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중인 [339624] · MS 2018 · 쪽지

2011-07-11 02:25:24
조회수 615

전문가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설대 특기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98570

전형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내용입니다. 학생의 스펙에 대한 지원여부에 대한 답변은 아닙니다.
 
1. 입학사정관제가 적용 안되는 특기자 자연대 공대의 경우 여전히 내신점수가 수치화되나요?
(아니면 올해부터 다른 과들도 내신 점수 수치화를 안하나요?)
2. 입학사정관제가 적용되지 않는 특기자 과의 경우 자기소개서의 위력이 과연 예년에 비해 커질까요?

서울대는 특기자도 모두 1단계는 입학사정관제 방식의 서류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자기소개서의 위력이라...글쎄요 뭐라고 표현해야할지...
일단 학생부를 비롯한  학생의 fact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fact를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데
이해를 돕는 자료로 자소서를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저의 상황에서 과를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까요? 화학올림피아드 및 화학경시 스펙과 진솔한 자소서를 앞세워 속는 셈 치고 도박 쳐서 화학과를 쓰는게 옳을까요? 아니면 하향지원을 하는 것이 옳을까요?
본인의 진로에 대한 관심과 열정, 노력을 평가할 것인데 화학과 관련한 곳을 지원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까요? 다만 학생들이 종종 놓치는 것중에 어느 한가지를 잘해도 서울대 들어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것이 아니라 고등학생으로써 기본적이 소양이 충분한지를 가장 먼저 본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4. 올림피아드의 위력은 자연대에서 가장 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올림피아드(화학)의 힘이 농생대(농생공:응용생물화학부)에서도 발휘할 수 있을까요? 사실 제 내신만 보면 농생대를 쓰는게 맞다고 봅니다만..

올림피아드의 위력은 자연대에서 뿐만아니라 다른 학부에서도 상의 권위나 규모면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스펙에 해당됩니다.서울대에선 상을 크기로 바라보기 보단 어떤 과정을 통해 수상했는지 궁금해 합니다. 사실 학원에서 집중투자해서 수상하는 경우도 종종있는데 그런 경우 어필할 수 있는 것이 상의 결과밖에 없기때문에 자소서 표현하기나 추천서에 나타나는 부분이 상당히 적을 수 밖에 없지요. 올림피아드에 참여한 전 과정을 잘 드러낼 수 있길 바랍니다.

학생의 경우는 과고생인것 같은데 학교 내신을 다른 일반고 학생과 견주지 말고 학교내에서
자신의 위치는 어느 정도이며 학교에 내신을 놓고 봤을때 충실하게 학교생활에 적극적이고 도전적이였나를 평가받을 수 있는 지 냉정하게 따져 보기바랍니다. 이과의 경우 하위학과로 갈 수록 일반고 이과생의 높은 내신과 시도규모의 영재원 활동이나 kmc 수상정도 있는 학생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