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goat 님들ㅜㅜ 질문 하나만 합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602307
밀폐된 용기 속 액체가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때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동일하다면, 기화가 일어날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해클리닉 22] 전치사구의 수식대상어 파악 방법 0
레슨 내용 전치사구는 형용사는 물론 부사로도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식대상어를...
화2안해서 모릅니다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서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동일하다면 원래 통 안에 액체밖에 없었던 건가
@에만좀
이건 그냥 제 생각인데 아마 안 일어날 겁니다
넵 제가 생각한 세팅이 원래 용기가 진공상태이고 액체만 존재했을때 입니다. 그래야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아질수 있기때문에.. 애매하네요ㅜ 윤도영쌤 교재에는 같으면 일어날수 있다고 되어있는데 납득이 안되어서요.
진공 상태의 밀폐된 용기에 액체를 넣어서 공간의 압력이 증기압력과 같아졌다면, 기화는 일어나겠지만 응축도 같은 속도로 진행되서 동적평형이 되는 거 아닌가요
증발 응결 평형상태라는 것이 공간의 기체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력과 같아졌다는 것이고, 기화는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보다 크거나 같은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거 아닌가요
그렇다면 만약 진공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증발 응결 평형상태에 도달했다면, 증발 속도+기화 속도=응결 속도가 되어야하는데 이게 가능한지 궁금해서요..
어쨋건 애초에 진공이였다가 평형상태에 도달했으면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같은 상태이고 이론상은 일어나는게 맞지만요.. 너무 쓸데없이 파고는건가 싶기도 하구요ㅜㅜ 그냥 속편하게 같으면 기화가능 이라고 외울까요ㅜㅜ
증발 속도 + 기화 속도가 아니라, 액체의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거나 큰 상황에서는 기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그때 일어나는 증발도 기화로 묶어서 간주한다고 윤도영T가 말씀하셨던 거 같네요.. 그래서 그냥 단순 기화 속도로 보셔도 무방할 듯
사실 외우는게.. 더 펺..
님 말대로 액체만 뙇 넣으면
'이론상' 은 기화 일어날듯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