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수는 낭비인가? - 부조리와 실존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데아 속 인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471996
1.
우리는 감정을 지닌 인간이다. 동시에 이성을 지닌 인간이다. 감정은 우리를 바닥으로 끌고가 현실(현상)을 바라보게 하지만, 이성은 우리를 끝없는 이데아(이상)를 바라보게 한다.
이데아는 어떤 것인가? 쇼펜하우어는 자살자와 성자의 차이점을 이렇게 말했다.
“자살자는 근거율에 맹종하여 인식에서 떠나지 못하는 사람이며 성자는 이데아를 인식하는 능력을 지녔다.”(인생론,121p)
즉, 자살자는 현상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에만 빠져서 이데아를바라보지 못하고 죽은 자들이며
성자는 현상계에 휘둘리더라도 이데아를 볾으로써 자신의 의지로 본능을 이겨내 삶의 방향을 뒤튼 자들이라는 것이다.
이데아는 우리를 고통으로 가득찬 삶 속에서 꺼내어 나아갈 길을 제시해주는 길잡이라고 볼 수 있겠다.
2.
그러나 언제나 이상만 바라보고 산다고 하여 고통을 잊을 수는 없는 법이다.
자살자이든, 성자이든 둘의 차이점은 ‘어떤 것을 바라보는가?’
이지. ‘어느곳에서 사는가?’가 아니다.
자살자와 성자 둘 다 현상계(실제 삶)에서 산다.
이는 곧, 이데아에만 빠져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알려준다.
이데아에만 집중하여 강한 자기부정에 빠져 현실을 부정한 채로 스스로를 초월자로 만드려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실존보다 중요한 것은 현실 속 부조리에 대한 인식이다.
3.
우리의 실제 삶은 온갖 고통으로 가득차있다.
우리가 생각할 수도 없는 두꺼운 벽들... 차가운 콘크리트가 우리를 감싸고 있다.
누군가가 우리를 지켜주고 있다는 착각.
그리고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
이 틈 사이가 우리가 겪는, 겪을, 겪어왔을 부조리다.
우린 모두 평화롭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이루어질 수 없으며 굉장히 낯선 것임을 깨닫는다.
이것이 부조리의 시작이다.
이 말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N수에 넣어보겠다.
우리는 모두가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없으며, 꿈을 이루지 못했던 이들은 자신의 꿈이 낯설게 느껴진다. 이제 당신의 꿈은 현실의 영역이 아닌, 존재하지않는 비유로 가득찬 시의 영역으로 들어간 것이다. 당신은 수능을 보면서 대학에 가장 근접했다고 생각했던 순간, 가장 멀어져있음을 깨닫고, 당신의 현실에 대한 이성적 통찰은 감정적 비유로 거품지며 침몰한 꿈은 한낯 예술작품으로 박제된다. 그리고 당신은 계속해서, 예술작품을 바라만 볼 뿐이다. 그러나 현실 속의 당신은 작품 속의 당신이 되기엔 너무나도 큰 간극이 존재함을 깨닫고 고통과 절망에 빠진다.
여기에서의 현실과 꿈 속의 간극이 바로 부조리다.
4.
이처럼 우리는 항상 부조리를 겪는다.
그러나, 이런 부조리에 굴종해서는 안 된다.
N수 비용이 얼마가 되었든
그로 인해 누구가 고통받게 되었든
당신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버리든
이 모든 것은 당신이 짊어져야 할 부조리의 무게다.
이를 부정하라고 말할 수는 없다. 견뎌내야 한다.
당신의 현실과 꿈 사이가 클수록 견뎌내야 할 부조리도 커진다.
허나 생각해보라.
자신의 현실에 무릎꿇고 굴종하여 자살자처럼 꿈을 잃고 현실에 매여 살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이데아를 관철하여 현상계의 부조리에 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비틀어 성자가 될 것인가.
당신이 견뎌낼 부조리의 무게만큼 당신은 거대한 사람이 되어있을 것이다.
실패했다고?
그렇다면 부조리의 무게가 커진 것이다.
당신은 그만큼 고통받을 것이라는 이야기지만, 당신은 그만큼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당신의 모든 시도는 당신을 강하게 만들 것이란 점에서 의미있으며 겪어도 무방한 시행착오다.
이런 부조리는 나이들어서 겪든 일찍 겪든 상관이 없다.
나이는 큰 상관이 없다.
오히려 일찍이 성자의 길을 걷는다면 더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이끌 수도 있다.
인간이라면 누구든 겪을 것이고 겪지 않는 자들은 오히려 삶이 단조로워 불행한 자들일 것이다.
N수는 해볼만한 도전이다.
몇번이든 몇살이든 당신이 무엇이 되었든 간에.
철학적 자살을 꾀하여 죽은 사유의 인간이 될 것인지
이데아를 쫓는 성자가 될 것인지
이것은 당신의 선택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기 ㄹㅇ 다 기만자들이네
-
https://orbi.kr/00072046040 댓글 달아주셨을때
-
잘잇어오루비 4
오르비안뇽
-
하하이 홉스 포얼 어 리빙 이거 맞히면 천덕 선착순 1
-
등급이 오를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
반갑습니다. 0
-
재작년에 본1까지하고 지금은 군대와있는데 애초에 내가 의대적성도 아닌거같은데...
-
아 주말이군
-
이 사람들 맨날 3
기만기만거리면서 왤케 다들 잘생기고 이쁨
-
넵
-
정시 5
예비 고2 자사고 5.대인데 정시하는게 맞는지... (3.대부터 좋은곳 갈 수...
