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칼 [699475] · MS 2016 · 쪽지

2018-01-08 15:28:43
조회수 686

수시로의 체제 전환은 세상의 흐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193659

유감스럽게도 그러한 것 같습니다.


공정성을 최상의 가치로 삼은 사법시험은 결국 헌법재판소에 의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사시존치 운동가들은 다 뿔뿔이 흩어진 상태. 기성 법조인들도 이제 로스쿨 체제가 좋든 싫든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고 주류 대학의 법과대학 교수들은 지금 좋아 죽고 있는 상태라 앞으로도 사시 부활 가능성은 0에 수렴할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이라는 서울대학교는 자신들이 학종체제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에 엄청난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입학처 얘기를 조금만 읽어보셔도 알 수 있습니다. 

http://snuarori.snu.ac.kr

여기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웹진 아로리라는 사이트인데, 여기 들어가면 서울대학교 입학처에서 학종 가지고 연구한 각종 자료와 논문 등이 올라와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는 학생부종합전형을 그 어느 학교보다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계획적으로 그 비중을 늘려 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

(아 그리고 이 사이트는 학종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정말 유익한 사이트이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이 사이트를 보면서 학종을 연구했기에 입시상담이나 첨삭 이런거 없이도 붙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서울대학교 다음으로 열심히 입학전형 체제 변화를 이끄는 대학은 고려대학교입니다. 고려대학교 입학처 역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입학처 사이트에도 여러가지 설명과 자료들이 올라와 있지요.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한양대가 내신을 안보겠다 폭탄 선언을 하고, 중앙대가 다빈치 전형, 펜타곤 학생평가 시스템 등을 만든 것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명문대들이 앞다투어 수시 연구에 투자하고 수시의 비중 확대에 나서고 있지요...


꼭 정부 정책만 그런 것이 아니라, 각 대학들이 수시로의 완전 전환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는 무슨 의도인지 확실히 알 수 없지만(진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 그러는 것이라고 믿고 싶을 뿐입니다) 밑의 대학들은 확실히 수시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들이 많습니다.


- 반수생의 감소

- 고착화된 대학 서열 흔들기

- 전형료 수입(...)

- 대학입시의 주도권을 대학으로 가져옴: 이게 생각보다 굉장히 큽니다. 정시제도에서 대학은 수능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입시의 주도권이 정부에 있게 됩니다. 수시 제도에서는 입시의 주도권을 대학이 가져올 수 있습니다. 본고사 체제와 비슷하게 되는 것이죠.


등입니다.


결국 이러한 흐름이 뒤집힐 가능성은 낮습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대학에 가서 첫 학기부터 학점관리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역전은 점점 힘들어질 것입니다. 사회 흐름이 그러니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