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다랭이 [678247] · MS 2016 · 쪽지

2017-10-15 17:37:04
조회수 744

열역학 질문좀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513123


고정된 피스톤은 열의 이동이 자유롭고 그 이외에는 단열이 되어 있다고 했을 때, A에서 B로 바뀌었을 때 하부 이상기체에서 상부로 공급한 열은 추의 퍼텐셜 에너지 증가, 상부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 증가와 더불어 상부 이상기체의 위치에너지또한 증가시킨다고 생각을 해야되나요 아니면 위치에저니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7:42 · MS 2017

    엄밀하게 보면 상부 이상기체 중력퍼텐셜도 증가시키는건데 기체의 중력퍼텐셜은 열역학문제에서 대개 무시합니다. 그 값이 매우 작기 때문이죠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7:43 · MS 2017

    덧붙혀 말하자면, 하부 이상기체에서 상부로 준 열과 일이 상부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추의 위치에너지가 되는겁니다. 하부 이상기체가 상부로 열만주는게 아니라 일도 해준다는걸 기억하세요

  • 가다랭이 · 678247 · 17/10/15 17:57 · MS 2016

    하부 이상기체의 부피가 고정이 되어있는데 상부로 일도 해주나요??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8:00 · MS 2017

    ㅈㅅ 고정되어있으면 일 안해줍니다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8:00 · MS 2017

    잘못봄

  • 가다랭이 · 678247 · 17/10/15 18:08 · MS 2016

    이건 본문하고 상관 없는 질문이긴 한데,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고등학교 내용에서 봤을때 관측자와 함께 정지해 있는 A와 B 두 물체에서 동시에 빛을 발한다고 할 때, 관측자가 A와 가깝든, B와 가깝든, 같은거리에 있든지 상완없이 동시에 빛이 발생한다고 관측하다 봐야하나요?? 교과서에서 사건의 관측을 정의할 때, 사건이 일어난 장소와 일어난 장소에서의 시간을 측정하므로 사건이 관측자에게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어서...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8:41 · MS 2017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0/15 18:42 · MS 2017

    동시성의 상대성은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두 관측자 사이에서만 깨지는거에요

  • 가다랭이 · 678247 · 17/10/15 18:45 · MS 2016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