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어로 시 구조 파악하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53620
1-서술어로 시 구조 파악하기.pdf
수능 시험이 점점 다가오고 있어서 수험생들이 지금까지 공부한 수능 언어
부분을
비문학, 문학 부분으로 나누어 점검하고 살펴보는 계기를 갖고자 해요.
^.^
모자라고 부족한 부분이 채워져서 한 문제라도 더 맞고 한 등급이라도
오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거든요.
비문학, 문학을 몇 가지 영역 별로 나누어서 연재하는 형식으로 올리도록
할게요.
「수학처럼 정답이 나오는 언어신기」 (http://orbi.kr/core/market?v=lan_singi) 저자 올림
[시읽기 방법 ① 서술어로 시의 구조를
파악하라]
시의 서술어를 잘 살펴보면
시의 의미덩어리, 시의 구조를 나눌 수 있어요.
시는 몇 문장 안 되잖아요? 시가 좋다면 무엇이 보다 짧아서 일거예요
^.^
문장이 몇 개 되지 않으니까, 시 안에 많은 내용을 압축적으로 담게
되요.
이 때 문장들의 서술어를 살펴보면 그러한 압축된 내용을 짐작할 경우가 많지요.
2010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 나온
이육사의 「소년에게」와 황지우의 「겨울
-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는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요.
정답은 나오지만, 나머지 선택지 문항들이 쉽게
이해되지 않죠.
무엇보다도 시의 내용이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기
때문일 거예요.
시의 서술어를 잘 살펴보면
낯선 시의 의미 구조를 짐작할 수 있답니다.
이육사의 「소년에게」를 읽다 보면 모호하고 언뜻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요.
바로 ‘사랑했거늘’과 바로
다음 연의 ‘~ 서 봐도
좋다’이죠.
“①내가 그렇게 너를 짝사랑했거늘,
②눈 한 번 주면 어디 덧나니?”
속으로 이렇게 원망이 드는 사람이 있을 거예요. ^.^
이와 같은 문장 구조가 자연스러운데, 이육사 시에서는 좀 이상하죠?.
결국 ‘사랑했거늘’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부분은 맨 마지막 연의 마지막 행에
있어요.
‘곧은 기운을 사랑했거늘’,
‘너조차 미친들 어떠랴’로 연결하면
나름대로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①과 ②는 서로 대립되거나 반대되는 느낌을 주고 있어요.
①의 상황에 비해 ②는 야속함이나 원망을 말해주는 것 같아요.
이렇게 “~했거늘”과 이어지는 서술어 부분은 특별한 쓰임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법이 시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거예요.

황지우의 「겨울 -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에서 한 눈에 보이는 특징이
있죠.
시의 처음에서는 서술어가 ‘이다’에서 ‘된다’로 바뀌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된다’에서 ‘이다’로 마무리 짓고 있다는 점이에요.
나무가 어떤 상태에서 또 다른 상태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죠.
나무가 어떤
존재 상태에서 또 다른 존재 상태로 바뀌는 것을 노래하고 있는 시이죠.
제목도 이것을 암시하고 있잖아요?
서술어를 보고서 바로 알아차리면 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 첨부된 PDF
파일에는 이 시들과 문제에 대한 자세한 해설이 실려 있어요.
파일을 안 보게
되면 후회를 많이 하실 거예요. ^.^ )
시읽기 방법② - 어조를 한 방에 파악하는 방법
시읽기 방법③ - 주어-서술어 따져가며 읽기
시읽기 방법④ - 화자가 드러났느냐 숨어 있는냐
시읽기 방법⑤ - 묘사냐 진술이냐-시쓰기 방식을 이해하면 시가
절로절로~.
시읽기 방법⑥ - 시상전개를 한 방에 파악하는
방법
앞으로 올릴 ‘시읽기 방법’들입니다. 참고하시고, 열공하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표지는 참 이뻐 11
-
새삼 느끼는건데 1
오르비 고령화된것 같아요 2년전보다
-
국어영어때문에 보기싫음 참고로 문과임 ㅋㅋ
-
선글라스 찬우
-
어차피 다 ㅈ된거 걍 제일 재밌고 잘할 수 있는거 고르는게 맞는거같음
-
국어가 어렵구나 1
시간의 벽이 막혓어 언제쯤 줄어들까
-
오르비 잘자요~
-
한완수를 풀고 한완기를 굳이 볼 필요가 있나요..? 1
사실상 문제들 자체는 같은 문제들 밖에 없는데 이미 풀었던 문제를 다시 풀려하니...
