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원서 접수와 관련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180608
정시 원서접수 시즌입니다. 수많은 고민을 하며 원서접수를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 많이 보여 몇 자 적어보고자 합니다. 다만 제가 지금 쓰는 글은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며, 문과쪽과는 다소 맞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저는 특정 학교나 과를 두둔/비난할 의도가 전혀 없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어디까지나 이제 원서접수를 할 수험생 여러분이 앞으로의 인생도 행복하시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부디 학교와 과를 선택함에 있어서, 학교의 네임밸류나 과의 미래와 안정성을 맹목적으로 따라가지 마시길 바랍니다. 대신 자신이 무엇을 하고싶은지, 아직 딱히 정해지지 않았다면 어느 분야에 흥미가 있는지 고려하여 ‘어떤 공부를 할 것인지’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엥? 무조건 네임밸류 높을수록 좋은 거 아니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ex: 에이, 그래도 고대는 고대야~),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네임밸류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말로는 ‘이제 학벌이 의미가 없다, 능력중심이다’라고 하지만, 아직은 네임밸류 역시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꽤 많은 학생들이 높은 학교의 낮은 과에 지원합니다. 물론 그 과의 공부가 정말로 하고싶어서 지원하는 학생들은 예외입니다. 실제로 그 전공에서 공부하는 것이 적성에 맞지 않거나 싫은데, 심지어 ‘그 과가 무엇을 하는 과인지도 모르는데’ 그냥 지원합니다. 점수가 되니까. 저는 이런 원서접수라면 말리고 싶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부가 행복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대학교에 대해 어떤 로망을 품고 있는지 일일이 알 수는 없지만, 대학은 기본적으로 ‘여러분이 더 하고 싶은’ ‘공부’를 하러 가는 곳입니다. 당장 저도 산업공학이라는 학문이 하고싶어서 두 번의 수능을 치른 사람이기도 합니다. 어떻든 전공 공부는 당신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그런데 그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거나 관심분야가 아닌, 억지로 하는 공부라면 어떨까요? 전공공부는 절대로 쉽지 않습니다. 많이 힘들어질겁니다.
- 생각보다 쉽지 않은 편입과 전과
‘뭐 나랑 안 맞으면 편입/전과하면 되지!’라고 외치며 가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편입은, 오죽하면 편입보다 반수가 쉽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편입에 학점이 필요하기도 하고요.전과도 그냥 ‘띡! 환승입니다~’하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전과하려는 과에 TO가 있어야 하고, 학점경쟁을 해야 하며, 아예 전과제도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ex: 고려대학교). 당장 전공공부가 적성에 안 맞고 관심도 없고 어렵기만 한데, 전과를 위한 높은 학점을 받을 수 있을까요?
- 그냥 졸업을 한다면?
제가 존경하는 인강 선생님 중의 한 분인 M사의 생명과학영역 박ㅇㅇ선생님의 말을 인용하겠습니다. ‘이과는 전공 따라간다!’ 물론 예외는 언제나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이과는 전공을 따라가기 마련입니다. 당신이 선택한 그 전공으로 평생 먹고 살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전공 선택에 정말로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그리고 상위권 학생들 중에서는 이런 학생들도 있습니다: 점수가 좋으니 무조건 취업이 잘 되는 과를 따라갑니다. 대표적인 예로 의대나 전화기가 있습니다(저는 의대지망생이나 전화기지망생을 비하할 생각이 전혀 없습니다). 역시 본인의 적성이나 희망을 고려하지 않고 이런 과를 무작정 선택하려 한다면, 말리고 싶습니다. 이유는 비교적 단순합니다. 취업이 잘 된다고 해서 갔는데 자신과 안 맞는다면? 실은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케이스입니다. 높은 취업률과 안정적인 미래로 자신을 끊임없이 위로하여도, 공부에 도무지 적응이 되지 않고 정이 안 붙습니다. 행복할 수 있을까요?
물론 저의 방식이 100% 옳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고, 수험생 여러분들에게도 다양한 상황과 선택지가 있을 수 있겠죠. 하지만 저는, 여러분이 보다 재밌고 행복하게 대학생활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선택하는 전공은 (보통) 여러분을 평생 따라다닐 친구인데, 무조건 학교의 네임밸류나 과의 미래/안정성만 따라가지 말고, 본인이 하고싶은/관심이나 흥미가 있는 분야로 잘 선택해서 진학하기를 바랍니다. 합격발표의 그날까지 응원합니다. 파이팅입니다!
p.s. 언제나 예외는 존재할 수 있습니다.
p.s.2.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하고싶은 말이 있으시다면 언제라도 댓글/쪽지 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재 775 0
750.35
-
바쁨 = 힘들어 엉엉 정병 안 바쁨= 여유로우면 심연에 잠기다가 정병옴 감당이안됨
-
추가합격 뜬 다른 대학 등록금 납부해도 되나요? 얘네가 승인 언제 때려줄지 몰라서 ㅁㅊ겠음...ㅠㅠ
-
보통 막차추합이 전추아닌가?
