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 실패 함정 2가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4918560
많은 분이 재도전 여부를 두고 고민하고 있을 시점입니다. 모든 시도가 각각의 인생을 등에 업고 있으니 가늠할 수 없는 무게를 가지고 있을 텐데, 어떤 사람들의 눈에는 시도와 시도, 결과와 결과들이 그저 ‘통계’로 보일 때가 많습니다. 참 씁쓸하지요. 그런데 나도 그 ‘통계’를 주로 보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이 시점에 씁쓸함을 음미할 여유가 있냐며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재촉하고 있습니다.
1. 1컷의 함정
수많은 학생을 상담하고 지도하면서 가장 애먹는 부분입니다.
(학생의 질문) “이코치 선생님, 저는 작년 모평 수능 전부 탐구는 1등급이에요. 그건 제가 하는 방법이 있으니 걱정 안 해도 되구요. 국어 3등급입니다. 이거 어찌합니까?”
(이코치의 생각) ‘국어 3등급이면 상당히 우수한데, 문제의식도 가지고 있으니 해볼 만하겠군. 근데 작년 탐구 1등급이라는 게 걸려. 국어를 열심히 올려놓고 결국 탐구로 입시를 망칠 삘인데.’
성적표에 1이라는 등급이 찍히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자부심 가져야지요. 대부분의 경우 이 자부심은 자신감이 되어서 내년 입시에도 중요한 자원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참 안타깝게도 그 자신감이 독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작년에 이만큼 해서 1컷이 나왔으니, 이번에는 거기서 요만큼 더 하면 백분위 98은 나오겠군.’
사람 일이 절대 그렇게 되지 않아요. 작년이 100만큼 해서 1등급이 나왔지만, 올해 100만큼 해서 1등급이 나오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150이나 200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작년의 점수만 믿고 마지막까지 주력 과목을 미적거리다 재도전을 망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방법론의 함정
공부는 방법론이 중요하죠. 한 번 실패한 학생의 경우 더욱 그러합니다. 본인들도 그걸 느끼고 11월, 12월 방법론을 찾아 헤맵니다. 각종 수험기, 유명 강사의 방법론, 이코치 칼럼 등을 섭렵하고, 나름 결론을 내리죠. 그러고 밀어붙입니다. 그런데 그게 쉽게 되질 않습니다.
#이유.
방법론 자체는 대부분 괜찮습니다. 그 방법론을 주장한 사람은 그걸로 성공했으니깐 검증된 것이지요. 그런데 사람이 다른 사람의 경험을 말로 받아들이는 과정에 문제가 생깁니다. 저도 상담을 하다 보면, 제 칼럼이나 강의의 내용을 전혀 엉뚱하게 이해한 경우를 많이 접합니다. 공부라는 것은 뇌가 사물을 인식하고, 소화하고, 인출하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에 대한 설명은 ‘느낌’ 그 자체입니다. 매우 개인적일 수밖에 없죠. 글만 읽고 글쓴이의 뜻을 그대로 이해하기란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전거를 배울 때 이런저런 설명을 많이 듣지만 별 도움이 되지 않죠. 계속 타보면서 감을 찾아야 합니다. 그렇게 감을 찾다 보면 그제야 그 설명이 그 뜻이었구나! 이해가 됩니다. 전쟁에서 이기려면 전략적 유연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되든 말든 내가 확정한 이 방법대로 그냥 밀어붙이는 것이 아니라, 순간순간 감각을 곤두세우고 이 방법이 내 실력에 도움이 되는지 내 머리에 자극을 주는지, 점수가 오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 경험 안에서 방법론을 새로 세우는 노력을 계속해야 하겠습니다.
010.4206.5467
lee_coach@naver.co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집안일좀할게 0
낼 친구 재워야하는데 그래더 손님용 잠옷 정돈 내어줘야지 빨래널고 쓰레기텅비우고 청소기돌리고
-
남들 다 하길래 무지성 사문픽하고 개념+기출 (도표 제외) 끝내고 도표하고...
-
D-1 0
무슨 날인지는 잘 모르겠네
-
옷 벗음 10
개덥네 컴퓨토 켜놓으니까 뜨신바람 ㅅㅂ
-
치킨 1
바나나
-
왜 이랗게 더움 7
개화남
-
일주일동안 계속 갔는데 지금 군침 돌아서 내일도 또 갈 예정
-
전 낮이밤이임 11
실모배틀신청 ㄱ
-
따로 커리도 타면서 준비하고 있는데,수학은 거의 5점 빼고는 건드릴 수는...
