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머는 안가요 [803618] · MS 2018 · 쪽지

2018-03-25 10:23:42
조회수 501

화2 goat 님들ㅜㅜ 질문 하나만 합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602307

밀폐된 용기 속 액체가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때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동일하다면, 기화가 일어날 수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한19유승민경훈 · 804615 · 18/03/25 10:24 · MS 2018

    화2안해서 모릅니다

  • 유네유네 · 728619 · 18/03/25 10:27 · MS 2017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서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동일하다면 원래 통 안에 액체밖에 없었던 건가

  • 유네유네 · 728619 · 18/03/25 10:27 · MS 2017

    @에만좀

  • 유네유네 · 728619 · 18/03/25 10:32 · MS 2017

    이건 그냥 제 생각인데 아마 안 일어날 겁니다

  • 의머는 안가요 · 803618 · 18/03/25 11:18 · MS 2018

    넵 제가 생각한 세팅이 원래 용기가 진공상태이고 액체만 존재했을때 입니다. 그래야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아질수 있기때문에.. 애매하네요ㅜ 윤도영쌤 교재에는 같으면 일어날수 있다고 되어있는데 납득이 안되어서요.

  • 만점이지효 · 789765 · 18/03/25 11:05 · MS 2017

    진공 상태의 밀폐된 용기에 액체를 넣어서 공간의 압력이 증기압력과 같아졌다면, 기화는 일어나겠지만 응축도 같은 속도로 진행되서 동적평형이 되는 거 아닌가요

  • 만점이지효 · 789765 · 18/03/25 11:09 · MS 2017

    증발 응결 평형상태라는 것이 공간의 기체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력과 같아졌다는 것이고, 기화는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보다 크거나 같은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거 아닌가요

  • 의머는 안가요 · 803618 · 18/03/25 11:25 · MS 2018

    그렇다면 만약 진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 도달했다면, 증발 속도+기화 속도=응결 속도가 되어야하는데 이게 가능한지 궁금해서요..

  • 의머는 안가요 · 803618 · 18/03/25 11:26 · MS 2018

    어쨋건 애초에 진공이였다가 평형상태에 도달했으면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같은 상태이고 이론상은 일어나는게 맞지만요.. 너무 쓸데없이 파고는건가 싶기도 하구요ㅜㅜ 그냥 속편하게 같으면 기화가능 이라고 외울까요ㅜㅜ

  • 만점이지효 · 789765 · 18/03/25 12:30 · MS 2017

    증발 속도 + 기화 속도가 아니라,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거나 큰 상황에서는 기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그때 일어나는 증발도 기화로 묶어서 간주한다고 윤도영T가 말씀하셨던 거 같네요.. 그래서 그냥 단순 기화 속도로 보셔도 무방할 듯

  • 에피 기만 자제좀 · 705873 · 18/03/25 12:04 · MS 2016

    사실 외우는게.. 더 펺..

  • 에피 기만 자제좀 · 705873 · 18/03/25 12:01 · MS 2016

    님 말대로 액체만 뙇 넣으면
    '이론상' 은 기화 일어날듯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