-
이쁘고 싶다 0
물론 남자임
-
다 롤대남아니였음?
-
확실히 수미잡 0
3모 한의대, 약대 <- ㅋㅋ 6모 건동홍 9모 중경외시 였는데 수능에서는 이것보다...
-
일반이 기록적으로 빵난건 모두가 고대교과 or 연대빵 예측해서 일반 추합권이...
-
연약 0
평백 96~97 로 연약 가능할까요?
-
여기 12~15도 나오나요? 시발 존나 어려운데 개짜증남
-
날 서울대로 보내준 일등공신이라서 그런지 칼럼도 열심히 쓰고 싶음
-
특별전형 서울대 30장 받은 사람 어딘 반 가셨나요? 선택과목 물지기준
-
대학교 고민 0
진로는 무대나 실내 희망임
-
국어 인강.. 2
안해....
-
화학1
-
캬캬캬ㅑㅋ 너무 좋아 ㅎㅎㅎㅎㅎ 나의 표본분석은 틀리지않았어 후후후 사회복지 버리고...
-
자기 백분위보다 훨씬 좋은 성적이라 작년이랑 입결 같으면 오히려 거기가 폭인정도
-
다 기다리고 있다..
-
갑자기 궁금 무지후드티이런것만입어야하나..
-
표본 보신 분들 답변 좀 해주시면 고맙겠슴요..
-
경영,인과계,사과계,글경제 궁금함
-
수의대 절대 가지 마라했음 저 글이랑 비슷하게 말했음 물론 지금은 의대 절대 가지...
-
정도면 높공임?
-
중대 도시공 넣었어요 ㅋㅋㅋㅋ
-
점공 봐도 모르겠음
-
비문학 지문을 ㄹㅇ 탐구과목 선생님처럼 싹 다 내용 정리해서 이해시켜주시는데 이거...
-
콧물이안멈춤 병원은다닫음.... 약국약이효과가없음
-
생명과학2, 나아가 과탐 8과목 통틀어 최악의 킬러 코돈은 어렵게 출제될 경우...
-
아. 4
음…
-
준비하는데 한참걸리고 1차 통과해도 면접도 봐야되는 공군에 무조건 가야된다고 동시에...
-
롤할사람 4
9함
-
안녕하세요 재작년 수능에서 화작 미적 영어 생1 지1 순 과목선택으로 수능을...
-
공부하기시르니까 7
수학해야지
-
엄청 빨리 도네요 ㄷㄷ
-
미적 개념 돌리는중입니다 학원도 다니고 있고 혼자서 기출문제집 사서 풀려고 하는데...
-
딱 이런느낌이면 다들 어디감? 후자가서 이악물고 복전하나
-
개원하면 돈 개잘벌지않나요?? 요즘 펫보험도 많이들던데
-
실수들 유입 때문인가요
-
성대 예비가 1
최초 부여된 거 아니면 그뒤로는 추합으로 갱신돼도 예비 부여를 안 하는 건가요?
-
원숭이들 접으라고 제발
-
393 서울대인문 추합으로 718.61 예비 1번은 세이프 및 펑크 확정 여기서...
-
런치고 싶은데 런치면 할게 없어서 울며겨자 먹기로 하는건데
-
이거 주작인가여
-
지금 작년 6평 풀면 3등급은 나올듯
-
피방 진작가서 숙제하면서 볼걸
-
집중불가능
-
아저씨랑 20분동안 스몰토크중
-
빠지시면 제가 왕돈까스 정식 쏩니다 제발 빠져주세요ㅠㅠㅠ ㅋㅋㅋㅋㅋ
전과를 할 정도의 학점이 나오려면 어느정도
전공에 흥미가 있어야 한다는게 아이러니
그 점은 저도 굉장히 아이러니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처한, 전과도 하나의 경쟁이 되어버린 현실에서는 어쩔 수 없으니까요...ㅠㅠ
산공쪽에 대해서도 질문 드려도 되나요??
얼마든지요!
산공 지망생인데 수학을 어느정도 사용하나요?? 컴퓨터도 많이 쓰나요...?
어느 분야를 하게 되느냐에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수학과 컴퓨터는 기본입니다. 최근들어서 그런 것인지 원래 그런 것인지 모르겠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산공과생들에게는 거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을 분석하고 최적값을 찾아내는 데에 수학이 매우 중요하게 쓰입니다(특히 선형대수학이). 실은 저도 학부생이기 때문에 아직 배우는 중이지만, 교수님들과 선생님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댓글달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