-
어케됨
-
한줄평은 평이하다. 작년 더프들은 24수능의 영향인지 애들 죽어라하고 시험지를...
-
1. 호감고닉이 된다
-
하기싫어잉
-
내일 오전 수업을 유기하도록 하겠다.
-
..2를 세버렸다
-
더우면 축축해짐
-
지금 고3인데요 3모76 5모82이고 듣기는 웬만하면 다 맞고 이번에 5모는 골고루...
-
질문 1
1. 김종길의 문이 Manila Park이 주장하는 것처럼 보기가 없다면 이해가...
-
이소라의프로포즈 6
처음느낌그대루
-
5덮 84저ㅁ 0
학교 석차 89임 이거 맞냐씨바ㄹ ㅜㅜㅜㅜ
-
찝찝해서 울었어
-
단과 신청 그냥 학원에 전화 걸고 하면 되나요? 보통 한 커리 몇 주 동안...
-
요즘 수학 폼 좋아서 실모배틀 뜨면 이길 것 같거든 ㅇㅇ
-
https://orbi.kr/00073071505...
-
기습 ㅇㅈ 8
아무도못봣을듯ㅋ
-
언매는 개념이 많긴해도 매체는 그냥 시력테스트니까 화작은 머리에 힘 안 주면...
-
안녕하세요 부엉이입니다 32
다시 재릅한거에 대해 기분 나빠할 분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재릅한 이유는...
-
4규 미분 33번 자세하게 설명해주실분 없나요 미적분 ㅠㅠ 0
겉함수 속함수로 나누고 풀려고했는데 강의봐도 어렵네요 으악
-
캬 조은데여
-
배리나한테 깔려죽기
-
무물보 6
공부 좀만 하고 자려했는데 축구를 봐야 할 것만 같아서 쉬는 동안 질받해봄
-
인스타만뺏으면,,,
-
두잔인가..? 세잔? 사실 잘 모르겟습니다.
-
어지간하면 유빈이 친구한테 빌려서 좀 풀다가 맛도리면 사야지
-
확통 파트 문제 배치(번호)라던가 난도, 특징 같은 거 짧게 설명 가능하신 분...
-
천덕줄게 4
이천덕다오
-
어케 보시나요
-
나형분들 어떠셨음
-
수능에 나오면 1등급 몇퍼 예상함? 평소에 시간이 진짜 빡빡해서 못푸는 문제 많은...
-
니들이 뭐라하던 걍 1번 뽑을 생각 조금도 없으니까 걍 나가세요ㅋㅋ 하다하다 입시...
-
논리문제 질문 0
이거 답이 3번이라던데 왜인거임?? 속 자신의 최대선을 추구하지 않아도 윤리적일 수...
-
센츄 신청 완 0
지구 만백 억까만 없었어도 센츄 가능했을 수도... ㄲㅂ
-
요즘 너무 회피하고 싶어서 12시간씩 자버림 그냥 걱정하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너무...
-
지2 질문 3
이슬점 감률 I<II인 건 알겠는데 I과 II에서 고도 상승량이 같다는 말도 없고...
-
(급하신분은 마지막이라도..) 3모는 81로 커하였는데 5월 학평에서 수학...
-
킬캠, 서프, 작년 6모, 5덮, 부엉이 모고 2개... 다 풀수 있으려나 에휴
-
기계공학과 0
항공우주공학과(기계공학과) 지망인데 제가 천문학쪽도 좋아해서 우주와 관련된 주제로...
-
결국 참지 못하고.. 10
515kcal 튀김우동으로 간헐적단식 시작조차 실패 오늘 총 칼로1리량...
-
https://youtu.be/ah02MsJsoFY?si=DeP-LSHbLlape34...
재수를 결심한 학생입니다 그렇다면 처음과 같은 페이스와 마음가짐으로 끝까지 겸손하게 공부에 몰두한다면 성적이 많이 오를 수 있을까요?
공부에 몰두하면 무조건 점수가 오르는 게 정상입니다. 그런데 자기도 모르게 방향이 잘못되는 경우가 많아요. 점수와 실력이 오를 때의 감각을 계속되새기고 실전연습을 많이해서 공부가 실전에서 어떤역할을 하는지 느껴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