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대 논술채점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76634
논술에서 만약 답?은 틀렸는데 논리성 있으면 부분 점수 인정하나요?
글고..혹시 연대 기출중에 인과론 부정하는 문제 푸셨던 분 있다면
문제 2번 다의 관점선택하신분 있나요?? 있다면 댓글 좀 부탁드릴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탐 경제 0
경제에 관심 있어서 사탐런으로 경제 해볼까 생각하는데 어떤가요? 타임 어택이랑...
-
고대여..
-
오호
-
원서 승률 1
수시 승률 0/9 0% 정시 승률 3/3 100% 가중평균이 뭐죠? 아무튼...
-
오늘 전화추합 받았는데요 나중에 학교 사이트에 합격자 확인 사이트 올라오면 거기서...
-
전화 최초로 저한테 2시 56분에 왔고 제가 못받아서 부모님한테 다시 간게...
-
슬프구나 원서 똥꼬같이 쓴 사람들 나빴어
-
학교 가야하나요..?
-
으으아ㅏㅏ 현황이라도 알고싶다........
-
제가 레어를 또 뺏기기 전에 얼른 행운을 얻어가세요
-
외대 수학과 공학대 기계공학과 둘중 어디를 갈지 고민이네요
-
한양 성균 3
1학기못다님 전역, 출국이슈때문에 계절부터 들어야하는데 해당 학교 다니는 분들...
-
작수 생윤 어려웠어서 다들 어느정도 빡세게 할텐데 그 상태에서 쉽게 나오면.......
-
한양영문 1
빠집니다
-
주변에 메쟈의 인설의 ㅈㄴ 많아서 그런지 잘 모르겠던데 걍 ?
-
확실히 정시가 훨씬 재밌음
-
어떻게 준비하시나요???
-
이론상 국어 영어 생윤사문 다맞으면 수학 백분위 48이라도 붙네요 ㄷㄷ 물론...
-
아
-
옯비 4일만에 9
똥테에 20렙이면 옯비 상위 10퍼 ㄱㄴ?
-
투표좀요
-
소수과 단톡 2
인사해야돼요? 30명정도
-
일클래스 지문이 기출보다는 어렵나요? 기출은 집중하면 이해안되는 부분은 없었던 것...
-
원서를 낮춰쓰면 똥줄탈 일도 없음 이거 좋은건가
-
님들이라면 뭐 선택하심? 이유도 알려주셈 참고로 한양사범은 전출제한이 없음
-
이거 되는 예비인가요?
-
유의할점 1. 저능함 2. 경제 3일공부함
-
디시정보는 3
걸러서 듣는게 답인건가 흠
-
괜히 떨었네 5
내뒤로 벌써 3명 붙었네 머야
-
중대 경영 4
972번 방금 전화받았습니다
-
나 왜 성인인데 우회안하면 야동못봄?
-
제발 부탁드려요 이전에 미리 등록한 대학이 있다면 등록포기를 빠르게 해주시면...
-
하 진짜 너무하네 ㅠㅠㅠㅠ
-
근데 매일 불닭을 머금
-
중앙대 기계랑 한양대 에너지 붙으면 어디 가나요
-
너무 심심해 4
호에에
-
.
-
독재에서 작년 9평봤는데 평균5등급 떴어요.. 목표는 올2등급이에요 인강안맞아서...
-
와 엄마아빠 큰일났다 22
나는 3D에 전혀 관심없음이라 내가 2세를 가질 예정은 없어서 동생이 유일한...
-
굿
-
고민
-
ㅈㄱㄴ 서울에서 태어났는데 서울에서 16년 살다가 3년 타지역 반년 타지역하게 생겼네
-
어떠셨나요???
-
저 대학생임 12
방가방가
-
흠
-
소수과에 작년 추합권에도 안들길래 포기했는데 ㅜㅜ 다른분들도 꼭 합격 하세요
-
캬 홍머 예비 119임
-
왜 안오지...
-
연대카르텔 연대해
인과관계 상관관계 문제요?
네~맞아요
채점 기준은 잘 모르겠는데 일단 다의관점 선택해서
수많은 원인 중의 하나를 표에 제시된 조사인원 의 수를 예로 들었습니다.
아마 교육수준에 따라 조사 인원이 달랐던 것으로 기억해요..
(다)의 관점은 현상, 결과의 다양한 원인, 변수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
이 관점에서 볼 때 논제 2의 두 주장은 결과의 원인을 한두 가지로만 한정해 부적절.
더 많은 원인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리고 논제 2의 두 결과(표)에서 표 1을 살펴보면 가설에 불일치하는 부분이 있죠.
표 2에서는 소득 수준이라는 변인을 추가로 고려해 이 불일치하는 부분이 특정 경우로 더 좁혀지죠.
두 표 모두에서 가설에 불일치하는 부분이 나타나지만 그 범위가 표 2에서 더 좁습니다. 더 정확해졌다는 것이죠.
하나의 변인만을 가지고 조사했을 때는 부정확했고 두 변인을 고려했을 때는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오류 발생.
그러니 더 많은 원인, 변수를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죠.
표 1에서는 하나의 변인을, 표 2에서는 2개의 변인을 고려했지만 (다)의 관점에서 보면 더 많은 변수를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채점 시에 여러 변별 포인트가 있을 것인데, 다 맞춰야 붙는 건 아니죠.
일반선발 합격자들도 2번 문제 확실히 풀지 못한다더군요. 1번도 깔끔하게는 못 풀고.
그러면서도 삼천포로 가거나 확 틀리지 않고 남들 보다는 더 정확히, 더 핵심에 가깝게, 출제의도에 좀 더 부합하게 쓰면 붙는 것. ㅇㅇ
가장 훌륭한 답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는 게 중요하고, 논리성을 유지하신다면 심하게 틀리지 않을 경우 어느 정도 점수 받으실 겁니다.
다 맞춰야 붙는 건 아니지만, 논리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져버리면 안 된다는 것.
아! 그렇군요..ㅎㅎ 정말 감사합니다!!!~~~^^
나 다 둘다 합격답안에 잇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