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 크 [750540]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7-11-01 13:14:08
조회수 16,595

0을 부정적분하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656938

0일끼요c일까요


임의의 a에서 b구간까지 적분했을때(부정적분)

항상 0이 나오는걸 생각했을때 c=0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16 · MS 2012

    부정적분은 C
    임의의 구간에서 정적분하면 0

  • 쿼 크 · 750540 · 17/11/01 13:18 · MS 2017

    옛날에 학교선생님이 a, b모르면 부정적분이랬는데 정적분 인가요?

  • 쿼 크 · 750540 · 17/11/01 13:20 · MS 2017

    물리교수님은 정적분인데 부정적분으로 생각할수 있다카는데 뭐가 맞는지 모르겠어요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21 · MS 2012

    부정적분에 해당하는 함수들은 뒤에 적분상수때문에 무수이 많습니다.

    정적분은 F(b)-F(a)로 사용 할 수 있는데
    이 때 F(x)는 아무거나 사용해도 됩니다.

  • 쿼 크 · 750540 · 17/11/01 13:33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재밌잖어 하하ㅏㅎ · 734799 · 17/11/01 13:17 · MS 2017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22 · MS 2012

    '임의의 a에서 b구간까지 적분했을때(부정적분)
    항상 0이 나오는걸 생각했을때 c=0' 이라고 했는데
    c=1일 때도 저게 항상 0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

    1-1=0

  • vsvd2616dwqgf · 561221 · 17/11/01 13:23 · MS 2017

    윽건쌤이 인테그랄 a에서 x까지 fxdx를 부정적분이라 하셨던 것 같은데 그럼 그냥 0아닌가여??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25 · MS 2012

    ㄷㄷ... 강의 한번 더 듣고오세요.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28 · MS 2012

    그런 꼴의 함수를 저는 정적분으로 표현된 함수라고 칭합니다.

    부정적분이 맞긴 합니다. 미분했을 때 f(x)가 나오긴 하니까요.
    그런데 우진쌤은 그런 의미로 말씀하신게 아닐겁니다.

  • 신짱구는 신형만이 된다 · 772066 · 17/11/01 13:43 · MS 2017

    윽건 쌤이 부정적분은 아니지만 윽건 쌤 강의에서만 부정적분으로 보자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 쿼 크 · 750540 · 17/11/01 13:26 · MS 2017

    일단 임의의 a와 변수 x는 다른건가요?
    여기서부터 헷갈리는데

  • vsvd2616dwqgf · 561221 · 17/11/01 13:28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33 · MS 2012

    위끝 아래끝에 문자나 숫자가 있다고 해서 항상 정적분인건 아님
    숫자만 있으면 정적분
    문자가 하나라도 있으면 어떤 함수의 부정적분 역할도 할 수 있으나
    형태만 보면 '정적분'에 가깝죠.

    문자 숫자 아예 없으면 부정적분이고요.


    교과서에서 부정적분 영역에서는 위끝 아래끝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것만을 연습시켜요. 그래서 전 이것만 부정적분으로 부릅니다.

    방금 예로 들은 (우진썜이 말씀하신) a to x f(x)dx 적분은
    F(a)=0이고 F'(x)=f(x)이기 때문에 부정적분으로 볼 수 있어요. 수학적 팩트의 참거짓에 대해선 '참'입니다.

    하지만 전 저런 식을 '정적분으로 표현된 함수' 라고 표현하는게 좀 더 좋아보인다는 개인적 견해인겁니다.

  • 쿼 크 · 750540 · 17/11/01 13:35 · MS 2017

    F(a)=c아닌가요?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35 · MS 2012

    맞습니다. 상수 C대신 F(a)를 쓴거죠.

  • 쿼 크 · 750540 · 17/11/01 13:37 · MS 2017

    그리고 임의의 a가 변수는 아닌건가요?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3:38 · MS 2012

    상수 a가 뭐든 상관없겠지만
    x에 대한 변수는 아닙니다.

  • 쿼 크 · 750540 · 17/11/01 13:42 · MS 2017

    어떤 a to b정적분에 대해서 a에 대해 미분해도 수학적으로 문제 없나요?

  • 수능ㅈ밥아님? · 738409 · 17/11/01 13:25 · MS 2017

    C죠.... 상수 미분하면 0되자나여 역연산해보면 c임

  • 리얼개십노답노베이스 · 770146 · 17/11/01 13:30 · MS 2017

    상수미분하면 0 역과정 ㅇㅇ

  • 나니고레 · 479630 · 17/11/01 13:41 · MS 2017

    상수를 미분하면 0이 되니까 c일 거 같아요
    c가 0이 아닌 상수라면

  • 신짱구는 신형만이 된다 · 772066 · 17/11/01 13:54 · MS 2017

    저도 기대님 말씀에 한표요! 부정적분의 경우에는 C(C는 상수)이고, 정적분의 경우 윗끝 또는 아래끝에 변수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0이라고 생각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연속함수 f(x)와 상수 a에 대해 Integral(from a to x){f(t)}dt는 피적분함수인 함수 f(x)의 원시함수(동의어: 부정적분) 중 하나입니다. 즉, 적분상수가 결정된 부정적분입니다.

    다만 윽건 쌤은 자신의 강의에서만 연속함수 f(x)와 상수 a에 대해 'Integral(from a to x){f(t)}dt'를 '함수 f(x)의 부정적분'라고, 'Integral{f(x)}dx'를 '함수 f(x)의 원시함수'라고 부르자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또 개인적으로 연속함수 f(x)와 상수 a에 대해 Integral(from a to x){f(t)}dt는 x에 대한 함수 f(x)의 부정적분이면서 t에 대한 함수 f(t)의 정적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4:00 · MS 2012

    이분 최소 오지고 지리게 배우신 분

  • 신짱구는 신형만이 된다 · 772066 · 17/11/01 14:03 · MS 2017

    ㅠㅠ 전 그저 미천한 ㅈ밥 수험생입니다.

  • 기대기대 · 416016 · 17/11/01 14:05 · MS 2012

    제대로 배우신 분들은
    설령 만약 설마 설사라도
    입시를 망하셔도
    가신 대학에서 분명 빛을 발합니다.

    댓글만 봐서는 제대로 공부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화이팅 ㅎㅎ

  • 쿼 크 · 750540 · 17/11/01 14:16 · MS 2017

    10Goa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