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781276] · MS 2017 · 쪽지

2018-03-03 13:42:55
조회수 973

정적분 질문좀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372732

인테그랄을 씌워서 정적분 때린다는것은 인테그랄 씌운 함수가 연속이든 불연속이든 상관없죠?

왜냐면 인테그랄자체가 함숫값 시그마 때린거라서 함숫값만 존재하면 되잖아요


역으로 불연속이어도 상관없으니 인테그랄의 참의미는 말그대로 시그마고..


맞죠??미1 헷갈려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3/03 13:43 · MS 2017

    연속이어야 되는 조건은 그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가 미분가능 할수있게하는 조건이고..

  • 루만 · 800405 · 18/03/03 13:46 · MS 2018

    아녀 불연속이면 쪼개서 계산해 줘야죠
    예를들어 절댓값함수 같은경우는 절댓값을 씌운채로 표현은 가능하지만 계산할 때는 나눠서 하는 것 처럼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3/03 13:49 · MS 2017

    계산법말고 인테그랄 의미자체는 불연속이어도 상관없냐는 질문이에요
    계산법을 적용시키려면 부정적분을 해야하고 다시말하면 연속이어야되겠죠
    즉 연속인걸로 쪼개서 계산하죠
    는 맞는데..
    인테그랄의 의미자체로는 그냥 합이맞죠?

    ex) f(x)=1 (x=0)
    f(x)=2 (x>0)
    를 인테그랄 씌워서 1~3까지 구하라는거자체
    계산법말고 의미자체로는 성립하잖아요..

    이해되셧을라나..(가르칠려는게아니라 제 질문의도를 ㅋㅋ)

  • 루만 · 800405 · 18/03/03 13:53 · MS 2018

    정의에 관한 질문이시군요..! 맞나
    네 딱히 문제는 없는거 같아요 말씀 드린 것 처럼
    절댓값 함수에 적분을 씌울 수 있는 것 마냥요!

  • 루만 · 800405 · 18/03/03 13:55 · MS 2018

    그리고 정적분과 급수는 다른 것 이에요..ㅎ
    두개의 탄생이 다르고 쓰다 보니 결과값이 같아서 변환과정을 공부하는 것 뿐이지 원래는 연관성이 전혀 없기에 정의를 묻는 것에서 혼용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는 것 같아요..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3/03 14:04 · MS 2017

    리미트 급수가 정적분 아닌가여..물론 리미트 붙어서 의미를 다르다고 볼수도잇겟지만..

  • 루만 · 800405 · 18/03/03 14:08 · MS 2018

    넵 아닙니다 둘이는 전혀 다른 거에요
    적분은 미분의 역연산에서 나왔고
    급수는 구분구적법으러부터 나왔자낳요
    교육과정상 정적분을 구분구적법으로 이해하도록 배우지만 둘은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 치킨치킨무 · 778800 · 18/03/03 13:48 · MS 2017

    불연속이여도 적분가능한 경우가 있으나 고교과정에선 안다루지 않나요?

  • NO:EL · 799411 · 18/03/03 13:50 · MS 2018

    불연속이더라도 특정 구간에서 불연속이면 적분불가능하구요, 특정 점(유한개의 점)에서 불연속이면 적분가능합니다.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3/03 13:53 · MS 2017

    적분말고 정적분이요..인테그랄!!시그마랑 같은의미인가 질문!!

  • NO:EL · 799411 · 18/03/03 14:00 · MS 2018

    네 급수에서 Σ 시그마(Sigma)의 S를 따와 길게 늘여뜨려 인테그랄(∫)로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는 같다고 보셔도 됩니다.

  • 루만 · 800405 · 18/03/03 14:09 · MS 2018

    어..말이 다르네요..흠 제가 잘못 알고있던걸수도 있으니 선생님께 여쭤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