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왜 대구법이 아니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167221

가는 대구법이라 생각했는데 아니라네요 뒤에 같은말 반복되지 않나요? 왜 아니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167221
가는 대구법이라 생각했는데 아니라네요 뒤에 같은말 반복되지 않나요? 왜 아니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나에 대구법이 ㅇㄷ있죠
아 그러네요 착각한듯ㅋㅋㅋ
대구는 문장의 짜임이 같아야 돼요 대:마주할 대 구:구절
(가)에서 ~나 ~나는 대구가 아닌 통사구조의 유사 입니다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유수는 어찌하여 주야에 그치지 아니하는가
이런게 전형적인 대구입니다. 주로 고전시가에서 많이 쓰이죠 (고전시가는 거의 모든 작품이 대구를 쓴다고 봐도 무방) 이처럼 한문장에서 마주보고 짜임이 같거나 두 문장이 위아래로 짜임이 가타아야합니다. 반면 통사조의 반복은 문장이 꼭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있어도 성립되죠
우왕 되게 자세하게 알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ㅎㅎ
가 도 대구 아니죠? 제가 알기로는 붙어있어야 된다고 알고 있어서. 저건 통사구조의 반복아닌가요