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저리 질문 받아 봅니다!(반수도움, 국어 위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039730
17학번으로 서성한 들어갔다가 이번에 연고중 하나 학교로 들어가게 된 사람입니당
결과가 나온 이후로 너무 놀아버려서 뭔가 생산적인 일을 해보려고 합니다 ㅋㅋㅋㅋㅋ
혹시 반수이나 공부법관련 질문이 있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드리도록 할게요
워낙 잘하시는 분들이 많은 커뮤니티인걸 알지만 ㅋㅋㅋㅋ 용기내서 글을 적어봅니당.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매번 오르비에 정치글 쓰시던 고양이 프사에 영어 닉넴이시던 분 어디 가셨나요?
-
바로 나였음 ㅎㄷㄷ
-
[국어] EBS수특 연관 기출 (법, 경제, 사회) 0
[경제] 채권의 수익률(p.113) : 11수능 지급 준비 제도 / 경제 정책에서...
-
한수 모의고사 0
작년 파이널 2 58점 ㅋㅋ 3등급 찍는 것 보다 죽는 게 더 빠를 듯
-
현역 언 미 영 물 지 64 82 4 75 64 인천대 1학기 후 자퇴 8월부터...
-
오 3
밥맛있다
-
수평면에서 속력 같고, a,b y변위 각각 h,2h여서 속벡 저렇게 구해서 풀면 될까요?
-
으으으으으 그냥 벼락치기 해야지
-
인절미랑 흰둥이 5
귀여움
-
혈관에 커피가 돌고 잇구나ㄹ
-
에 대해서 잘 알고계신분 있나요..? 학원생이 상담요청하는데 정보가 너무 없네요 ㅠ
-
보니까 각 파트를 이틀에 걸쳐서 수강과 복습을 하라고 적혀있는데 첫날에는 독서와...
-
남과 비교하지 마라 열등감을 원동력으로 삼아라 이런 말들이 있는데 솔직히 실천하기가...
-
"군대가 말 잘 들을 줄 알았다"…尹 몰락하게 한 '계엄 착각' 4
“망했다.” 12·3 비상계엄의 밤. 차마 믿기 어려운 계엄령 발동 소식을 접하고...
-
준우승 ㄱㄴ?
-
메인글 논란 4
8-9년전 오르비에서도 봤던 내용이라 새롭진 않네요
-
레즈는 아닌데
-
메인글 관련해서 2
제목 닉언 + 관계없는 게시물 댓글에서 닉언까지는 다들 자제하는게 어떨까 싶음 그게...
-
위험발언들 편집하는거 못참겠다
-
내주식 13
파산햇잔아 자산 타노스당햇어
-
흐음
-
일단 인강하시는 분은 아니고 러셀 출강하시던 분인데 이번에 인강 개인적으로...
-
에어팟을안들고옴 0
그래서 사문도 경제도 개념인강을 못듣는 대재난 빌생 어카지
-
아 월요일싫다 1
-
생윤 사문 하루 벼락치기 할건데 많이 나오는 주제나 사상가 없나…뭐 공부하지ㅊㅊ
-
오르비 닉네임 검색해도 왜 안나오지?
-
노래 진짜 너무 좋아요 들어보시는거 강추합니다
-
메가 어준규 vs 이투스 김현수 둘다 좋은 쌤 같아여(둘다 들어봄) 작년 난이도가...
-
10,11,15 끝 이제 호ㅓㄱ통해야지
-
ㅠㅠ
-
없으면 대신 맛봄
-
장재원 병행 0
장재원 수업 방식이 어떤가요..? 지금 범준 현강 듣고잇는데 문제해석이 악한것같아서...
-
저때는 비문하 헬 문학 좀 쉬웠고 제 기억상으론 22 헤겔 브레턴우즈 때...
-
96점이네
-
20 21 둘다 그런 형태의 함수였넹
-
KBS 0
내용 정리는 잘돼있는데 캐릭터들이 너무 오글거려서 계속 웃음참고 보는데
-
공간벡터 재밌었는데
-
섹 4
S
-
학교 끝 6
이제 집가서 모고 마저 만들어야지
-
전에 야간알바 했을 때도 본사에서 일하고 싶었는데 이번에도 그런생각 들었음 난...
-
6평 전까지 대부분 볼수있을까요?
-
진짜 모르겠다 그냥 홀홀홀 홀짝짝 독립시행인데 왜 체감이 그랬을까
-
Falling in math 244번
-
기차가 조용했는데 단체로 타더니 열차가 관광버스 분위기 되어버림 진짜 마주칠 때마다...
-
돈은 다 모았는데 시간이 없네요 여행가느라 수업을 뺄 수도 없는 노릇이고 ㅠ 다들...
-
대체 어케 하는 것임??!!!!?? 좀 쉽게 설명해줄 사람 없냐….
-
6모 언제치려나 4
오늘 접수한게 돈낭비가 될까봐 걱정된다 10일로만 안 바뀌면 되는데....
-
‘윤석열 파면’ 아쉽기만 한 일본…“훌륭한 대통령이었는데” 1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린 뒤 일본 언론들이 그의 재임 기간에...
-
이런거 쓰면 우승 가능한가
이번에 문과로 돌려서 사탐은 어느정도로, 몇일에 한번 공부해야하는지, 수학은 어느정도로 할지 이런거에 감을 못잡겠어요ㅠ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3이신가요? 아니면 재수생이신거에요?
