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962615

저기서 B의 2구간(dna량 2인 볼록 튀어나온 구간)에서 g2기는 없고 m기만 있다는데 이거 왜그런가요?
이게 방추사형성 억제하고 무슨상관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962615
저기서 B의 2구간(dna량 2인 볼록 튀어나온 구간)에서 g2기는 없고 m기만 있다는데 이거 왜그런가요?
이게 방추사형성 억제하고 무슨상관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냥 방추사가 형성이 안되서 m기에서 분열을 못하고 거기에 고여있다고 생각하시는건 어떨까요
방추사 형성이 안되니까 다 분열기에서 못넘어가겟져?
그럼 염색체분리되지못하고 그냥 계속 있는다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네 그렇됴
문제에서 ~를 억제한다, ~가 안일어나게 한다 등으로 조건이 제시되면
그게 일어나는 시기 = 모든 세포가 못넘어가고 멈추는 시기. 로 이해하시면 돼요
근데 G2 없다고 물어보는게
얕게 생각하면 당연히 맞는거고
좀더 생각하면 아리까리 할 수는 있네요 (충분한 시간이 흘렀는지 말로 제시가 안돼있으니까)
근데 그것보다 조금 더 생각하면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고정하였음은 (가)에서 분열을 마치고 G1으로 돌아온 세포들 (돌아왔다는건: (나)에서 G2까지 가기엔 충분한 시간인데 G1에 있다는건 안간게 아니라 돌아온것) 이 많이 있는거로 알 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