고 많은 자연과학대학 학생들이 약대를 준비하므로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중대는 약대에 대한 자교 우대가 상당히 높은 대학으로 성균, 서강과 비슷하게 수험생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고 정시에서도 물론 다군 버프가 있긴 하지만 공대 이상으로 입결이 높은 학과입니다. 다른 과들은 몰라도 화학과 생명과학은 밑의 급간 대학과 어느정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융합공학: 나노바이오소재 전공과 의공학 전공, 디지털 이미징 전공으로 나뉩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성대 글바메와 반도체, 경희대 정디플을 하나로 묶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로는 한양대 유기나노, 신소재, 전기생체, 성대 글바메, 반도체, 나노공학, 서강대 전자공으로 밑으로는 경희대 정디플, 시립대 전전컴, 건국대 의생명공, 줄기세포 재생공 정도로 내려갑니다.


에너지 시스템 공학: 탈원전 정책 때문에....ㅠㅠ 그렇지만 원자력, 발전기계, 발전전기 전공으로 세부 전공이 나뉘기도 하고 big 7학과라 장학금 혜택 등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위로는 한양대 원자력 공학, 에너지 공학, 밑으로는 경희대 원자력, 유전공 건국대 미래에너지 공학과 정도가 있습니다.


경영, 경제, 국문, 신방, 등등 대부분의 대학교에 있는 과들: 라인 따라 갑니다. 위로는 성균 한양 밑으로는 경희, 외대, 시립 이렇게 쭉 갑니다. 뭐 중대가 이제 서성한중이니 중경외시니 이런거 상관없이 아직은 한양대랑 중앙대 문과 같은 과 붙으면 대부분 한양대 가고 중앙대랑 경외시 같은과 붙으면 대부분 중앙대 갑니다. 이대는 급간이 비슷하기도 하고 여학생들 중에 이대 자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경향이 있어서 중앙대와 이대 같은 과를 붙을 경우는 케바케입니다.


국제물류, 도시계획 부동산: 물류 분야와 부동산 분야에서는 상위권 대학들에서 무역학과와 부동산학과가 사라진 지금 중앙대가 해당 과가 속해있는 가장 높은 대학입니다. 그러나 다른 대학교에서 물류, 부동산 등을 경영학과 또는 경제학과에서 세부적으로 배우는 경우도 있고 수험생 수준에서 정말 해당 분야에 엄청난 열의가 있지 않는 이상 경영학 또는 그냥 상경계 대학 중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라인을 따라가지만 산업보안학과와 마찬가지로 일부 경우 서성한 상경계열과 해당 과 중에서 후자를 선택하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비슷한 성격의 과가 주변 대학에 없어 애매하긴 하지만 대부분 학생들이 경영학과를 지원하며 중간에 넣으므로 라인 따라서 넣으시는걸 추천합니다. 국제물류의 경우 외대에 국제통상, LD등의 학과가 있지만 LD와는 비슷한 라인이고 국제통상보다는 높은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공인재학부: 한양대 정책, 행정학과 처럼 정시로 입학시 4년 장학금을 주는 학과이고 중대에서 상당히 밀어주는 학과입니다. 정책학(로스쿨) 트랙과 행정항(고시)트랙이 나누어져 있고 이외에도 취업 부분에서도 준수한 과입니다. 최근 중대 로스쿨 변호사 시험 합격률 1위, 중대 고시반의 실적 향상, 중앙대 공공인재 학생들의 로스쿨 입결이 더 좋아짐에 따라 계속해서 입결이나 인지도가 상승합니다. 위로는 성대 글리, 행정, 한양대 정책, 행정 밑으로는 경희대 행정, 시립대 도시행정. 행정, 외대 행정, 건국대 융합인재 정도가 있습니다. 비슷?? 하다고 하기는 조금 애매하지만 LD의 경우 아직은 공공인재학부보다는 조금더 높은 수준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


광고홍보: 중대에서 예전부터 가장 높았던 과 중 하나로 산업보안과 마찬가지로 마니아층은 연고대 인문 대신에 이 과를 오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보통 상위권 학생들은 상위권 대학교 미디어학부, 경영학과와 이를 같이 쓰고 밑으로는 외대 미디어, 동국대 광고홍보, 건국대 문화 곤텐츠, 숙명여대, 한양대 에리카 광고홍보학과와 함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라인은 보통 서성한 미디어와 비슷한 라인으로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글로벌 금융: 중대가 내세우는 우수한 점 중 하나인 cpa합격자 양성을 위해 만들어진 학과로 이외의 금융고시 합격을 위한 과목을 위주로 가르칩니다. 위로는 한양대 경제금융, 성대 글로벌 경제, 서강대 경제에서 비슷한 라인으로는 시립대 세무 밑으로는 경희대 회계세무, 외대 경제, 경영 등이 있습니다. 사실 글로벌 금융, 시립대 세, 경희대 회계세무 등 금융 고시를 위해 만들어진 학과들의 전형적인 특징이 휴학생이 많고 졸업생이 적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학과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은 단순히 상경계열 중에서 제일 높고 학교에서 밀어주니 지원해야지 라는 마음가짐이 아니라 자신이 진심으로 이 과에 지원하여 고시를 준비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심리: 중앙대 심리학과는 예전부터 매우 유명한 학과로 인지도로는 서강대 정도 입니다. 위로는 연,고, 성대 심리학과를 가지고 있고 심리학과가 많이 없는관계로 밑으로는 부산대 까지도 내려갑니다. 그래서 보통 심리학과를 지원하는 학생들은 사회학, 사회 복지학, 아동 가족학 등과 섞에서 쓰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유아교육: 고려대 가교를  제외하고는 중앙대가 가장 높은 학과이지만 비슷한 성격의 학과(아동가족학, 아동 청소년학, 가족학)등이 있어 위로는 성대 아동가족, 청소년학, 연대 아동가족에서 밑으로는 경희대 아동가족 등이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