-
내 입맛특 3
ㄹㅈㄷ 초딩입맛
-
1.범위잘보기 2.범위안으로 평행이동
-
3명이나본다고?
-
흐흐흐흐흐흐
-
식비를 아끼지 않는다
-
인증완료. 5
-
뽀이아가러 1
스몰걸 패너시
-
이걸 왜 몰랐지? 접고싶다(x) 지금이라도 알면 된거지 야호^.^ (0)
-
저만 너무 빠릅니까 1분 이상 초과되는데ㅜㅜ
-
하
-
뱃지신청 3
대학교 뱃지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
이미지 1
적어주세요
-
유튜브로 키시나
-
07인데 제가 3이거든요 ㅋㅋ 개높3이긴한데 뭐 수능가면 더 떨어질거 같아요.....
-
인증하고 올라간 적이없음
-
옯만추 후기 15
재밋엇습니다 노래열창햇습니다 너무춥고사람만습니다
-
제가 cc bb 기준선에 있는 사람인 듯여 내년 입시를 위해 질문 받습니다… 저도...
-
ㅇㅈ좀 해봐 평균 계산좀 하게
-
제곧내
-
'350시간 교육봉사' 서울대생, 졸업식 대표 연설자로 2
[서울=뉴시스]이다솜 기자 = 지체 장애를 극복하고 350시간의 교육봉사 등...
-
생명 지구 사문 지구 생명 사문 둘 다 노베임 스카이 목푠데 사문하면 많이 불리할...
-
인하 아주 뱃지 3
https://orbi.kr/00036611996 이거 만들어주면 너무 좋을 거 같은... ㅠ
-
선착 10명 이미지 19
오랜만에써드림
-
난 다 옵평 미만인데 17
학벌도 지능도 외모도
-
4의 규칙 0
한석원쌤 4의규칙 공통으로 풀면 선택과목은 어떤거 푸는게 적당할까요?
-
하.. 나만 비참해지네 고트 인정
-
밀키스st인데 더 깔끔
-
잇올 1
잇올 낼 첨가서 잘 모르는디.. 앱으로 등원 이나 하원 하면 키오스크에서 바코드...
-
솔직히 야자 너무 하고 싶은데 애들이랑 놀까봐 좀 걱정 근데 야자때 공부잘되긴함...
-
시선관리 팁좀 11
빨리 급함
-
설대 가고싶다 5
1지망 설사범 2지망 지방한 3지망 사탐 약수 4지망 경찰대 5지망 연고 상경...
-
계속 오르비 평균 미만 학벌이라는 생각이 머리에 맴돌아서 주제파악하고 짜져있을거 같음
-
서버야 터져라 2
펑
-
얘 레몬대가리 원래 뭐라고했죠?
-
렘 6
오랜만에 보니까 참 예쁘다 RMT
-
예를들어서 사범대에서 3학년까지 학점채우고 다른학교 공대로 편입이요 전과가...
-
아 허리 아파 0
어제 운동을 넘 많이 했나
-
음음
이전의 낭비라고 한 글은 감정적으로 부들부들했지만
이글은 뭔말인지 몰라서 부들부들하다!
내가 이데아에서 플라톤 이랑 친구였자너~
역시 머종님의 오른팔...
N수가 아니라 그 어떤 도전도 다르지 않은 말이 되는 데수웅...
맞음. 굳이 N수생이 아닌, 도전하는 모든 이들에게 꼭 필요한 말입니다. 한번쯤 각잡고 써보고 싶었네요.
여기 주 이용층은 수험생분들이니 ㅎㅎ~ 맞추어서 썼습니디.
조와요 오홍홍 글이 별로란건 아니었움
글 진짜 잘쓰시네요..국어 철학지문 읽는것 같았어요
역시 선배님....존경합니다...필력이ㄷㄷ
갓드킴
코드김 철학과임?ㅋㅋ

꼬드낌 ㅠㅠㅠㅠㅠㅠ솔직히 이글은 아름답긴 한데 이데아를 쫓는것도 어느 정도여야한다 생각함. 결국 우리는 내가 처한 위치에서 무엇을 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는것이고 이에 대한 근거는 실존주의적인 입장이라고 봅니다 저는 아까 n수는 비용이 너무 크다는 입장도 맞는 말이고 이 글의 내용도 맞는 말이므로 결국 이 둘 사이의 중용적 입장이 n수를 결정하는게 맞다 생각해요 다들 화팅
일부러 대조되라고 쓴 글입니다 ㅎㅎ
철학과같네.
위댓보니 좀더중도적글은어떤식으로쓰실지 궁금하게만드는글입니다
철학과는 아니고... 상경계 다닙니다.
대충 주워듣고 읽은 거를 모아 끄적여 본 것인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진짜 개멋있네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멋진 글입니다...
철학을 배우고 싶을 정도로...
역시 갓대종의 조교 코드킴...
경제적으로 접근하냐 철학적으로 접근하냐의 차이같은데 두 의견 모두 잘 읽었습니다.
비문학 문제로 나오면 n수생들 감정 북받혀서 울먹울먹하다 시험 조질듯
콧김 너무 멋져요..! 독서하는것도 그렇고 글쓰시는 것도 존경스러움 ㅠㅠ
부조리를 인지하고 좌절하는 사람도 나쁜건 아닌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게를 견뎌내어 이겨내는 사람들이 더 멋있는건 사실이죠.
사람은 역시 책을 많이 읽어야...
코드킴님 보니깐 너무 반가움
님 철학과세여?
국어98점맞으면 이정도 필력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