이과에서 문과로 돌리셨다는 말씀이신거죠?
고3이에요! 이번에 이과에서 문과로 돌렸습니다
1. 수학은 질문자분이 어느정도 수준인지를 잘 몰라서 어렵지만, 문과 수학은 기출만 꾸준히 6회독 정도만 하시고, 유명 인강선생님 한분 골라서 한분커리를 1년 쭉 따라가면 충분합니다. 중요한건 한분만 집중해서 쭉 가시는게 중요하세요.
2.사탐은 일주일에 한번 전범위를 돌리시면 충분합니다. 물론 이방법은 6월까지만 하시는 것이에용
감사합니다~
1.전 학교 자퇴하기전에 올해 붙은 학교 등록해도 이중등록아니겠죠?
2.에타 계정 두개 가질수 있는건가요 아님 전학교 계정은 탈퇴해야되는건가요?
1. 네네 관계없는걸로 알고는 있는데요 혹시 모르니 학교사이트가서 제대로 알아보세용
2.에타에 학교변경기능 있을걸요?
감사합니다!
국어 공부 어떻게 하셨나요? 마닳 하려고 하는데요.. 작년에 마닳 했는데도 수능에 3이 떴어요. 일단 지거국 붙어서 다니면서 공부할까 싶은데요, 1학기때 새터나 오티 가는게 나을까요? 그리고 1학기때는 시간이 많이 없나요?
1. 1학기때에는 충분히 대학생활 즐기시고 충전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반수시작하고 2주만에 원래 스탠스로 돌아오더라구요
2.국어 공부는 곧 칼럼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대충 설명하면 문제를 맞추기 위한 독해라고 여기면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마닳보다는 자이스토리같은 비문학 문학 따로 되어있는 문제집을 추천해요
비문학 킬러, 문학 합답형/내용일치 문제 어떻게 대비하세요?
1.비문학 킬러같은 경우에도 일반 문제 풀듯이 풀면 됩니다. 결국 핵심은 글에 대한 충분한 이해니까요. 너무 킬러에 부담을 가지지 않으시면 좋겠어용.
2.문학 문제는 맞는걸 고르기보다 틀린것을 삭제해나가는 식으로 풀면 수월해용
문학은 어느정도 나오는 사람이라 부족한 독서에 집중중인데 그래도 문학을 너무 안하면 감떨어질거 같아서 수특문학을 풀려하는데 지금 수특문학풀기or 교육청+평가원 기출문학풀고 4월에 분석서 나오면 수특문학 풀기 어느쪽이 나을까요?
제가 수능 국어 공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건 '사고의 평가원화'에요.너무 극단적인 생각일 수도 있지만 저는 위의 이유떄문에 수특 문제는 건들지 않고 작품만 분석했어요. 평가원 기출문학만 푸는걸로 충분히 대비되실거라고 생각해요.
그럴까요 그럼 평가원문학과 함께 수특은 작품만살펴보는 쪽으로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혹시 문학도 따로 정리를 하거나 그런식으로 하셨나요? (단순 오답정리를 넘어선 차원으로요!)
평가원 문학 문제를 풀다보면 반복되는 사고과정이 보이실거에요. 그걸 가시화해서 정리하시는게 중요해요. 수학의 풀이과정처럼요. 사실 몇개년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푸는 이유는 위에서 말한 사고과정을 내면화하기 위함이에요. 사실 가시화해서 정리할 수 있는 능력만 있으면 반복할 필요는 없지용. 결론은 평가원 기출에서는 사고과정만 정리했구요. 수특은 문학작품들을 아주 꼼꼼히 정리했어용
사관학교 국어를 풀어보는건 어떤가요? 같은 평가원인데 핀트가 많이 엇갈릴까요??
사관학교 국어도 물론 좋은 문제에요.(릿딧밋도 마찬가지). 사고과정이 정말 이쁘거든요.
하지만 평가원시험을 준비하는데는 약간 과하다고 생각해요. 해서 나쁠 건 없지만, 100짜리 시험인데 130점을 맞는 공부를 하는 느낌?
분석할 필요는 없고 그저 실모처럼 풀고 넘기세요. '사고의 평가원화'가 제일 중요해요. 수능준비는 기출로 충분한거 같아용
넵넵 감사합니다!_!
이》문 전과한 고3인데요
사탐 사문 한지 선탣했는데(내신과목이에요)
기출문제 비중, 수특은 연계가 많이 되는 편인가요..?ㅜ처음이라 감이 안잡히네요
그리고 문과 수학기출이 2008(?)년도 정도때와 최신 경향
난이도 차이가 꽤 나던데 보통 몇개년 푸시나요
1사탐은 수특문제의 직접적인 연계보다는 자료의 연계가 많은 편이에요. 자료에 집중해서 수특을 적절히 수용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수특도 물론 중요하지만 기출이 가장 중요해요. 사탐은 워낙 범위가 좁아서 나오는 문제들이 한정적이에요. 기출을 반복해서 사고를 평가원화하세요.
2.저는 2014부터 2018까지 69수능만 10번씩 풀고, 그 전의 문제들은 유난히 예쁜 사고과정을 가진 킬러문항만 뽑아서 풀었어요. 기출을 반복하면서 예쁜 사고과정을 꼭 따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비문학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거 같아요.
1. 글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한 정독풀이
2.선택적 정독
나중에 이거에 대한 글을 써볼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