-
내현역평가원성적 8
87 81 2 59 40 67 91 2 90 76 83 95 3 84 84
-
4점짜리만 모아둔거잖아요.. 혹시 몇분 안에 풀어야 정배고 평균적으로 몇개 틀려야...
-
22수능부터니까 21년 겨울에 친 수능부터 맞나요?
-
국어 아이러니 10
시간 없을까봐 급하게 읽는데 이러면 시간이 더 부족함 선지에서 시간 다날려서...
-
교육청에서 얼마나 나와야해요? 각각 그리고 선택과목 생각안하고 수능도 똑같은 실력으로 친다고 하면
-
허수킬러.jpg 14
18번에 나오면 오답률 50% 될까 안될까
-
저렇게 순서 가져가시는 이유가 뭔가요? 문학은 타임어택에 그나마 덜 휘둘려서?
-
시발.... 6모 전까진 나갈 수 있을까
-
비공식 조직이랑 자발적 결사체 개념이 헷갈리네요. 비공식 조직은 전부 자발적 결사체...
-
ㅈㄱㄴ 어렵고 힘들더라도 이대로 하면 국어 무조건 성적 오른다 하는 공부법 뭐임
-
아직까지 날 차단안한 친구들은 아마 날 애증의 시선으로 보거나 내 매력을 이해한...
-
엔빵하면 상대방이 내꺼볼수잇어서 개인적인건 못물어봄..
-
80점대 나왔는데 ㅋㅋㅋㅋㅋㅋ 6모를 더 잘봄
-
일반 황올은 너무 그냥 후러이드같아서 좀 자극적이게 먹을려고 랏 크리스피 시키면...
-
피자>>>치킨
-
근데 댇지라서 살뺄게
-
1년정도 지나서 좀 길랐고 화장 달라져서 얼굴 좀 달라짐 ㅈ아까 단발 본 사람들...
-
배가 살짝 고프네 스시 먹을려고햇는데 문 닫음
-
동사 다시 시작 0
마음의 고향
-
4등급은 뭐냐 진짜
-
그냥 요르만 단품에 팔아버릴까? 근데 아냐는 내가봐도 개못생갸서 세트로 안팔면 절대 안팔릴거 같음
-
서울대치대 1
사탐+과학2과목 조합으로 지원가능한가요?
-
수학 풀이 순서 2
1~12 16~20 23~30 (28,29,30중 적어도 하나 풀기) 남은문제...
-
내가 먼저 가격흥정 얘기 꺼내야하냐? 나도 나름 간절한데
-
넘나 좋았다 0
히히
-
그게 좋으려나
-
원래 리듬 다 깨져서 공부하기가 싫어짐.. 국영수 감도 다 죽었고..
-
근데 단발………보다 장발이 더 나음 그럼 기르는 게 맞제?
-
고쟁이>쎈임? 13
궁금함뇨
-
수학기록 11
고1 100점 100점 100점 100점 고2 100점 92점 88점 96점 고3 100점
-
영어는 11월부터 한국사는 수능 담날부터
-
잘자용 8
-
다들 맞추긴 할건데 시간 단축 도움되라고 ㅇㅇ 예전에 과외때 스?킬처럼 배움 5개년...
-
심찬우. 커리 1
심찬우 쌤 커리 타려는데 생각하면 글읽기랑 생각하며 감상하기 병행 괜찮을까요???
-
영어기록 1
고1 92 (6모 안봄) 96 92 고2 97
-
^^ㅣ발 생명이랑 물리가 월요일에 동시에 있는데 수학이나 하루종일 공부하란다 ㅅㅂ...
-
고3 국어 인강 0
현재 고2이고 시험기간 아닐 때 국어 김승리t 올오카 문학 독서 전형태t 언매...
-
6모 응시 1
잇올 다니고 있어서 6모 잇올에서 보는거로 신청했는데 다음달부터 시대 재종으로...
-
러셀 낮은반이라 그런지 뭔가 주변에 공부 관련해서 자극을 받을 요소가 없음...
-
참고로 수학 천재는 수학을 천천히 푸는 재수생이라는 뜻입니다 초반 쉬4까지를 빠르게...
-
도데모 8
이이카라 오이텟타 아이츠라 젠인 도오소카이 스텐바이미 시젠타이니 샤이나카라사와기
이거보고 내일 대박터트리겠씁니다 ㅋㅋ
감사합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