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밍밍이ㅣㅇ · 769036 · 17/10/15 17:04 · MS 2017

    기계적 결정작용

  • 7주간 고승덕 · 698205 · 17/10/15 17:08 · MS 2016

    .

  • qmWDtREwKOMkri · 744818 · 17/10/15 17:04 · MS 2017

  • 7주간 고승덕 · 698205 · 17/10/15 17:08 · MS 2016

    .

  • 귀요미읭읭이 · 507570 · 17/10/15 17:05 · MS 2014

    기계

  • 7주간 고승덕 · 698205 · 17/10/15 17:08 · MS 2016

    .

  • 7주간 고승덕 · 698205 · 17/10/15 17:07 · MS 2016

    그러탐 태양빛만이받는 남쪽사면애 타포니만은건어떻게설명되나요??

  • 이거말이안됨 · 662409 · 17/10/15 17:09 · MS 2016

    기계적 풍화죠
    남쪽사면에 일사량이 많아서 화학구조가 변하진 않잖아유

  • 귀요미읭읭이 · 507570 · 17/10/15 17:10 · MS 2014

    물의동결작용이에요
    물이 얼엇다가 녹았다가하는 걸로!

  • 족구사회1 · 754238 · 17/10/15 17:16 · MS 2017

    안녕하세요 지구과학1의 열렬한 팬 족구사회1입니다.
    마이산의 타포니는 주로 기계적 풍화, 특히 물의 동결 작용에 의해 생성되었습니다.
    다음은 네이버 지식사전에 실린 내용입니다.
    '진안 마이산은 역암 지형에서 나타나는 타포니 지형으로, 주로 남사면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경사 60° 이상의 급경사 지역에 집중 분포한다. 그 이유는 북쪽 사면은 식생과 토양으로 덮여 있어서 암석의 풍화가 비교적 적게 나타나는데 비해, 남쪽 사면은 햇빛에 노출되어 태양열에 의한 기온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특히 이곳은 역암 지역이기 때문에 **암석을 이루는 자갈과 모래 사이에 물이 침투해서 얼었다 녹았다 하는 과정에서 쐐기 작용[서릿발 작용]에 의해 자갈 암석이 빠져 나오면서 형성된 것**이다. 즉 역암이 지표에 노출되어 풍화 작용을 겪으면서 역(礫)[자갈] 주위의 점토나 모래 성분이 더 빨리 풍화되어 역이 빠져 나온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이산 타포니 [馬耳山-]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늘도 갓ㅡ구갓갓 [( 1 )] 을 해주시는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클린한 갓ㅡ구갓갓 *_1_* 하세요 ^^

  • 개같은살구 · 751070 · 17/10/15 17:37 · MS 2017

    개웃기다ㅋㅋㅋ

  • 고사국가고싶다 · 527741 · 17/10/15 17:38 · MS 2014

    마이산 타포니 물의 동결작용인가요 아니면 결정작용인가요?

  • 족구사회1 · 754238 · 17/10/15 17:43 · MS 2017

    물의 동결작용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네이버 지식사전에 실린 내용입니다.
    '동결 작용: 기계적 풍화작용으로, 암석 틈 속의 물이 얼고 녹음이 반복하면서 일어나는 풍화이다. 고산대, 고위도 지방같이 기온이 빙점 부근을 오르내리는 날이 많은 곳에서 잘 일어난다. ‘서릿발 작용’이라고도 한다. 또, 암석의 틈 속에 스며든 물이 반복해서 동결과 용해를 함에 따라 일어나는 풍화를 동결풍화(frost weathering)이라 하고, 동결작용에 의해 암석이 깨어지는 것을 동결파쇄작용(凍結破碎作用) 또는 동결쐐기작용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결작용 [frost action, 凍結作用] (두산백과)

  • 궁예 · 732444 · 17/10/15 20:23 · MS 2017

    근데 박선쌤이 결정작용이라는데요??

  • 궁예 · 732444 · 17/10/15 20:23 · MS 2017

    근데 박선쌤이 결정작용이라는데요??

  • 족구사회1 · 754238 · 17/10/15 21:50 · MS 2017

    그 쌤이 그렇다면 그런거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